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스케치/사진 ~☆+

  • [M17] 많이 보기 vs 잘 보기 [스케치]
  • 조회 수: 9408, 2016-11-27 11:33:06(2016-09-14)


  • 천체 스케치를 주제로 이렇게 별 대책 없는 하루살이 칼럼을

     

    메시에 110편 완주를 목표로 하루하루 써나가고 있지만

     

    2009년까지만 해도 천체 스케치는

     

    그저 하면 좋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막상 하려니 엄두가 나지 않는그런 일이었다

     

    매일 빼먹지 않고 어학 공부를 하면 언젠가는 귀가 뚫리고 입이 트인다는 것을 모두 알지만

     

    그냥 그래 맞는 얘기지하고 할 생각을 잘 하지 않는 것처럼 말이다

     

     

     

    고등학교를 졸업하며, 내가 가장 기뻤던 이유는 더 이상 미술을 하지 않아도 되었기 때문이다

     

    (그림에 소질도 없고 관심도 없었으니까)

     

    별나라 선배들께 스케치는 안시관측의 왕도라는 얘기를 많이 들었지만

     

    정작 그 형님들도 스케치는 잘 하지 않았다

     

    그림을 그리기 싫던 나도, 스케치가 아니더라도 할 일은 많을 거라고 스스로 합리화하며

     

    긴 시간을 보냈다 (그렇다고 놀지는 않았다)

     

     

     

    그러다 20095월에, 무슨 바람이 불었는지 평생 보지 않던 달을 보다 보니

     

    대체 이 복잡한 구조를 어떻게 관측기를 쓰나..

     

    (Theophilus 크레이터)

    theo사진.jpg

     


    몇 장을 글을 써야 구덩이 하나를 표현할 수 있을까.

     

    오히려 그림 그리는 것보다 글을 쓰는 게 더 엄두가 나질 않았다

     

     

    마침 아파트 1층 현관 광고판에 붙어 있던 미술 과외 합니다전화번호에 연락하여

     

    당장 그 주부터 우리 집에서 반년동안 매주 토요일마다 몇 시간씩 재료 쓰는 법을 배웠다

     

     

    흰 종이, 검은 종이, 샤프, 파스텔, 펜촉, 찰필, 지우개..

     

    (Theophilus 습작 - 흰 종이에 샤프, 조강욱)

    theo그림.jpg

     

     

    고등학교때 진절머리 나게 싫어했던 미술을 스스로 간절하게 배우게 되다니.

     

    참으로 인생이란 알 수 없는 것인가 보다

     

     

    어설픈 솜씨로 달과 NGC 몇 개를 그려본 후로,

     

    맑은 여름밤의 벗고개에서 처음 마주한 메시에 대상이 17번이었다

     

     

    그동안의 나는 실적 지상주의가 뿌리 깊게 박혀 있는 사람이라,

     

    관측지에서 무조건 많이 보는 것을 최고의 미덕으로 알고 있었다

     

    무조건 새로운 대상들을 최대한 많이 찾아보고

     

    오늘은 은하 40개 성단 20개 봤어이런 것으로 뿌듯해 하는 것 말이다

     

    (뭐가 뭐였는지 하나도 기억도 못하면서)

     

     

    너무나 익숙한 밝은 발광성운인 M17이지만

     

    그림을 그리려니 쉽지 않았다

     

    어설픈 솜씨로 처음 시도한 메시에 스케치가 복잡한 성운이었으니 잘 될 리가 없지..

     

     

    하지만 스케치의 1차 목적은 그저 멋있는 그림을 그리는 것이 아니다.

     

    그림을 그리며 강제로 오랫동안 대상을 보게 되면

     

    그 대상을 이전보단 훨씬 자세히 볼 수 있게 된다.

     

    (자세히 볼 생각이 있던 말던) 나의 의지와는 별로 상관 없이 말이다

     

    그림을 잘 그리던 못 그리던 스케치를 시도하며

     

    1차 목적은 자동으로 달성하게 되는 것.

