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스케치/사진 ~☆+

  • [M51] 세상의 가장 먼 결정적 순간 [스케치]
  • 조회 수: 10806, 2017-02-11 04:37:44(2017-01-24)

  • 2012년 11월, 

    나는 두 번째 호주 원정을 위해 Brisbane행 비행기에 몸을 실었다

    그 수많은 얘기들은 아래 링크로 대신하고..

    1편 http://www.nightflight.or.kr/xe/observation/62917 (두마리 토끼 - 남천과 일식)
    2편 http://www.nightflight.or.kr/xe/observation/63060 (천국의 하늘색)
    3편 http://www.nightflight.or.kr/xe/observation/63445 (멀리 있어 아름다운 것)
    4편 http://www.nightflight.or.kr/xe/observation/63709 (하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
    5편 http://www.nightflight.or.kr/xe/observation/70123 (별보는 사람은 별로써 구원받는다)
    6편 http://www.nightflight.or.kr/xe/observation/73060 (작고 동그란 반짝이는 것)
    7편 http://www.nightflight.or.kr/xe/observation/76623 (하룻밤 꿈)
     

    Brisbane에서도 내륙으로 3시간을 달려간 곳에서 만난 별쟁이, Bolton 아저씨에게

    가장 좋아하는 대상이 무엇인지 물어보았다

    그 대답은 뜻밖에도,

    북두칠성 바로 아래의 M51이었다


    호주 Queensland 하늘에서 남중고도 15도 밖에 되지 않는 아이를...

    (내가 사는 곳의 51번 남중고도는 무려 6도)

    사람이 자신이 가지지 못한 떡에 더 관심을 가지는 것은 당연한 것인가보다


    그 51번을 거의 일년 내내 볼 수 있는 우리들에게도

    51번 부자은하는 축복의 대상이다. (다만 8인치 이상 망경 있는 사람에게만..)

    그 어떤 Face-on(정면) 은하가 이렇게 밝고 디테일하게 보일 수 있을까?


    흠, 사진으로 보면 33번이 더 화려하겠지만 

    그건 사람의 눈 대신 CCD로 오랫동안 빛을 모아야 가능한 일..

    눈으로 보는 정면 나선은하 중에 이보다 잘 돌아가는 은하는 아마 없을 것이다


    북두칠성의 여섯번째 별이 시력검사의 별이라면

    북두칠성의 일곱번째 별 밑의 M51은 시상검사의 천체다


    봄이 되면 별쟁이들은 망경을 세팅해 놓고

    오늘의 관측을 시작하기 전에 

    우선 하늘 높이 떠 있는 51번을 보며 오늘의 시상을 가늠해본다

    51번이 잘 보이면 은하랑 성운으로 계속 가는 거고

    51번이 잘 안보이면 성단으로 전환..



    2011년엔 M51에서 큰 일이 있었다

    꽤 밝은 초신성이 관측된 것이다

    6월 어느 맑은 날,

    인제의 불법(?) 관측지에서 51번을 만났다


    [ M51 & SN2011DH, 인제 K**T에서 조강욱 (2011) ]
    M51_res_110606.jpg


    51번에서는 꼭 봐줘야 할 구조들이 있다

    ① 팽팽 돌아가는 두 갈래 나선팔 (시상 검사용 팔)
    ② 나선팔 주위의 Halo
    ③ 은하면 위에 보이는 별
    ④ 아들 은하 5195의 삼각형 모양 Halo
    ⑤ 아빠의 핵과 아들의 핵 중 무엇이 더 밝은가?
    ⑥ 부자은하 관측의 화룡점정, 두 은하를 연결하는 bridge
    ⑦ 미션 임파서블, bridge 위의 13등급 성운(아래 그림의 정 가운데 있는 것)

    bridge.JPG


    어쨋든, 오늘 51번을 잡은 목적은 51번의 유려한 자태를 감상하는 것이 아니라

    그 안에서 빛을 발하는 별 하나를 보는 것이었다


    그 아이는, bridge로 향하는 나선팔의 끝자락에 있었다

    나는 3천만년 전의 빛이 '깜박' 하고 잠시 (한두달 쯤) 켜졌다 꺼진 것을 본 것이다

    M51_des_110606_2.jpg


    초신성이 아름다운 것은, 

    사람이 볼 수 있는 가장 멀리 있는 '결정적 순간'이기 때문이다








                            Nightwid 無雲


댓글 2

  • 김철규

    2017.01.26 22:58

    그곳에서도 보이긴 보이는군요. 그렇다면 북천의 대상들이 그래도 거의 보이긴 하는가 봅니다. ^^ 보기 힘든 대상들이 더 애착이 가는건 어딜가나 마찬가지네요. ^^
  • 조강욱

