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스케치/사진 ~☆+

  • [M11] 우주의 가장 아름다운 비행 [스케치]
  • 조회 수: 14122, 2016-09-08 05:21:20(2016-08-31)


  • M1135번과 함께

     

    메시에 산개성단 중에서 가장 화려한 아이다

     

    호핑 위치마저 쉬워서 초보든 고수든 가릴것 없이

     

    여름밤 관측지에 도착하면 망원경을 세팅하고

     

    11번을 스윽 잡고 "우와!" 감탄사 한 번 날려주는 것부터 오늘의 관측을 시작하는 것이

     

    대부분의 별쟁이들의 일상이다 (물론 나도 그렇다 )

     

     

    11번에는 강력한 별칭이 있다

     

    Wild duck cluster. 우리말로는 야생오리 성단, 또는 들오리떼의 비행이라고도 한다



    이거? 

    duck.jpg

    (아래 오리 사진들의 출처는 모두 구글 검색)

     

    아니 이거

    flock.jpg  

     

    사실은 이것도 포함..

    flock2.JPG

     

     


    이게 대체 어떻게 하늘에서 보인다는 걸까?

     

    11번을 한 번도 보지 못한 사람은 아마 상상이 잘 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아무리 망원경을 처음 구경하는 사람이라도

     

    맑고 어두운 하늘에서 8인치 구경 이상으로 M11을 마주하게 되면

     

    이게 (위의 마지막 오리떼 사진이) 무슨 얘기인지 바로 알게 될 것이다.


     

    하늘에 이것보다 별이 촘촘히 모여 있는 산개성단은 메시에 중에서는 없다.

     

    오히려 NGC에서 3532번과 7789번을 겨우 찾을 수 있을 뿐..


    (3532는 능력치가 너무 먼치킨이고 울나라에서 볼 수 없으니 예외로 하자)

     

     

    4인치로 봐도 충분히 존재감이 있긴 하지만

     

    그 숨막히는 촘촘한 별들의 장관은 구경이 작아지면 흐릿한 성운기 정도로 밖에는 볼 수 없으니 아쉬울 뿐이고..

     

    역시 안시는 구경이 깡패;;

     

     

    그럼 위의 첫 번째 오리떼 사진은 무슨 의미일까?

     

    ※ 필자도 한강에서 새벽에 월령 27일 달 찾으러 나갔다가 너무 늦어서 허탕치고

       그믐달 대신 찾은 것이 얘들의 편대비행이었다

     

    [M11의 찬조 출연 또는 위로 공연, 출근 전 한남대교에서 조강욱 (2015) ]

    찬조출연.jpg

     


    11번은 산개성단 관측의 핵심인 스타체인이 아주 잘 보이는 대상이다

     

    그것도 겹겹이 말이다

     

     

    백문이 불여일견, 우선 그림부터 보자

     

    [ M11 오리떼의 군무, 검은 종이에 파스텔 - 천문인마을에서 조강욱 (2011) ]

    M11_1500px_110505.jpg


     

    M11은 그저 넉 놓고 바라만 봐도 좋지만,

     

    밝고 큰 만큼 발라먹을 살도 감자탕 등뼈만큼 많다

     

    M11_des_1105051.JPG

     

     

    우선 첫 번째로 봐야 할 것은 물론 아이피스 시야 중심을 가득 채우는  압도적인 별무리들.

     


    오리떼 정 가운데에서 대장 오리를 찾아보자.

        남다른 포스로 수천 오리떼의 군무를 일사불란하게 지휘하는 마에스트로를 어렵지 않게 알현할 수 있다

     


    대장 오리가 어느 방향으로 지휘를 하고 있을까?

        시야를 조금만 넓혀서 보면 오리떼의 비행 방향이 보인다

        이중성단도 35번도 대부분의 rich한 산개성단은 대부분 원형을 띄게 되는데

        이 아이는 특이하게도 삼각형 모양의 편대 비행을 하고 있다.  바로 이 오리들처럼.

        flock.jpg  



    시선을 편대 비행 방향으로 조금 더 앞쪽으로 옮겨가면, 

        본진(?)의 방향에서 시계뱡향 90도 회전한 방향인 동쪽으로 날아가는 척후병들도 삼각 편대를 이루고 있다

        반대로 본진의 뒤쪽으로는 보급부대가 일렬로 뒤따라 오고..

     


    다시 본진의 오리떼에 집중해 보자.

