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스케치/사진 ~☆+

  • [M7] 의도치 않은 요란한 축제 [스케치]
  • 조회 수: 10046, 2016-08-25 19:44:30(2016-08-25)
  •  

    M7은 기원전 그리스 시대부터 알려져 온 유서 깊은, 밝은 산개성단이다

     

    하지만 육안으로 보이는 모습은 항상 아쉬움만 자아낼 뿐..

     

    원래 어떻게까지 보여야 할지 알기 때문이다. 아는게 병일까..

     

    7번은 적위 -34.5도로 메시에 110개 대상 중 가장 남쪽에 위치한 대상이다.

     

    그래서, 광해에 영향을 가장 먼저 받는다.

     

    육안으로 구상성단처럼 보이는 무시무시한 모습을 우리나라에서 이제 더 이상은 볼 수가 없다

     

    그렇다고 망원경으로도 볼 수 없는 것은 아니다

     

    [ M7, 검은 종이에 젤리펜 - 조강욱 (2016) ]

    M7.JPG

     


    친근한 K자 모양도 같이 (왼쪽은 7번, 오른쪽은 친구인 6번의 스타체인이다)

    7 스타체인.JPG


      

    또한 그저 평온한 크고 성긴 산개성단인줄 알았던 7번에서도 구상성단과 암흑성운, 산개성단을 같이 볼 수 있다.


    스카이 사파리를 돌려봐도 다양한 종류의 대상들이 겹쳐 보인다


    폰화면.png



     은하수 중심 방향이라 요란한 별들의 향연을 피해 갈 순 없는 것이다


    아래 사진에선 구상성단 6453, 산개성단 6444를 7번의 지근거리에서 찾을 수 있고, 


    7번 아래쪽에는 K자 스타체인의 데자뷰인 듯한 K자 암흑성운이 자리해 있다

     

    M7근처.jpg

    (출처 : http://asbalcony.cocolog-nifty.com/photos/uncategorized/2013/06/02/20130504_m764446453.jpg) 


    그리고 여기엔 무시무시한 도전 대상이 숨어 있다.

     

    별상 이상으로는 분해되지 않는 행성상성운 3개인데..

     

    국내에는 한솔님이 2013년에 18인치로 벗고개에서 관측한 최초이자 유일한 기록이 있다.

     

    (아래 === 안의 글은 이한솔님의 관측기록이다. 자료사진은 윤정한님 블로그에서 발췌)


    =========================================================================================


    자세히 뜯어보면 M7도 M24 못지않게 복잡하고 관측 포인트가 많은 대상인 것 같습니다. 다만 고도가 더 낮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는 자세히 관측하기가 힘든 것 같습니다.

     

    그동안 M7 내부에서 산개성단, 암흑성운, 구상성단등은 관측한 적이 있었지만 행성상 성운은 관측하기 힘들었는데 이날은 남쪽하늘이 좋아서 준비해간 자료로 도전해 봅니다.

    먼저 Cannon 2-1(PN G356.2-04.4), 12등급 2초각으로 찾기에는 가장 쉬웠습니다. 다만 완벽한 별상이라는 것!! 검출을 위해서는 정확한 위치를 알고 있어야하고

     

    필터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필터가 없을 때는 별과 구분 할 수 없었으나 uhc를 끼우면 반짝임을 잃고 뭔가 별과는 달라 보입니다.

     

    PK356-04_1-adhara.jpg  

     

     

     

    다음은 Hoffleit 2-1(PN G355.4-04.0), 유일하게 행성상 성운처럼 보입니다, 10초각의 원반형이고 uhc 필터를 끼우면 매우 흐리게 보입니다.

     

    PK355-04_1-adhara.jpg

     

     

     

    마지막 Minkowski 1-30(PN G355.9-04.2) 15등급 5초각이어서 검출이 매우 힘듭니다..

     

    사진을 참고해서 찾다보면 광채를 잃은 매우 흐린별..

     

    PK355-04_2-adhara.jpg

     

    이번 경험으로 보아서는 관측지, 하늘상태, 구경 모든 게 받쳐줘야 할 것 같습니다. 필터는 uhc가 유리한 것 같구요,...



    =========================================================================================


     

     

    하늘을 보는 즐거움 중에 하나는,

     

    남이 많이 보지 않은 대상에 도전하는 호기심과 성취감이다.

