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스케치/사진 ~☆+

  • [M38] 어떻게 해야 성단이 최고로 반짝일 수 있을까? [스케치]
  • 조회 수: 9773, 2016-12-05 13:45:36(2016-11-29)

  • 38번은, 별이 꽤 많은 성단인데도 가운데가 텅 비어 있다

    38_sketch.jpg


    중앙에 밝은 별 하나 외에는 사각형 모양으로 비어 있는 것이다
     
    반대로 주변부는 화려하고 다채롭다.
     
    번화한 도시의 중심은 슬럼화되고 외곽 지역에 부촌이 형성되는
     
    도시 공동화 현상이 왜 생각이 나는 것일까?
     
    내 맘대로 슬럼 성단이라고 이름을 지어 본다



    ===========================================================

    회사에서 한국 시장 마케팅 기획을 하던 나에게, 

    유럽 출장은 접하기 힘든 낯선 미션이었다

    어찌 어찌, 이리 뛰고 저리 뛰어 오스트리아 빈에서의 미팅 일정을 마무리하고 

    홀가분한 마음으로 오후 몇 시간을 자유롭게 쓸 수 있게 되었다


    뭘 하지? 

    짧은 검색 끝에
     
    클림트와 에곤 쉴레의 전세계 최대 collection이 있다는 벨베데레 궁으로 향했다

    (짧은 거리에 택시비가 무려 만원..) 

     
    키스의 원작은 확실히 볼만했다

    kiss.JPG


    택시비가 하나도 아깝지 않았다
     
    항상 컴화면에서 조그만 이미지로 보던 것을
     
    2미터쯤 되어 보이는 원작으로 보니
     
    너무나 익숙한 그림임에도

    아! 감동이 밀려온다
     
    야구에서 직관의 맛이 있듯이,
     
    미술관에서 원작을 감상하는 것은 항상 감동적이다.

    (나에게는 이우환과 곽인식, 허스트의 점 그림들이 특히 그렇다)
     

    키스, 유디트 등 클림트의 반짝이 그림들을 침흘리고 멍하니 보고 있다가
     
    문득 재료의 다양성에 대해 생각해보게 되었다
     
    연필, 콩테, 파스텔, 아크릴, 검은 종이와 캔버스..
     
    클림트의 반짝이를 보고서, 

    꼭 그림 재료로만 그림을 그리지 않아도 된다는 생각이 들었다
     
    산개성단을 샤프나 젤리펜이 아니라 

    클림트처럼 반짝이를, 아니 진짜로 보석을 붙여넣고 싶어졌다



    귀국하여 얼마 뒤, 비즈 재료 도매시장이 있는 동대문 종합상가 5층으로 향했다

    5층에 올라서는 순간, 수많은 시선이 나에게 꽂히는 것이 느껴졌다
     
    '저 X는 머야????'
      
    가게 사장님들은 간혹 남자들도 있었으나 재료를 사러 온 사람들은 100% 모두 여성이다
     
    '저 X는 머야???? 택배 기산가???'
     
    평소 쪽팔림이란 걸 모르는 Nightwid.
     
    택배 기사로 추정되는 시커먼 아저씨가 여자들의 세상을 여기저기 기웃거리고 있으니
     
    뒤통수가 따가워짐이 느껴진다


    한참을 뒤져서 원하는 빛나는 점들을 발견했다

    biz.jpg


    그래 이거야!!!!
     
    검은 펠트천에 붙은 반짝이들..
      
    수상한 아저씨한테 눈길도 주지 않는 무뚝뚝한 여사장님께
     
    내가 그리는 별그림을 보여주며 이런 것을 하고 싶다고 졸라서

    재료와 작업 방법을 배웠다
     

    재료의 이름은 핫픽스.
     
    유리로 만들어진 작은 반짝이들인데, 뒷면은 열을 가하면 녹는 접착제가 붙어있다
     
    펠트천이나 옷감 등 원하는 바탕에 반짝이들을 올려놓고 다리미로 열을 가하면 

    접착제가 녹으면서 착 달라붙는 방식..
     