    2017.02.11 04:37

    그러니까요 남의 떡이 항상 더 크죠 ㅎㅎㅎ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430
  • 스케치
  • 별에 미쳐서 공부도 안 하고 산과 들을 떠돌다가 선동렬 방어율 수준의 학점을 받아들고 남들보다 빨리 군입대를 하게 되었다 논산 훈련소에서 박박 기고 있을 때도 한달 뒤면 최전방에서 엄청난 은하수를 볼 꿈에 부풀어 있었는데 자대에 도착해보니.. 그곳은 용산 전...
2016-11-11 15:19:16 / 2016-11-1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439
  • 스케치
  • 안시로, 또는 사진으로 메시에 전 대상을 관측한 사람은 꽤 많다 하지만 M59가 어떻게 생겼는지 기억나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스케치를 한 나조차도 메시에 마라톤 순서인 "T2 옆에 58-59-60" 밖에 기억이 나지 않아서 내 스케치를 다시 찾아보았다 작은 솜뭉치. ...
2017-02-28 04:18:48 / 2017-02-28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449
  • 스케치
  • 북반구 중위도에 사는 관측자에게 M13은 특별한 존재이다 ‘하늘에서 가장 밝고 큰 보기 좋은 구상성단’이기 때문이다. 과연 진짜로 그럴까? 전 하늘에서 가장 밝고 큰 구상성단부터 순서를 매겨 보자. 13번의 위치는 Top 5에도 들지 못하고 겨우 7번째에 이름을 올리고 ...
2016-09-08 05:11:55 조강욱 / 2016-09-0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473
  • 스케치
  • 2009년 가을 어느날의 천문인마을은 너무나도 맑았다 그리고 지난번 글에서 떠든 주변시도 필요 없이 굵은 나선팔들이 너무 쉽게 휙휙 돌았다 언제 다시 이런 33번을 또 볼 수 있을까 하나 문제는, 내 실력이 그 나선팔을 표현할 정도가 아직 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나...
2016-12-05 13:43:51 조강욱 / 2016-11-13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567
  • 스케치
  • 14번을 찾아가는 길은 쉽지 않다 1년에 한 번(메시에마라톤) 밖에 찾지 않아서 이기도 하고 호핑 루트에 밝은 별이나 특징적인 별무리가 없기 때문이기도 하다 흠 그럼 보이는 모습은? 그렇게 대충 봐서 기억이 날 리가 없지 2014년 여름휴가는 횡성의 천문인마을에서 ...
2016-09-14 07:48:09 조강욱 / 2016-09-07
thumbnail
  • 민경신 조회 수: 11576
  • 스케치
  • 1년이 다되어 가는 지난작품인데, 달남부 쉴러, 클라비우스의 지평선 지역임니다. 척 봤을때, 동남아 국가의 불탑 같이 느껴지는 풍경이었음니다. 120km 구간의 디테일이 도저히 3-4시간에 그려낼수없이 방대하여, 개략적으로 그렸음니다. 따라서, A급 스케치가 되지못...
2013-04-08 21:24:30 이한솔 / 2012-12-02
thumbnail
  • 민경신 조회 수: 11586
  • 스케치
  • 두 달전에 관측했던 지역인데, 잘 된 작품이라 생각되어 여기 올림니다. ........알키메데스 화구에서 플라토 화구 쪽으로 쭉 올라가면 지평선과 만나는 장소임니다. 화면의 큰 분화구는 지름 6-70 킬로미터 돼 보임니다. 암흑의 어둠속에 양광을 받아 반짝거리는 아주 ...
2013-04-08 23:57:32 / 2011-01-2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612
  • 스케치
  • 하늘에 57 같은 아이가 또 있을까? 망원경이 크던작던 서울이던 시골이던 초보라도 고수라도 맑던 흐리던 천정인지 지평선인지 아무 관계 없이 57번 고리성운은 사람들에게 자신의 모습을 온전히 모두 내어준다 (이 봉사는 11번이나 42번의 그것과는 또 다르다) 그리고 ...
2017-02-17 04:31:14 / 2017-02-17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613
  • 스케치
  • 밤하늘에는 안시용 대상과 사진용 대상이 있다 물론 밤하늘의 성자 57번처럼 안시로도 사진으로도 모두 만족스러운 대상도 있지만 말이다. 나는 안시쟁이라 장시간 노출로만 화려하게 나오는 희미한 성운류를 그리 좋아하지 않는다 아무리 해도 사진 만큼의 감동을 느끼...
2016-09-14 07:48:37 / 2016-09-10
thumbnail
  • 십자성 조회 수: 11676
  • 스케치
  • 이 그림은 어젯밤 작성한 것인데, 가타나와 같이 올려봄니다. 올가을 부터 가동을 시작한 장비가 관측 효율이 매우 높아, 주로 달관측에 활용하고있음니다. 당분간은 달에 전념할거 같음니다. 가끔 딮슥하이도 보고 싶기는 한데......여기 올린 지역은 특이하게 분화구B...
2013-04-08 23:58:09 / 2011-01-1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695