        분해가 될 듯 말 듯 순대국에 들깨가루 뿌린 것 마냥 무수한 별들을 집중해서 보고 있으면

        그냥 별들이 많이 모여있는 것이 아니라, 별이 없는 공동(void)들도 많이 볼 수 있다

        dark_lane.JPG


        산개성단의 천문학적 성질로 볼 때 성단 내의 암흑성운이 성단을 가리고 있을 확률은 높지 않다

        아마도 시선 방향에서 성단 앞의 암흑성운이 우연히 가리고 있거나,

        아니면 상대적으로 별이 적은 영역을 우리가 암흑대(Dark lane)라고 생각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뭐가 되었건 간에, Dark lane을 보는 것은 M11의 수많은 포인트 중에서도 최고의 백미이다

        그것이 입체감을 선사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무리 11번이 날고 기어도 산개성단 암흑대의 최고봉은 NGC7789임은 이견의 여지가 없을 것이다)

     


    산개성단 안의 알파벳 찾기

        ‘밤하늘의 T'를 생각하면 초보 딱지를 뗀 별쟁이들은 하나같이 처녀자리 은하단을 생각하게 되어 있다

        셀 수 없는 망망대해 은하밭의 등대같은 존재인 T 3형제 말이다

        그에 비할 길은 없겠지만, 산개성단 M11 안에도 T 3형제가 있다

        T3.JPG

     


    본진 내에서는 T 외에도, 편대 1선에 마차부를 생각나게 하는 5각형(6각형)이나

        대장별을 호위하는 코끼리를 삼킨 보아뱀(?) 같은 모양도 찾을 수 있다

     


    T 3형제의 가운데 위치에는 아주 작은 미성들이 깨알같이 모여서 마치 작은 성운같은 모습을 보여준다

        내 15인치 망원경으로 M11에서 유일하게 별들로 분해해서 볼 수 없었던 영역이다

     


    1~8의 관측 포인트를 생각하며대장별을 중심으로

        본진의 ‘(순대국에 뿌려진) 들깨가루들'에 집중하고 있으면

        마치 매직아이를 보는 듯 성단의 입체감이 느껴진다.

        중세 수도원에서 도 닦고 있던 수도승이 아니라면 여기서 누구나 자동으로 탄성이 나오게 되어 있다

     


    ⑩ 이번엔 시선을 아주 넓혀서 보자

        M11은 은하수 덩어리가 밀집된 동네에 위치한 관계로,

        지정학적으로 주위에 무시무시한 암흑성운들을 이웃 주민으로 두고 있다

        chart.jpg

        (uranomertia 성도 캡쳐, S&T 기사에서 인용)


        밝고 화려한 것보다 어두침침한 것을 좋아하는 나의 특이 취향을 충족시키기 위해

        10년쯤 전에 M11 근처의 성도상에 보이는 괴상한 Barnard.. B318번과 B115/114/116/117/118,

        그리고 위 성도 우상단의 B10415인치로 시도했으나 참패, 하나도 건지지 못했다 (하아 구경병이 또....)


        대신 M11 위의 거대한 영역을 차지하는 B111

        암흑성운 안의 암흑성운(검은 구멍 안에 더 검은 구멍)B110B113

        비교적 쉽게(!) 관측 가능하다 

        but 위에 참패한 대상들처럼 재미있는 모양은 아니다


       성도의 맹점은 암흑성운의 opacity(불투명도) data를 확인할 수 없다는 점..

       아래 S&T 칼럼의 사진으로 뭐가 *이고 된장일지 미리 check하고 시도해 보자!


       chart3.jpg

       참조 : http://www.skyandtelescope.com/observing/dive-into-scutums-dark-nebulae071520151507/


       무시무시할 만큼 친절한 설명까지.. 역시 S&T의 디테일은 존경스럽다

       chart2.jpg

     



    M11 얘기를 신나게 떠들고 있으니 앞방 칼럼에 자리를 잡은 9번과 10번의 눈초리가 너무 따가워서

     

    (왜 쟤만 예뻐하냐는.. 그럼 너네들도 예뻐지던가..)


    이만 줄여야겠다   



    메시에를 노래하는 마음으로 모든 빛나는 것을 사랑해야지.


     

     

     

                                       Nightwid 無雲

     

     

     

     

댓글 2

  • Profile

    박상구

    2016.08.31 21:32

    대부분 별쟁이들에 저도 포함되나 봅니다. ^^ 11번 한번 보고 우와 한번 날려주고 관측 시작. ㅎㅎ
    역시나 11번에는 볼거리가 많네요. 암흑성운들 도전해봐야겠어요 ^^

    (근데 오타가 하나... 북쪽방향에서 90도 시계 방향은 동쪽이 아니라 서쪽... ^^;)

