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스케치/사진 ~☆+

  • [M8] 근데 석호성운은 왜 석호일까? [스케치]
  • 조회 수: 12975, 2016-08-27 09:16:26(2016-08-27)


  • 석호가 대체 무얼까?

     

    20년이 넘도록 말하고 들어왔던 그 용어, 석호성운.

     

    그게 대체 무언지 너무나 궁금해졌다

     

    결국 네이버에서 한참을 뒤져서 겨우 대충 이해할 수 있었다


    석호.jpg

     

    예를 들면 경포대 앞의 경포호가 대표적인 석호인데,

     

    원래는 해안선의 일부였으나 해안에 퇴적물이 쌓이면서

     

    바다의 일부였던 곳이 호수가 된 것이다.

     

    그건 그렇고..

     

    이게 얘랑은 무슨 관계일까?

     

    의문.JPG

     


    흠 그럼 이건 어떨까. 석호의 영어 이름 Lagoon.


    Lagoon.jpg

     

    이건 왠지 신혼여행 가서 많이 본 것 같긴 한데..

     

    차라리 경포호보다는 이게 더 비슷한 것 같다

     

     

    그건 그렇고, 나는 성운을 그리 좋아하지 않는다

     

    42번이나 17번 같은 밝고 밀집된 성운은 예외,

     

    8, 16번 같은 퍼져 있는 흐릿한 구름들을 뜯어 보는 것은 그다지 내키지 않는다


    다른 별쟁이들보다 둔감한 눈을 가진 것도 한 가지 이유일 것이다

     

    그래서 그 유명한 8번 석호성운을 눈여겨서 오랫동안 봐준 적이 언제인지 기억도 잘 나지 않는다

     

     

     

    하지만 흐릿한 성운류는 싫어하면서 이상하게 암흑성운에는 관심이 많아서,

     

    M8에서도 딱 하나 보고 싶은 것은 있었다. 벌써 18년이 된 버킷 리스트, Barnard 88!


     

    1999년 여름, 나는 군대에 있었다.

     

    대학 입학하고서 당구도 안치고 미팅도 안하고 공부도 안하고 별만 보러 다니다가

     

    1점대 학점을 받고서 친구들보다 먼저 군대에 조기입대를 하게 되었는데..

     

    강원도 가면 별은 실컷 보겠다고 내심 기대하고 있었으나

     

    논산 훈련소에서 전방으로 기차를 타고 가다가 중간에 내려서 새벽에 봉고차를 타고 도착한 곳은 서울 용산이었다.

     

    물론, 용산의 하늘에서는 우리 집보다도 보이는 것이 없었다.

     

    어쨌든 우리 부대(*)의 시계는 소문대로 잘만 흘러서 어느새 고참이 되어

     

    드디어 정신을 차리고 사회(?)에 나갈 걱정을 하게 되었고..

     

    영어공부를 한다는 명목으로 Sky & Telescope 지를 정기구독하여

     

    내무실을 구르며 그림만 열심히 보다가

     

    1999년 여름에 암흑성운 특집을 만나게 되었다

     

    그 기사에 나온 Barnard 암흑성운들은 몇 년 내로 거의 다 보았는데,

     

    단 하나, Black comet B88만은 넘사벽이었다

     

    요거.JPG

     


    성운기가 이렇게 풍성해야 성운을 가리는 검은 혜성을 볼 수 있을텐데

     

    안시로 저 넓은 성운기를 보는 것 자체가 너무나 힘든 일이다

     

    그래서 궁수와 은하수가 잘 보이는 날이면

     

    석호성운이 얼마나 크게 보이나 망원경으로 슬쩍 한번 보고서

     

    완전 대박이 아니다 싶으면 그냥 지나치는 것이다.