     

     

    15년을 익숙하게 보던 대상인데, 한 시간을 성운의 모양을 잡고 있으니

     

    (그림을 그리면 상대성 이론이 적용되는지 시간이 몇 배로 빨리 간다)

     

    평소에는 보지 못했던 (또는 볼 생각도 하지 않았던) 구조들이

     

    양파 껍질 벗기듯 하나씩 떠오른다

     

    (M17 구조 설명)

    M17_des.jpg

     

     

    검은 호수에 우아하게 떠 있는 백조 한 마리..

     

    그 목에 감긴 진주 목걸이

     

    몸통 안의 bright patch

     

    그 머리 위의 밝은 별과 성운기

     

    주변시로 보이는 백조 머리 뒤의 후광 (마치 예수의 성화를 생각나게 한다)

     

    그리고 안시로는 절대 볼 수 없을 것이라 생각했던

     

    꼬리 뒤의 길고 얇은 호 모양의 성운까지.

     

     

    [ M17, 백조 목에 진주 목걸이 - 양평 벗고개에서 조강욱 (2009) ]

    M17_rev.jpg

     

     

     

    집에 오는 길.

     

    어둠이 내린 345번 지방도를 달리며..

     

    지금까지 십수년간 천체관측을 하면서 한 번도 느껴보지 못한

     

    기분 좋은 포만감에 그냥 저절로 웃음이 나온다

     

    하룻밤에 50개를 봐도, 100개를 봐도 느낄 수 없었던 만족감.

     

    오늘은 처음으로 진짜 별 좀 본 것 같다

     

     

    관측지에서 고작 성운 하나 보고서도 기분이 좋아서

     

    차창을 열고 노래를 부르며 집에 돌아오면서

     

    메시에 대상을 하나씩 모두 그려 보아야겠다고 계획하게 되었다

     

    (이렇게 오래 걸리리라곤 생각도 못 했지만)

     

     

    망원경을 만진 뒤로 14년간 강박관념으로 가지고 있던

     

    하루에 한 개 이상 무조건 새로운 대상 찾아보기

     

    그날부로 갑작스런 이별을 맞게 되었다


    아무 미련 없이

     

     

     

     

