천체 스케치/사진 ~☆+

  • [M51] 세상의 가장 먼 결정적 순간 [스케치]
  • 조회 수: 10809, 2017-02-11 04:37:44(2017-01-24)

  • 2012년 11월, 

    나는 두 번째 호주 원정을 위해 Brisbane행 비행기에 몸을 실었다

    그 수많은 얘기들은 아래 링크로 대신하고..

    1편 http://www.nightflight.or.kr/xe/observation/62917 (두마리 토끼 - 남천과 일식)
    2편 http://www.nightflight.or.kr/xe/observation/63060 (천국의 하늘색)
    3편 http://www.nightflight.or.kr/xe/observation/63445 (멀리 있어 아름다운 것)
    4편 http://www.nightflight.or.kr/xe/observation/63709 (하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
    5편 http://www.nightflight.or.kr/xe/observation/70123 (별보는 사람은 별로써 구원받는다)
    6편 http://www.nightflight.or.kr/xe/observation/73060 (작고 동그란 반짝이는 것)
    7편 http://www.nightflight.or.kr/xe/observation/76623 (하룻밤 꿈)
     

    Brisbane에서도 내륙으로 3시간을 달려간 곳에서 만난 별쟁이, Bolton 아저씨에게

    가장 좋아하는 대상이 무엇인지 물어보았다

    그 대답은 뜻밖에도,

    북두칠성 바로 아래의 M51이었다


    호주 Queensland 하늘에서 남중고도 15도 밖에 되지 않는 아이를...

    (내가 사는 곳의 51번 남중고도는 무려 6도)

    사람이 자신이 가지지 못한 떡에 더 관심을 가지는 것은 당연한 것인가보다


    그 51번을 거의 일년 내내 볼 수 있는 우리들에게도

    51번 부자은하는 축복의 대상이다. (다만 8인치 이상 망경 있는 사람에게만..)

    그 어떤 Face-on(정면) 은하가 이렇게 밝고 디테일하게 보일 수 있을까?


    흠, 사진으로 보면 33번이 더 화려하겠지만 

    그건 사람의 눈 대신 CCD로 오랫동안 빛을 모아야 가능한 일..

    눈으로 보는 정면 나선은하 중에 이보다 잘 돌아가는 은하는 아마 없을 것이다


    북두칠성의 여섯번째 별이 시력검사의 별이라면

    북두칠성의 일곱번째 별 밑의 M51은 시상검사의 천체다


    봄이 되면 별쟁이들은 망경을 세팅해 놓고

    오늘의 관측을 시작하기 전에 

    우선 하늘 높이 떠 있는 51번을 보며 오늘의 시상을 가늠해본다

    51번이 잘 보이면 은하랑 성운으로 계속 가는 거고

    51번이 잘 안보이면 성단으로 전환..



    2011년엔 M51에서 큰 일이 있었다

    꽤 밝은 초신성이 관측된 것이다

    6월 어느 맑은 날,

    인제의 불법(?) 관측지에서 51번을 만났다


    [ M51 & SN2011DH, 인제 K**T에서 조강욱 (2011) ]
    M51_res_110606.jpg


    51번에서는 꼭 봐줘야 할 구조들이 있다

    ① 팽팽 돌아가는 두 갈래 나선팔 (시상 검사용 팔)
    ② 나선팔 주위의 Halo
    ③ 은하면 위에 보이는 별
    ④ 아들 은하 5195의 삼각형 모양 Halo
    ⑤ 아빠의 핵과 아들의 핵 중 무엇이 더 밝은가?
    ⑥ 부자은하 관측의 화룡점정, 두 은하를 연결하는 bridge
    ⑦ 미션 임파서블, bridge 위의 13등급 성운(아래 그림의 정 가운데 있는 것)

    bridge.JPG


    어쨋든, 오늘 51번을 잡은 목적은 51번의 유려한 자태를 감상하는 것이 아니라

    그 안에서 빛을 발하는 별 하나를 보는 것이었다


    그 아이는, bridge로 향하는 나선팔의 끝자락에 있었다

    나는 3천만년 전의 빛이 '깜박' 하고 잠시 (한두달 쯤) 켜졌다 꺼진 것을 본 것이다

    M51_des_110606_2.jpg


    초신성이 아름다운 것은, 

    사람이 볼 수 있는 가장 멀리 있는 '결정적 순간'이기 때문이다








                            Nightwid 無雲


댓글 2

  • 김철규

    2017.01.26 22:58

    그곳에서도 보이긴 보이는군요. 그렇다면 북천의 대상들이 그래도 거의 보이긴 하는가 봅니다. ^^ 보기 힘든 대상들이 더 애착이 가는건 어딜가나 마찬가지네요. ^^
  • 조강욱