     

     

    20166월도 그리 시원치는 않은 날이었다

     

    그런데 이제는 더 이상 미룰 수가 없게 되었다

     

    메시에 110개 대상 스케치 완주에 824번 딱 두 개밖에 남지 않았기 때문이다


    (제일 그릴 엄두가 나지 않던 두 개)

     

     

    젤리펜으로 에토스 시야에 보이는 별들을 모두 찍어놓고,

     

    UHC를 장착하고 또 한참을 그냥 마냥 바라본다

     

    필름이나 CCD처럼 내 눈도 빛을 오래 축적해야 더 선명하게 보이나보다

     

     

    EQ 플랫폼을 여러번 리셋하고 나서야 (EQP1시간마다 리셋을 해야 한다)

     

    그제서야 겨우 파스텔을 들고 성운기를 그려 나가기 시작한다.



    [ B88 없는 M8, 검은 종이에 파스텔과 젤리펜 - 조강욱 (2016) ]

    M8.JPG  


     

    성운은 (나에겐) 참 어렵다

     

    어디까지 그려야 할지 어디까지 도전해야 할지 얼마나 섬세하게 봐줘야 할지 잘 모르겠다

     

    그래도 스케치를 하며 그동안 잘 몰랐던 8번을 더욱 자세히 알게 되었다

     

    (M8 주요구조 설명)

    8_des.JPG

     

     

    그래봤자 잘 찍은 천체사진의 절반 정도밖에는 보지 못했지만 말이다

     

    (연두색 원 안이 내가 관측한 영역)

    8_ori.JPG

     

     

    언젠가는 Barnard 88, 검은 혜성을 주먹만하게 볼 수 있는 날이 있을 것이다

     

     




     

                                        26 Aug 2016

                                        Nightwid

     


     