  • 스케치
  • 2013년 2월. 지구 최근접 소행성이 지나간 날이었다 거 기왕 지나가는거 주말에 지나가면 좋으련만.. 금요일 저녁이다 한 주의 피로를 한가득 안고 퇴근하자 마자 밥도 안 먹고 짐 챙겨서 천문인마을로 출발. 불금의 정체를 뚫고 자정이나 되어서야 시린 늦겨울 별들과 ...
2017-04-18 03:37:26 / 2017-04-18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734
  • 스케치
  • 관측 기록 http://www.nightflight.or.kr/xe/observation/32903 겨울 밤하늘에는 환상의 짝궁이 몇 커플 있습니다 M46 & NGC2438 도 있고, NGC2207 & IC2163 도 있고.. 더 생각해보면 M44와 NGC2624 일당들, IC434와 B33, NGC2362와 큰개Tau, M42/43과 NGC1976, ...
2012-03-28 22:44:28 / 2010-01-27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774
  • 스케치
  • 소모적(이라고 말하면 내 일과 삶이 너무 허무해 지지만)이고 물리적, 정신적으로 여유를 가지기 어려운 생활을 이어오다보니.. 스케치 게시판에 글을 올린지도 벌써 반년이 지났다 (별보러 갔다 온지도 4개월이 되었다) 일전에 안철수 교수의 인터뷰를 퇴근길에 DMB로 ...
2012-04-08 07:40:24 빌리 / 2012-01-0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833
  • 스케치
  • 71번은 사람을 헷갈리게 만드는 대상이다 이게 정말 구상성단이 맞을까? 생긴거는 꼭 산개성단 M11 비슷하게 생겼는데.. 우리들 뿐 아니라 천문학자들도 1970년대까지는 M71을 산개성단으로 분류해 놓았었다 최근에야 구성 별들의 성분 분석을 통해 구상성단임이 밝혀진...
2017-07-10 03:21:16 / 2017-07-1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837
  • 스케치
  • 1841년, 남쪽 하늘에 갑자기 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이 생겼다 그렇다고 초신성도 아니고.. 현재까지 발견된 가장 질량이 큰 별인 카리나자리 에타별에서 분출된 물질들로 인하여 그렇게 밝아진 것이다. 이름하여 "The giant eruptions" 지겹도록 봐 온 사진이지만, 그 비...
2012-03-28 02:00:10 / 2010-09-2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854
  • 스케치
  • 20년 전, 대학생이 되면 꼭 김광석의 라이브 공연에 가보고 천문동아리에 들어서 망원경으로 하늘을 보고 싶다는 두가지 명확한 소망을 가진 고3 학생이 있었다 그러나 대학교 원서 내고 오는 길에 신문 가판대에서 김광석 사망 기사를 만났고 아직 동아리방도 구하지 ...
2016-10-13 09:07:44 김재곤 / 2016-09-3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855
  • 스케치
  • 미국의 안시 관측가인 Steve Coe 할아버지가 말씀하셨다는 유명한 별동네 격언(?)이 있다 "만약 내가 오리온 대성운을 보는 것이 지겨워질 때가 온다면 그 때는 내 장례식 날짜를 잡아야 할 것이다" 언제 왜 그런 얘기를 한 것인지 아쉽게도 그 원문은 찾을 수 없었지만...
2016-12-14 04:26:55 / 2016-12-14
thumbnail
  • 문상혁 조회 수: 11911
  • 스케치
  • 거의 관측 할 때 마다 본 대상이지만 스케치하는것은 처음이네요 저배율로 전체적으로 그린 후 밀집지역은 고배율 아이피스로 갈아끼워서 스케치했습니다 항상 학교 운동장에서 관측할 수밖에 없다보니 광해를 벗어날 수가 없네요.. 학교 불 꺼진 후에는 그나마 나아졌...
2013-04-09 00:00:27 / 2010-10-03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916
  • 스케치
  • 54번은 그저 평범한, 구상성단으로서는 적당한 크기의 적당한 밝기의 아이지만 나름 꽤 특이한 모양을 하고 있다 성단 내부의 별 배치와 헤일로가 반대 방향으로 보이는 것이다 구상성단의 분해되지 않는 외곽 부분의 성운기를 뭐라고 불러야 맞는 것인지는 나도 잘 모...
2017-02-11 04:21:39 / 2017-02-11
thumbnail
  • 서강일 조회 수: 11922
  • 스케치
  • 2012년 11월 이후에 못하던 관측을 다시 시작하면서! 소규모 10대 친구들과 함께 강원도 귀래면에 있는 귀래정에서 관측을 진행했습니다. 날이 좋았는데 일요일에 비가 오려고 해서 그런건지.... 계속 연무가 끼고, 날이 풀리면서 산에서 도랑으로 물이흘러 안개가 약간...
2013-04-08 21:23:55 서강일 / 2013-03-1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