  • 조강욱

    2016.09.08 05:21

    17.5면 주변 암흑성운이 가능할 것 같아요

    그나저나 오류를 뒤늦게 발견했네요 ^^;;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854
  • 스케치
  • 20년 전, 대학생이 되면 꼭 김광석의 라이브 공연에 가보고 천문동아리에 들어서 망원경으로 하늘을 보고 싶다는 두가지 명확한 소망을 가진 고3 학생이 있었다 그러나 대학교 원서 내고 오는 길에 신문 가판대에서 김광석 사망 기사를 만났고 아직 동아리방도 구하지 ...
2016-10-13 09:07:44 김재곤 / 2016-09-3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8221
  • 스케치
  • 23번의 점들을 찍는 데는 무려 이틀의 시간이 필요했다 꽤 밝은 산개성단이긴 하지만 그만큼의 대작을 만들 계획은 전혀 없었고, 단지 시간이 부족했을 뿐이었다 [ M23과 버섯돌이 - 검은 종이에 젤리펜, 인제에서 조강욱 (2016) ] [ Description : 버섯파인가 화살파인...
2016-10-05 07:12:33 / 2016-10-0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3487
  • 스케치
  • 메시에 110개 중에 가장 그리기 싫었던 것은 무엇일까 그것은 단연 M24. 성운도 성단도 은하도 아닌 별이 가장 많은 은하수 조각인 24번을 대체 무슨 수로 그린단 말인가. (출처 : http://www.astrophotographos.com/photos/Star%20Cluster%20images/M24qa.jpg) 미루고 ...
2016-10-09 04:50:13 러기 / 2016-10-06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368
  • 스케치
  • 25번은 보는 순간 오~ 하는 탄성을 부르게 할만한 궁수자리 산개성단이다 하지만 25번이 어떻게 생겼더라? 잘 기억이 나지 않는 것은 워낙에 인물이 많은 궁수에 위치해 있기 때문이다 25번의 중심부에는 두 줄기의 스타체인이 동서로 뻗으며 흡사 석호성운의 암흑대와 ...
2016-10-16 03:50:46 / 2016-10-16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4215
  • 스케치
  • 방패자리의 두 대상 중 M11은 이전에 쓴 글과 같이 10번까지 번호 붙여가며 침 튀기며 관측 point를 논한 반면에.. M26은 찾는 사람도 기억하는 사람도 별로 없는 은하수 안을 떠도는 쓸쓸한 성단이다 처음으로 EQ를 사용하여 하룻밤 2~3개에 그치던 스케치를 무려 7개...
2016-10-18 04:37:03 / 2016-10-18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695
  • 스케치
  • 먹다버린 사과. 아령성운이란 공식 별칭보다 훨씬 먼저 사과라는 이름과 친해지게 되었다 하긴 웨이트 트레이닝보단 맛있는 사과가 낫지! 그리고, 구경을 키우거나 OⅢ 필터를 사용하면 이젠 더 이상 먹다버린 사과가 아니다. 먹기 전의 사과라고 하기엔 너무 타원형이고...
2016-10-23 14:43:34 / 2016-10-23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8617
  • 스케치
  • 28번은 대학 동아리 시절 후배들에게 호핑법을 가르쳐줄 때 유용하게 쓰던 아이다 성도 상에도 주전자 뚜껑 별(λ)에서 직각을 이루며 한 번은 큰 놈(22번), 한 번은 작은 놈(28번)으로 번갈아 찾아가며 구상성단의 감을 잡게 만들었던 아이인데.... 22번을 그렇게도 아...
2016-10-26 04:36:28 / 2016-10-26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4152
  • 스케치
  • 밤하늘에는 대체 이게 뭐하러 메시에 리스트에 들어왔는지 이해할 수 없는 애들이 꽤 있다 대부분의 9번들이 그렇듯, 29번도 마찬가지이다 궁수 주전자 뚜껑 부분과 함께, 북반구에서 가장 복잡한 영역인 백조의 심장(Gamma) 근처에 M29가 위치해 있다 십수개의 별들로 ...
2017-12-14 05:21:28 / 2016-10-28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0258
  • 스케치
  • 30번을 처음 본 것은 아마도 1999년에 병장 휴가 나와서 처음 봤을거고 (이 휴가에서 뱀주인과 염소를 마지막으로 첫번째 메시에 완주) 매년 메시에마라톤 때만 찾아봤는데.. 난 2001년 1회 마라톤부터 한 번도 30번을 찾은 적이 없다 어떻게 생긴 아이였는지 기억조차 ...
2016-11-03 04:49:57 / 2016-11-03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0666
  • 스케치
  • 42번 오리온 대성운과 함께 31번 안드로메다 은하는 지구상에서 가장 유명한 대상이다 (굳이 꼽으라면 Barnard 33번 말머리성운과 함께 3인방이라 할까?) 그러나 안시관측으로도 초보나 고수나 일반인이나 모두를 만족시키는 오리온 성운에 비해서 안드로메다 은하를 아...
2016-11-10 12:56:48 / 2016-11-1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