댓글 0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2933
  • 스케치
  • 봄의 끝자락, 달이 지자마자 벌써 처녀는 퇴근 준비를 하고 있다 아니아니 잠깐만 기다려봐.. 봄철 하늘에서 가장 반가운 별무리인 T존을 잡아놓고 100번부터 시작한다. 나는 100번을 생각하면 항상 떠오르는 관측기록이 하나 있다 자 우선 우주 최고의 천체스케치 Arti...
2018-11-08 21:57:05 조강욱 / 2018-09-23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2921
  • 스케치
  • T에서 왼쪽으로, M88과 91을 만나고 나선 다시 아랫쪽으로 방향을 꺾어서 90번과 89번, 87번까지 만나야 한다. 여기까지가 첫번째 T를 이용한 관측방법이다. 그런데 91을 지나서 어디서 어디로 방향을 꺾어야 할까? 여기에 아주 적절한 이정표가 있다. 하늘의 방패자리와...
2023-09-11 06:30:19 Chung / 2018-03-2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2839
  • 스케치
  • 큰개자리에는 두 개의 메시에가 위치해 있다 메시에 41번과 93번.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육안관측 기록이 있을 정도로 밝은 41번에 비해 93번의 존재감은 미미하기 그지없다 93번의 생김새를 기억하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나도 Tau星을 포함하는 멋진 성단 NGC 2362를 ...
2018-04-22 06:06:29 / 2018-04-22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2835
  • 스케치
  • 2년만에 돌아온 화성의 지구 접근. 이글거리는 화성이 무서울 정도랄까.. 아이피스에서 눈을 떼도 화성은 그자리에 있다. 엄청난 습기에도 불구하고.. 어? 이거 괜찮네 화성에다 화성을 담은 아이피스까지 한 화면에 담아 그려본다. [ Mars Opposition on the eyepiece, ...
2018-07-15 07:32:29 / 2018-07-1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2791
  • 스케치
  • 메시에 51, 63, 94, 106. 단 두 개의 별로 이루어진 사냥개자리엔 의외로 메시에 넘버들이 많이 포진한다 무려 4개의 메시에 은하들, 그 중에서도 슈퍼스타 급인 51번 부자은하와 63번 해바라기 은하, 메시에는 아니지만 메시에보다 더 인기 좋은 NGC4631도 위치한다. 북...
2018-05-15 06:37:10 관심은하 / 2018-05-14
thumbnail
  • 박진우 조회 수: 2737
  • 일반
  • 이중성 스케치하려고 산 적도의 처음 가동하였습니다. 불편한 적도의 호핑 걱정했는데 생각보단 괜찮았습니다. 장소 : 과천 아파트 주차장 경통 : FS-78 가대 : EM-1 아이피스 : 독터 12.5mm (50배) 전혀 그렇게 보이진 않지만 이중성단입니다. 구경의 한계로 별이 많이...
2018-11-24 02:15:29 랜슬롯 / 2018-11-2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2697
  • 스케치
  • 2016년 8월, 메시에 스케치 연재를 시작했다 2016년 7월(한달 전)에 M24를 마지막으로 메시에 110개 스케치를 마치고 내가 손으로 그리고 마음으로 담아 두었던 대상들을 하나하나 정리해 보고 싶었다 1996년 대학교 1학년 여름방학에 공사장 노가다 알바로 첫 망원경(8...
2019-04-14 07:18:38 조강욱 / 2019-01-29
thumbnail
  • 김승희 조회 수: 2647
  • 스케치
  • 퇴근길 지하철에서 천문연주체 천문사진전 당선작을 발표했다는 카페글을 보고위에서부터 천천히 스크롤을 내리며...마치 도리지구땡의 쪼으는 맛으로 천천히...... 헛! 역시나 그분의 스케치...그 다음은....땡!!! 올해로 두번째 탈락이네요 ㅎㅎㅎㅎㅎ 2018년 11월 정...
2019-04-25 07:53:55 신기루 / 2019-04-09
thumbnail
  • 김선영 조회 수: 2607
  • 스케치
  • 안녕하세요? 야간비행에는 처음으로 글을 씁니다. 두근두근^^ 2016년부터 별하늘지기와 별나들 별사람 등등...네이버카페에서 (카운트)랜슬롯이라는 닉으로 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초보의 막눈으로 보이는 스케치를 주로 올리는데, 별하늘지기에서 조강욱님이 야간비...
2018-09-30 09:29:39 랜슬롯 / 2018-09-27
thumbnail
  • 김영주 조회 수: 2521
  • 스케치