                                                 Nightwid 無雲



댓글 0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6090
  • 스케치
  • 썩소를 짓고 있는 얼굴 표정, 84 & 86 주위의 은하 9개 중에서 나는 M86 위의 눈썹인 NGC 4402를 가장 좋아한다. [ 7천만광년 저 편에서 썩소를 날리다 - 15인치 반사, 검은 종이에 파스텔과 젤리펜, 조강욱 (2014) ] 뭐가 86번인지 4402인지 헷갈리는 분들을 위해 ...
2018-09-23 02:04:43 / 2018-02-03
thumbnail
  • 천세환 조회 수: 6013
  • 스케치
  • 눈을 사물에 고정시킨 채 그림을 그리는 기법 - 블라인드 컨투어 드로잉은 관찰력을 키울 수 있는 좋은 훈련법이지만 왠지 두려움이 느껴진다는 것이 천체스케치와 비슷합니다. 이번에는 그 심리적 장벽을 넘어보고 싶어서 월령 10일의 달을 대상으로 블라인드 드로잉 ...
2016-09-20 02:26:47 조강욱 / 2016-09-14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5911
  • 스케치
  • 이번 추석에도 울산 미호리의 처가 전원주택에서 며칠간을 보낸다 슈퍼문인지 먼지 어짜피 보름달이라 큰 관심은 없지만 그래도 추석 보름달은 남다르지.. 초딩 1학년 조예별양 학교 숙제도 '보름달 보며 소원 빌고 학교에서 친구들에게 얘기해주기'라서 초저녁부터 시...
2014-09-20 03:07:40 조강욱 / 2014-09-10
no image
  • 조강욱 조회 수: 5812
  • 스케치
  • 관측기가 어디갔지? 그당시 내가 썼던 관측기록을 야간비행에서 찾아서 읽어보고 짜깁기 해서 연재글을 만들어야 하는데.. 아무리 찾아도 M108번 관측기록이 나오지 않는다 그거 이상하네 내 스케치북과 포트폴리오를 다 꺼내서 펼쳐본다 설마... 설마... 내 10년간의 ...
2019-01-20 06:43:17 조강욱 / 2019-01-13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5752
  • 스케치
  • 처녀자리 은하단의 가장 밝은 은하 M87. 87번에는 오래된 전설이 전해 내려온다 미국 아줌마가 24인치로 타원은하의 Jet을 알현하였다는 전설의 기록 말이다.. 우선 허블로 찍은 사진을 보자 (중국산 허블미러 말고.. 우주에서 일하던 그것) 무언가 엄청 그럴듯해 보이...
2018-02-11 06:17:26 / 2018-02-1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5433
  • 스케치
  • 별쟁이들은 별이 잘 보이는 곳에 갈 수만 있다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다 군부대는, 그런 의미에서 아주 탐나는 장소다. 다들 그 곳에서 예전에 안 좋은 기억이 있음에도 말이다. 그와 동시에 군부대는 항상 불안한 곳이다. 언제든 쫓겨날 수 있는 곳이니.. 인제의...
2017-12-19 19:17:54 / 2017-12-1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5426
  • 스케치
  • 오리온이 밟고 있는(?) 토끼자리에 위치한 M79는 겨울 하늘의 유일한 구상성단이라는 희소성 치고는 존재감이 희박한 아이다. 가을철 하늘에서 보던 2번이나 5번에 비하면 너무 심심한 구상이기 때문이다. "에이.." 어느 가을날 밤, 여느 때처럼 2번과 5번을 보며 한참 ...
2017-12-01 12:14:59 / 2017-12-0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5400
  • 스케치
  • 원래 매스컴표 '행성직렬 우주쇼'에는 큰 관심이 없었는데.. 오늘의 달과 행성들은 너무 예쁘다 그 조합에 감탄하다가 집 마당에 서서 한 장 그려본다 한국보다 몇시간 먼저 보는 맛도 은근히 괜찮네! Nightwid 無雲
2017-02-11 04:17:46 조강욱 / 2017-02-02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5306
  • 스케치
  • 별 보는 사람 중에 빙글빙글 돌아가는 나선은하를 싫어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 중에서도 멋진 막대가 있는 막대나선이라면 더더욱.. 그런데 여기엔 커다란 함정이 있다 그 막대나선을 보려면 은하가 face-on(정면이 보이는 은하) 이어야 하는데, Face-on 은하는 Ed...
2018-01-31 19:54:35 반형준 / 2018-01-1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5046
  • 스케치
  • 처녀자리의 그 수많은 은하들은 별 특징 없이 그저 둥글거나 동그랗거나.. 대부분은 재미 없는 타원은하들이다 머리털자리의 멋진 아이들을 절반만이라도 닮았으면 얼마나 좋았을까? M89 그 자체도 전혀 특별할 것이 없는 심심한 타원은하이다. 굳이 찾는다면 아주 밝은...
2018-03-05 04:51:27 / 2018-03-0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958
  • 스케치