    2017.02.11 04:37

    그러니까요 남의 떡이 항상 더 크죠 ㅎㅎㅎ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thumbnail
2013-04-09 00:01:41 김병수(billy) / 2010-09-18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695
  • 스케치
  • 먹다버린 사과. 아령성운이란 공식 별칭보다 훨씬 먼저 사과라는 이름과 친해지게 되었다 하긴 웨이트 트레이닝보단 맛있는 사과가 낫지! 그리고, 구경을 키우거나 OⅢ 필터를 사용하면 이젠 더 이상 먹다버린 사과가 아니다. 먹기 전의 사과라고 하기엔 너무 타원형이고...
2016-10-23 14:43:34 / 2016-10-23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730
  • 스케치
  • M41은 고대 그리스의 기록에도 남아있는 네 개의 '별이 아닌' 대상 중의 하나이다 (나머지 세 개는 44번, 7번, NGC869&884다) 흠.. 그리스가 우리나라보다 위도가 낮지도 않은데 7번은 그렇다 쳐도 41번은 왜 들어갔을까? 우리야 그게 별이 아니라고 생각하고 보니 ...
2016-12-13 05:09:59 / 2016-12-13
no image
  • 박한규 조회 수: 12737
  • 스케치
  • http://taaa.pe.kr/bbs/zboard.php?id=nightskygallery&page=1&select_arrange=headnum&desc=asc&category=4&sn=on&ss=off&sc=off&keyword=이용혁&sn1=&divpage=1 자료 조사하다가 발견한 사이트 입니다. 국내 첨성대 회원분이...
2012-03-27 21:52:28 / 2011-04-08
thumbnail
  • 강명우 조회 수: 12825
  • 스케치
  • 이번에는 M3입니다. 비교적 광해가 많은 경기도 양주에서 관측을 했었는데 밝은 별 옆에 솜뭉치처럼 뿌옇게 잘 보였던 기억이 나네요. 빨리 날씨가 좋아져야 되는데 걱정입니다......^^
2013-04-09 00:02:02 / 2010-09-12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868
  • 스케치
  • 관측기록 link http://www.nightflight.or.kr/xe/observation/32985 [M82 sketch] [M82 description] 82번의 북서방향 edge의 희미한 성운기의 비밀은 아직 풀지 못했습니다 Cloudy nights 스케치 포럼의 의견도 엇갈리는 상황입니다 관련자료 link http://www.nightflig...
2012-03-28 22:23:19 / 2010-04-08
thumbnail
  • M11,M22 +3 file
  • 문상혁 조회 수: 12869
  • 스케치
  • 도심속 운동장이지만 좋은 날씨에 학교 동아리 보물의 구경빨로 관측했습니다..ㅋㅋ M11의 누운 V자 아랫부분부터 왼쪽 위로 올라가는 star chain이 있었던 것도 같았는데.. 확실하게는 잘 모르겠습니다
2013-04-09 00:03:21 / 2010-09-08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901
  • 스케치
  • 나를 Deep-sky 관측에 미치게 한 애가 1996년의 M22라면, 나를 스케치라는 깊은 구렁텅이에 빠뜨린 주범은 2009년의 Harold Hill 할아버지이다 1989년作 Cassini 스케치 한 장은 나에겐 실로 엄청난 충격으로 다가왔다 (윤정한 형님이 추구하는 완벽한 스케치를 접할 때...
2013-04-09 00:13:54 / 2010-02-09
thumbnail
  • 민경신 조회 수: 12922
  • 스케치
  • ASOD에 보낸 두점의 작품 중 등록되지 않은 스케치임니다. 전 세계 각국의 천문가가 모두 결과물을 올리는 곳이라 좀 느리고 ... 하네요. 대신에, 야간비행에 소개해 봄니다. M00N Horizon ( Along the moon limb ) 부근은 달 얼굴 전면에 비해서 극히 작은 면적이지만,...
2013-04-08 23:21:33 / 2011-11-3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930
  • 스케치
  • 지인 중에는 내가 110개의 메시에 대상에 대한 글을 모두 써 놓고 하루 하나씩 올리는 줄 알고 있는 분도 있다는.. ㅎ;; 그러면 참 좋겠지만.. 밤마다 11시 반쯤 노트북 앞에 앉아서 오늘은 무슨 얘기를 쓰나 반쯤은 이미 잠에 취해서 의식의 흐름에 따라 글을 쓰다가 ...
2016-09-22 07:27:33 이름없는별 / 2016-09-2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973
  • 스케치