  • 토성을 그려본다. 토요일 하루 종일 주적주적 비가 내리니.....하릴없이 하늘만 쳐다볼 수 는 없는 느릇 막둥이는 나가자고 졸라대지만 이 아빠도 나가고 싶다 격렬하게 나가고 싶다....근데 어쩌니? 비가 이리 오는데 그림 그리자고 꼬셔본다. 금새 넘어온다. 막둥이는 ...
2019-10-13 03:36:12 조강욱 / 2019-05-29
thumbnail
  • 김영주 조회 수: 2473
  • 스케치
  • 6월의 푸르른 신록과 광덕산이 가지는 새까만 어두움..... 미세먼지로 인해 신록과 새까만 어둠이 사라졌다 그 자리에 잿빛 어둠만이 별지기의 마음 속에 음습한다. 아.........별이여!!!
2019-07-11 02:38:15 김원준 / 2019-06-0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2339
  • 스케치
  • 길다. (처녀 은하단 치고는) 엄청나게 길다 동글동글하고 솜사탕 같은 애들이 질리도록 많은 동네라 더욱 인상적인 것이 아닐까. 은하 관측시, 은하 표면이 보이는 방향에 따라 두가지로 분류한다. 은하의 정면이 보이는 정면은하(face-on)와 은하의 측면이 보이는 측면...
2018-07-17 12:55:07 / 2018-07-17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2260
  • 스케치
  • 강원도의 맑은 하늘 아래에서 신나게 대형 구상성단 M4의 스케치를 마무리하고 생각해본다 이제 뭐가 남았지? 아 거기.. 갑자기 신이 안 난다 전갈 위쪽, 뱀주인과 전갈 사이에는 (메시에긴 하지만) 작은 구상들이 뿌려져 있다 (출처: S&T 기사) 많기는 하지만 인기...
2019-01-20 06:42:02 / 2019-01-12
thumbnail
  • 김승희 조회 수: 2004
  • 스케치
  • NGC 2359 *03.18 홍천 *미드 12", 12.5mm 독터, OIII, x121 *03.18 홍천 *미드 12", 12.5mm 독터, OIII, x121  신년관측회때 재곤씨 망원경으로 본 모습이 너무나 인상적이어서 그려봤지만 그모습은 어디 갔는지 ㅎㅎㅎㅎ 투구 모양이 아니라 스푸트니크 1호 느낌이.......
2020-03-25 23:13:28 조강욱 / 2020-03-23
thumbnail
  • 김선영 조회 수: 1972
  • 스케치
  • 지난 금요일 밤, 광주전남 별사랑 및 한아천 회원님들과 별나들이를 다녀왔습니다. 그날 함께 참석하게 해주시고, 맛있는 떡, 커피, 바나나도 나눠주시고, 그날 뵌 많은 분들께 정말 감사드립니다.저번에 예진아빠님께서 소개시켜주신 여선생님 두분과 함께 관측을 나가...
2018-11-24 02:10:32 랜슬롯 / 2018-11-17
thumbnail
  • 김영주 조회 수: 1776
  • 스케치
  • 금성과 플레아데스성단의 랑데뷰를 모처럼 찍어봤다. 망원경으로 보이는 랑테뷰는 아름답지 않았다. 큰 화각이 필요했고...그렇다고 쌍안경으로 보면서 그릴 수도 없는 노릇 방법은 사진을 찍고 그 찍은 것을 그대로 그리는 것 사진을 찍고보니 플레아데스의 별마다 성...
2020-04-13 02:32:12 신기루 / 2020-04-08
thumbnail
  • 김승희 조회 수: 1693
  • 스케치
  • 3월20일 별 안보이는 구름 낀 관측지에서... -왠지 장비들을 멀리 보내야 될 것 같아서 기념으로.... - 교동대교를 멍떄리며 보며 유투브를 보고 오일파스텔을 샀는데...이상과 현실의 차이를 느낍니다 ㅎㅎㅎ 많이 그리다 보면 좋아지겠죠 ^^
2020-04-08 20:16:08 신기루 / 2020-03-23
no image
  • 조강욱 조회 수: 1603
  • 스케치
  • 오클랜드 천체관측 동호회 회원들과 관측회를 다녀왔다. 모두가 잠든 새벽 5시.. 화성이 찬란하게 빛나길래 파인더를 들이대니 희끄무레한게 하나 더 보인다 M22. 이렇게 얻어 걸릴수도 있구나... 잘난 100도짜리 Ethos로 한 시야에 두 아이들을 담아본다 Nightwid 無雲
2020-03-23 05:40:47 / 2020-03-23
no image
  • 조강욱 조회 수: 1471
  • 스케치
  • 목성 - 금성이 거의 붙었다는 소식을 전해듣고 집앞에 나왔는데 망경으로는 두별 사이 거리가 넘 멀어서 한시야에 안나온다. 스케치 포기! 일요일에 최근접인데 날씨가 안도와줄듯.. 여튼 기다려야지 금성-목성 최근접 당일은 먹구름으로 꽝. 다음날 보니 이미 조금 멀...
2020-03-23 05:34:11 / 2020-03-23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445
  • 스케치
  • 설날 아침, 1만KM 북쪽의 부모님댁 대신 150KM 북쪽의 캠핑장으로 향했다 학교 개학을 맞은 딸님을 위로하고 유치원쌤으로 열심히 돈버시는 와이프님을 치하하고 밤에는 모두 재우고 별을 보겠다는 흑심을 품고 텐트에 망원경까지 모두 싣고 떠났다 전화도 안터지는 깡...
2020-01-30 16:07:45 조강욱 / 2020-01-2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