    집에 돌아와서 시간이 있을 때마다 몇 날 며칠을 비즈 공예(?)에 심취했다
     
    새벽 1시에 작은 방에 쭈그리고 앉아서 핀셋으로 2mm 짜리 비즈 알갱이들을 집어서
     
    예전에 그렸던 38번 스케치와 비교하며 완벽하게 별배치를 맞추고 있으려니
     
    온갖 생각이 머리를 어지럽힌다
     
    이건 진짜 미친 짓이야 난 누군가 또 여긴 어딘가
     

    몇 차례의 삽질로 많은 비즈와 펠트천을 날려먹은 뒤
     
    나름 심혈을 기울여서 38번의 별 배치를 반짝이로 똑같이 만들었다

    (하도 여러번 하다보니 38번 별 배치를 눈 감고도 외울 수 있게 되었다)
     
    근데.. 열심히는 했지만 성에 차질 않는다
     

    내가 산개성단을 비즈로 표현하고 싶다는 생각을 한 이유는
     
    그 영롱하게 반짝이는 별빛을 샤프나 젤리펜으로는 표현하기가 너무 어렵기 때문이었다
      

    근데
     
    다 만들었는데....
     
    별로 반짝이질 않는다.
     
    조명에 잘 비춰야 겨우 조금 '반짝'일 뿐.
     
    아.. 이것이 한계인가? 너무 약한데..

    biz_38.jpg

     
    왜 다이아처럼 반짝이지 않는가? 루뻬를 들이대고 비즈를 하나 하나 확대해 보니

    그 비즈들의 컷팅은.. 면도 불균일하고 컷팅도 들쑥날쑥이다

    결혼 반지의 다이아와 비교해 보니 비교 자체가 불가한 정도.
     
    하긴 한 웅큼에 2000원 하는 비즈와 다이아몬드가 반짝임이 같으면 안 되는 것이겠지...
     

    돈을 좀 써야겠다.

    인터넷에서 스와로브스키 비즈를 찾아보니
     
    일반 유리 비즈에 비해 10배~20배 정도 더 비싸다
     
    헉!
     
    이것도 일종의 장비병일까..  아님 최소한 그 정도 투자는 해 줘야 하는 것일까..
     
    내가 표현하고 싶은 것들을 제대로 표현할 수만 있다면
     
    충분히 시도해볼 가치가 있겠지......


    그리고
     
    택배로 받아본 개별 포장된 스와로브스키(SWALOVSKI) 크리스탈을 본 순간,
     
    10배의 가격은 의미가 있는 것임을 깨닫게 되었다.
     
    그래. 여자들이 다이아몬드에 열광하는 것도 이런 이유겠지


    목욕재계하고 정신을 가다듬고 다시 방에 쭈그리고 앉아서 핀셋으로 한땀 한땀 크리스탈을 올린다

    근데 대체 이걸 왜 이렇게 열심히 하고 있는 것일까?

    swal_38.jpg



    아하하.... 이젠 좀 만족스럽네...

    수공예품 한 장 만드는데 재료비 5만원과 내 인건비가 몇 시간 들어간다는 것 빼고는 말이야..








                                                Nightwid 無雲


댓글 4

  • 홍대기

    2016.12.01 05:42

    스케치가 아니라 공예(?)로까지 천체관측의 지평을 넓히셨네요 ^^  외국 생활은 괜찮으신지요~. 

  • 조강욱

    2016.12.05 13:44

    네,, 하루 하루 분투 하고 있습니다.. ^^;;;

  • 이민정

    2016.12.04 20:29

    강욱양~~ 네 크리스탈 작품은 잘 지내고 있으니 걱정 말그래이~~ㅎㅎ
    내가 두고두고 이뻐해 줄께.
  • 조강욱

    2016.12.05 13:45

    많이 예뻐해 주셈..