  • 석호가 대체 무얼까? 20년이 넘도록 말하고 들어왔던 그 용어, 석호성운. 그게 대체 무언지 너무나 궁금해졌다 결국 네이버에서 한참을 뒤져서 겨우 대충 이해할 수 있었다 예를 들면 경포대 앞의 경포호가 대표적인 석호인데, 원래는 해안선의 일부였으나 해안에 퇴적...
2016-08-27 09:16:26 / 2016-08-27
thumbnail
  • 강명우 조회 수: 13020
  • 스케치
  • 전과 마찬가지로 시야에 줄은 별똥별이 지나간 흔적입니다. ^^ 생각보다 굉장히 밝게 관측됐던 대상입니다. 개인적으로 31보다 더 인상적이였습니다. 은한안으로 보이는 하나의 별이 특징입니다. 같은 시선방향이지만 앞뒤론 상당 멀리있는 거겠죠?
2013-04-09 00:00:50 / 2010-10-0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3037
  • 스케치
  • 어디부터 이 긴 이야기를 시작해야 할까? 메시에 천체 110개를 관측하는 얘기를 말이다. 계절의 변화에 따라? NGC처럼 적경별로? 아니면 내가 좋아하는 순서대로? 흠.. 메시에 얘기는 메시에가 번호를 붙인 순서 그대로 하는 것이 좋겠다. 메시에가 파리의 천문대에서 ...
2016-08-19 19:47:30 조강욱 / 2016-08-16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3045
  • 스케치
  • 음악을 사랑하시는 한솔형님께 여쭈어 보았다. 들으면 별이 생각나는 음악이 있는지? 질문과 동시에 얻은 답은 바흐의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5번’ 이었다 바로 집에서 브란덴부르크 5번 연주 동영상을 찾아서 들어본다. 나는 어떤 별이 생각날지.. 5번 1악장 후반부, 피...
2016-08-30 09:34:39 관심은하 / 2016-08-22
thumbnail
  • 윤정한 조회 수: 13047
  • 스케치
  • 별하늘지기 까페에서 조강욱님에게 공언한대로 플레이아데스 성단의 스케치를 올립니다. 10년전의 관측이었는데도 불구하고, 생각보다 크고, 생각보다 잘 보였던 메로페성운이 아직 눈앞에 어른거리는 듯 합니다. 그 때 관측했던 계방산 중턱 주차장은 요즘 어떤지... ...
2013-04-08 23:41:17 / 2011-02-2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3052
  • 스케치
  • 별그림을 그리는 나에게, 별사진 공모전은 일종의 꿈? 아니 객기에 가까운 도전이었다 천체사진만큼 천체스케치가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는 것도 아쉽고 그것을 향유하는 인구가 너무나 적다는 것도 또 아쉬운 일이었다 (한국만 그런 것은 아니다) 그래서, 2011년 천체사...
2016-11-18 05:10:56 / 2016-11-18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3095
  • 스케치
  • 1월 11일자 ASOD http://www.asod.info/?p=7024 내가 15번에 대해 알고 있던 것은 단지 Enif 근처에서 찾을 수 있다는 것, 그리고 그 안에 Pease1을 품고 있다는 것 단 두가지였다 오랜 기간 M15를 열심히 봤지만 그 성단을 구성하는 별들 하나 하나에 관심을 가지고 찬...
2012-03-02 06:06:45 / 2012-03-0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3158
  • 스케치
  • 메시에 스케치 레이스의 끝을 향해 달려가던 올해 봄, 수피령에서 차가 들썩 들썩 하는 폭풍 속에서 21번을 맞았다 바람이 이렇게나 부는 것에 비하면 이상할 정도로 시상도 괜찮고 투명도도 좋은데 바람 때문에 망원경이 계속 돌아가서 관측의 효율이 전혀 나지 않는다...
2016-09-30 02:52:58 조강욱 / 2016-09-28
thumbnail
  • 민경신 조회 수: 13176
  • 스케치
  • 채색 스케치를 하나 올려 봄니다. 졸속작임니다. 장마철에 비도 많이 오고,..... 겨울이면 언제나, 누구나 가장 많이 찾는 오리온의 대성운인데.. , 마두상 성운은 사진에서는 항상 왼쪽 얼굴 모습만을 보여주는데, 환상을 타고 날아가 , 말의 오른쪽 모습을 근처의 이...
2013-04-08 23:34:43 / 2011-08-04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3190
  • 스케치
  • 그간 내가 관측해본 가장 괴상한 대상은 무엇일까? '일반적인 형태와는 많이 다르다'는 관점에서.. 은하는... 그냥 생각나는 대로 써 보면, 미친듯이 가늘고 긴 NGC55번이나 Dwarf 6822정도.. 은하 그룹은 'The Box' 정도 될까? 성운이야 원래 자유형이니 pass. 산개성단...
2012-03-28 01:56:06 / 2010-09-2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