  • 밤하늘에서 M80이 느끼는 비애는, M28의 그것과 같다고 할 수 있다. 전 우주에서도 몇 손가락 안에 꼽히는 대형 구상성단 옆의 평범하..지는 않은 구상성단. 22번을 보고 28번까지 가는 사람이 별로 없듯이.. 4번을 보고 80번까지 찾아보는 사람 역시 많지 않다. 나 또...
2017-12-14 05:54:17 / 2017-12-14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904
  • 스케치
  • 그동안.. 몇년간 다음에 하겠다고 미뤄만 두던 101번을 그려야 할 순서가 되었다 정면 은하를, 그것도 대형 Face-on(정면 은하)을 잘 보려면 얼마나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야 하는지 잘 알기 때문에 다음에.. 다음에 하며 계속 미뤄 두었었다. Messier 33번을 그리...
2018-10-12 12:44:04 / 2018-10-1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596
  • 스케치
  • 저녁 무렵이 되면, 사무실 내 모니터 가장자리가 갑자기 붉게 물드는 순간이 있다 서산으로 지는 태양빛이 15층 빌딩 유리창을 넘어 모니터에 반사되는 것이다. 그 신호를 보고 서쪽 창가에 있는 우리층 창고에 들어서면 강남의 빌딩숲과 우면산을 배경으로 탁 트인 시...
2015-07-31 05:30:46 조강욱 / 2015-07-2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553
  • 스케치
  • 2014년 1월. M82에서 초신성이 폭발한 이후, 난 한동안 X마려운 강아지처럼 안절부절하며 지냈다 아니 그게 뭐라고, 1200만년 전에 우주 저 편에서 별 하나 폭발한 것 뿐인데. 1054년에 게성운이 폭발했을 때도 가만히 있었으면서.. 그게 뭐라고 그렇게.. 마나님께서도 ...
2018-01-02 17:34:44 / 2018-01-02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479
  • 스케치
  • 달, 달이란 나에게 무엇일까? 그리고 우리에겐 어떤 의미일까? 관측의 훼방꾼. 대부분의 별쟁이에겐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닐 것이다 언젠가부터, 아마도 별보러 나가는 횟수가 1년에 다섯번을 넘지 못하면서부터 서울에서 이른아침 출근 시간에, 늦은 퇴근길에 버스 안에...
2015-07-28 17:19:58 조강욱 / 2015-07-24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347
  • 스케치
  • 뭐니뭐니해도 메시에 97번의 트레이드 마크는 뽕뽕 뚫린 눈알 두 개. 망원경으로 별을 본 적 없는 사람들에게도 메시에 97번, 올빼미 성운의 커다란 두 눈은 잘 알려져 있다 (출처 : 구글 검색) 안시로는 어떨까? 사실 나는 97을 제대로 본 지가 너무 오래 되어서, 그 ...
2018-07-05 12:27:38 / 2018-07-0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320
  • 스케치
  • 카시오페이아 주위는 진정한 별밭, 아니 성단 밭이다 비슷한 크기와 밝기의 산개성단들이 무수히 뿌려져 있다 (출처: 구글 이미지 검색) 위치도 어렵지 않은 M103과 NGC 457(ET)을 한참동안 헤메고 다니는 이유이기도 하다. 망원경 구경이 커질수록 멋진 대상(NGC 7789)...
2018-11-24 02:11:57 랜슬롯 / 2018-11-18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3644
  • 스케치
  • 밤하늘의 구상성단을 밝기 순으로 나열하다보면, 많은 대상이 남천에 편중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아래 list 중 노란색이 남천 대상) 북반구 트로이카라 불리는 13번, 5번, 3번도 6~8위 권을 겨우 유지할 뿐이다 그리고 400여 개의 모든 구상성단 중 11위를 보면, ...
2018-04-08 06:38:55 / 2018-04-08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3627
  • 스케치
  • 1781년 4월 프랑스 파리의 관측소. 장발장이 조카들에게 주려고 빵을 훔치기도 15년 전에 메시에는 프랑스 천문학회 학회지에 낼 메시에 리스트를 정리하고 있었다 이미 M1번부터 M100번까지 100개 대상에 대한 관측 기록을 완성하고, 동료 관측자인 피에르 메케인(Pier...
2018-11-08 21:56:39 조강욱 / 2018-11-06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3431
  • 스케치
  • 천체관측을 하다 보면 여성적인, 또는 남성적인 아우라를 뿜어내는 대상들이 있다 부드러운 성운기나 깨알 같은 잔별들을 보면 여성스러운 아름다움이 느껴지고 (M8, 조강욱 스케치) (M46, 조강욱 스케치) 반대로 위협적일 정도로 강렬한 구상성단이나 (NGC 104, 조강욱...
2018-12-31 04:26:51 / 2018-12-3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