    닳아 없어질 때까지 ^^*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513
  • 스케치
  • 영하 10도가 넘는 강추위가 연일 이어지는 요즘입니다. 저는 추위를 안타기로 소문(?)이 난 사람이지만.. 한해씩 지나면서 점점 더 추위를 느껴가고 있습니다. 요즘은 겨울에 반팔 입고 못 다닐 정도... (산청은 서울에 비하면 너무나 따뜻하더군요.. 긴팔 옷을 입으면 ...
2013-04-09 00:00:09 / 2011-01-13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489
  • 스케치
  • 나에게는 M3에 대한 큰 고정관념이 있었다 바로 나의 스케치 스승님인 윤정한님의 2003년 스케치 때문이다. 무엇이 보이는가? 별다른 느낌이 들지 않으면 아래 가이드를 잘 보고 다시 보자 M3을 보며, 우리는 안시관측의 첫 번째 기적인 ‘아는 만큼 보인다’를 체험할 수...
2016-08-20 08:09:42 / 2016-08-19
thumbnail
  • 김경구 조회 수: 12486
  • 스케치
  • 12월3일 양평국제천문대에서 달이 지기를 기다리며 그린 스케치 입니다. 아직 연습이 많이 필요하네요. ㅎㅎㅎ 대상 : Moretus / 월령 : 8 날짜 : 2011년12월3일 23시~24시 장소 : 양평 국제천문대 공터 장비 : 12" 돕 / 10mm / x152 하늘 : trans 4/5 seeing 4/5
2013-04-08 23:20:31 김남희 / 2011-12-08
thumbnail
  • 민경신 조회 수: 12464
  • 스케치
  • 장마가 물러간 직후, 이틀즘 지나서, 밤하늘이 갠 8월 20일 ~ 24일 경 즈음에 관측한 목성 스케치 임니다. 7개월 동안 못 보다 이번에 장마 끝에 보니 , 반갑고, 남적도대의 붉은 띠와 대적점도 확연히 살아나서, ... 특히, 목성의 눈인 대적점 부근이 인상깊게 화려한 ...
2013-04-08 23:33:41 / 2011-09-12
no image
  • 이영희 조회 수: 12438
  • 일반
  • Saguaro Astromy Club homepage에 있는 AstroByte Logging Software 를 소개합니다( http://www.saguaroastro.org/content/downloads.htm ). 1. 모든 관측활동 혹은 과정을 문서화 할 수 있으며 2. 모든 log을 report할 수 있는 기능 3. 노트북이 있다면 관측지에서 노트...
2012-03-28 23:24:58 / 2005-03-0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432
  • 스케치
  • 문득 오래전에 망한 대작 드라마 '백야 3.98'이 생각나서 비슷한 제목을 지었습니다 ^^;; 한참 전부터 그리고 싶던 것이 있었습니다 어느 유명한 크레이터도, 도전 대상인 희미한 열구도 아닌 달 전체의 모습.... 갈릴레이도 20배의 배율로 비슷한 모양의 달을 관측했을 ...
2012-03-28 22:35:09 / 2010-02-23
thumbnail
  • NGC7479 +2 file
  • 이건호 조회 수: 12405
  • 사진
  • 천문인마을 스타파티에서 요청하신 사진입니다. 막눈으로 판정하면, 별이 아닌 나선 팔의 불규칙한 부분으로 보입니다. 덕분에 파전 맛있게 먹었습니다. 종종 내기 하십시요. ㅎㅎ
2013-04-08 23:07:25 / 2005-10-1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373
  • 스케치
  • 관측기록 Link http://www.nightflight.or.kr/xe/observation/33697 ASOD, 2011년 6월 28일자 http://www.asod.info/?p=6037 3주에 걸친 지겨운 장마가 끝나고, 비가 그치자마자 바로 숨막히는 더위.. 그래도 회사 회의실 너머로 보이는 풍경이 수채화처럼 투명한 것이 ...
2013-04-08 23:35:15 / 2011-07-1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368
  • 스케치
  • 25번은 보는 순간 오~ 하는 탄성을 부르게 할만한 궁수자리 산개성단이다 하지만 25번이 어떻게 생겼더라? 잘 기억이 나지 않는 것은 워낙에 인물이 많은 궁수에 위치해 있기 때문이다 25번의 중심부에는 두 줄기의 스타체인이 동서로 뻗으며 흡사 석호성운의 암흑대와 ...
2016-10-16 03:50:46 / 2016-10-16
thumbnail
  • M57 .... +10 file
  • 김지현 조회 수: 12359
  • 스케치