     

    마치 눈 덮인 벌판에 가장 먼저 발자국을 내는 것 같은 기분 말이다





                                                          Nightwid 無雲



댓글 0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thumbnail
  • 김철규 조회 수: 9594
  • 스케치
  • 전에 만뢰산에서보다는 확실히 하늘이 좋아서 많은 별들이 보였습니다. 모두 찍으려다가는 밤샐것 같아서 도드라져 보이는 것들만 그렸는데도 이렇게 많네요. 점점 스케치가 재밌어지고 있습니다. ^^ 담에는 별 아닌 천체도 도전해 봐야 겠습니다.
2015-04-01 07:44:05 진진아빠 / 2015-03-21
thumbnail
  • D-1 +6 file
  • 조강욱 조회 수: 7722
  • 스케치
  • 지난주, 장인어른 생신을 맞아서 울산 처가에 놀러갔었다 일요일 새벽 이른 시간 알람을 맞추고, 집에서 20분 거리의 동네 뒷산 저수지에 D-1 달을 맞이하러 길을 나섰다 고도 10도가 채 안 되는 달이 보일까.. 발걸음을 재촉하여 저수지에 올라 보니 산등성이 사이에서...
2015-01-03 04:21:03 조강욱 / 2014-12-3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7895
  • 스케치
  • 개기월식의 하이라이트는 달의 조명이 은은한 붉은 색으로 바뀌면서 달 옆에 숨어 있던 무수한 별들이 나타나는 것인데.. 서울 도심인데다 구름도 좀 있어서 그걸 못 봐서 참 아쉬웠다.. [갤럭시노트2에 S펜과 손가락, 조강욱 (2014) ] 내년 4월 4일에는 꼭.. ^^* Night...
2014-10-11 09:43:54 조강욱 / 2014-10-1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5911
  • 스케치
  • 이번 추석에도 울산 미호리의 처가 전원주택에서 며칠간을 보낸다 슈퍼문인지 먼지 어짜피 보름달이라 큰 관심은 없지만 그래도 추석 보름달은 남다르지.. 초딩 1학년 조예별양 학교 숙제도 '보름달 보며 소원 빌고 학교에서 친구들에게 얘기해주기'라서 초저녁부터 시...
2014-09-20 03:07:40 조강욱 / 2014-09-1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8767
  • 스케치
  • 보름을 앞둔 토요일 오후.. 별보기 불변의 법칙, 보름달이 가까우면 닐씨가 맑은 것은 대체 왜? ㅎㅎㅎ 조석력처럼 진짜 과학적인 이유가 있는 것은 아닐런지 ^^;; 여튼 간만에.. 아주 간만에 집 앞 공터에 15인치 돕을 폈다 집 앞에서 본다 해도 이동 거리만 짧을 뿐 ...
2022-06-04 10:43:51 replica handbags / 2014-06-16
thumbnail
  • 민경신 조회 수: 9279
  • 스케치
  • 달의 북극지역의 limb 에 위치하는 유명한 피타고라스 크레이터의 중앙봉입니다. 오늘 시상이 안좋은데, 포근하여, 16돕이 잘 보여줄줄 알았는데, 400배에서 너무 어두워 치우고, 8굴절을 사용하였음니다. 2년전에도 중앙봉만 그린 5장의 스케치를 남겼는데, 스케치북째...
2014-03-07 23:50:23 비단 / 2013-12-17
thumbnail
  • 민경신 조회 수: 10994
  • 스케치
  • 오랜만에 스케치북에 연필을 잡아보았음니다. 신작 13인치 굴절의 렌즈가 만족스러워, 갑자기 그간 중단한 스케치가 막 하고싶어짐니다. 그러나, 13은 좀 쉬고[급히 밥먹으면 체할라] 오늘 저녁은 8굴절의 운전석에 앉았음니다. 40분간 관측및 스케치...... 야간비행에 ...
2014-01-06 05:34:23 김병수(양평) / 2013-12-15
thumbnail
  • 국일호 조회 수: 10552
  • 스케치
  • 첫 천문관측 스케치/Deneb & Tauruss 지난 봄에 조광욱님의 스케치 세미나를 듣고 벌써 몇달이 지난 후에야 겨우 첫 스케치를 해봤습니다. 그때 선물도 받았는데 이제야 첫 스케치를 하다니 송구합니다. 계속 하늘을 보고 있었으며 스케치도 시작했다는 보고도 드릴...
2013-10-23 23:54:00 국일호 / 2013-10-2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9021
  • 스케치
  • 늦겨울 2월 어느 밤, 남희형님 한솔형님과 천문인마을에서 관측했던 내생애 최초의 소행성.. 2012DA14. 그 느낌을 잊기 전에, 그 뽈뽈거리는 귀여운 뒷모습을 그려봐야지 그려봐야지 하다가 개천절 정오에, 예별이와 단둘이 방안에 앉아서 아크릴 물감을 꺼내 놓고 각자...
2014-01-06 05:32:21 관심은하 / 2013-10-0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9663
  • 스케치
  • 추석 전날 밤, 울산 처가에 갈 짐을 꾸리며 수채색연필과 스케치북도 같이 챙겼다 달을 그리 좋아하는 편은 아니지만 추석 보름달은 무언가 의미가 있을까 하여.. ㅎ 추석 당일밤, 울산시 두서면 미호리의 전원주택에서 알딸딸하게 한잔 하고 테라스에 나오니 이미 눈부...
2013-09-21 08:23:13 / 2013-09-2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