  • 지난 3월 천문인 마을에서 그린 M57입니다. 얼어붙은 손을 호호 불던 기억이 새롭게 떠오릅니다. 세상에서 가장 오래되고, 가장 아름답고, 가장 커다란 미술관은... 하늘이 아닐까 생각해보았습니다. 하늘 미술관의 멋진 작품들을 망원경과 눈동자와 손끝으로 더 자주.....
2013-04-09 00:02:38 / 2010-09-1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347
  • 스케치
  • 집에 있는 6만원짜리 적도의(EQ2)로 첫 관측 후 실망하여 남희님께 그냥 드리겠다고 양도도 아닌 떠넘기기를 선언했었는데.. http://www.nightflight.or.kr/xe/free/29978 10월 어느 달이 밝은 밤.. 그냥 문득 달이 보고싶어졌다 그리고 이전 관측에서 무게추를 안 가져...
2011-12-07 18:20:26 / 2011-11-13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193
  • 스케치
  • 10번은 뱀주인자리 5형제(비록 노잼 5형제지만) 중의 맏형이다. 북천 트로이카 13번, 5번, 3번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작은 아이지만 말이다 그렇다 해도 볼 것이 없는 것은 아니다 모든 구상성단은 저마다의 특징이 있기 때문이다. 그 중 10번은 구상 중에서도 참 ...
2016-09-08 05:25:37 조강욱 / 2016-08-30
no image
2013-04-08 23:02:54 / 2005-03-07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098
  • 스케치
  • 69 - 70 - 54. 딱 거기까지다 별을 좀 본다는 사람들도 궁수자리 바닥에 위치한 세 개의 작은 구상성단의 순서, 69번 → 70번 → 54번.. 그 이상의 것은 생각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리 밝지도 특이하지도 않은 애들이기 때문이다. 우주 상에서 그리 큰 관계가 없을 두 성...
2017-06-25 06:18:54 / 2017-06-25
thumbnail
2013-04-08 23:11:10 최형주 / 2012-06-07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040
  • 스케치
  • 원래 계획은 메시에 110개 스케치를 모두 완성한 다음 날부터 칼럼 연재를 시작하려 했는데, 별 이유 없이 차일피일 미루게 된 것은 M9번 때문이었다 흠 그래 1번은 1054년 얘기 쓰고 2번은 꽃게 쓰고 3번은 고속도로 4번은 하트... 하다 보니.. 9번은 뭘 쓰지? 쓸 말이...
2016-08-30 07:49:18 조강욱 / 2016-08-29
thumbnail
  • M29 +1 file
  • 강명우 조회 수: 11990
  • 스케치
  • M29 입니다. 나비를 연상케하는 이쁜 산개성단입니다. ^^ 추석은 다들 잘보내셨는지요?? 위, 아래 두 성운끼 안으로 위쪽에 세개 아랫쪽에 세개의 별이 굉장히 이쁘게 잘 보입니다. ^^ 한번 찾아보세요~
2013-04-09 00:01:20 / 2010-09-25
thumbnail
  • 박상구 조회 수: 11962
  • 스케치
  • 올 여름 장마는 유난히 지루하게 느껴집니다. 장마에 바쁜 일정까지 겹쳐 힘든 나날을 보내고 있습니다. 밤하늘에 아무 것도 안보이면 기력이 빠지는 느낌인데 어쩌다 맑은 날이 와도 야근이니... 그래도 인터넷에서 쓸만한 사진을 찾아서 그려보는 연습은 할 수 있어 다...
2013-08-01 21:11:07 조강욱 / 2013-07-30
thumbnail
  • 서강일 조회 수: 11922
  • 스케치
  • 2012년 11월 이후에 못하던 관측을 다시 시작하면서! 소규모 10대 친구들과 함께 강원도 귀래면에 있는 귀래정에서 관측을 진행했습니다. 날이 좋았는데 일요일에 비가 오려고 해서 그런건지.... 계속 연무가 끼고, 날이 풀리면서 산에서 도랑으로 물이흘러 안개가 약간...
2013-04-08 21:23:55 서강일 / 2013-03-1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917
  • 스케치
  • 54번은 그저 평범한, 구상성단으로서는 적당한 크기의 적당한 밝기의 아이지만 나름 꽤 특이한 모양을 하고 있다 성단 내부의 별 배치와 헤일로가 반대 방향으로 보이는 것이다 구상성단의 분해되지 않는 외곽 부분의 성운기를 뭐라고 불러야 맞는 것인지는 나도 잘 모...
2017-02-11 04:21:39 / 2017-02-1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