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스케치/사진 ~☆+

  • [32日] 세상의 시작 (최종회) [스케치]
  • 조회 수: 9400, 2016-02-26 17:36:17(2016-01-28)
  •  

      

    그 달, 초하루 달을 보는 것은


    폰으로 달그림을 그리기 시작한 이후 나의 간절한 소망이었다

     

    매월 음력 1일마다 달력에 동그라미를 쳐놓고


    날씨가 좋기를, 회사가 빨리 끝나기를, 태양과 달의 각거리가 조금 더 멀기를 기원했다

     

     

    그러나 그 달은 그리 쉽게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그믐 마지막 달을 한 번의 시도로 성공한 것과는 정 반대로..


    집 앞 공터에서, 버스 정거장에서, 회사 창고에서, 한남대교 위에서, 반포 고수부지에서,


    홍천 관측지에서, 소백산 정상에서, 울산 처가 근처 산중에서, 노르웨이 오슬로 공항에서, 서호주 피너클스까지

     

    14년 가을부터 1년 반동안 찾아 헤멨는데 이정도 노력이면 얼굴 좀 보여줘야 하는거 아닌가.

     

     

    15년 4월 새벽 남산 중턱에서 월령 27일 달을 마지막으로

     

    월령 0일부터 29일까지 모든 달그림을 마무리하고

     

    매월 음력 1일만 기다린다

     

     

    해가 바뀌어 올해 1월 11일 월요일,

     

    일요일밤 날씨가 너무 좋아서 회사에 하루 휴가를 냈다

     

    (별 보겠다고 당당히 말하고 휴가를 낸 것은 멋모르는 신입사원때 이후로 처음인가보다)

     

     

    홍천에서 아름다운 밤을 보내고,

     

    예보상으로는 낮부터 흐려져야 하는데..

     

    날씨가 워낙 추워서 그런지 하늘은 너무나 맑기만 하다.

     

    그리고 오늘은 바로 그 날, 음력 1일이다

     

     

    월요일 오후 5시, 종종 산책하러 오르던 은평구립도서관에

     

    방학이라 집에 있는 초딩 2학년 딸래미를 데리고 출발했다

     

    (산 중턱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어서 서쪽 시야가 고도 5도 아래까지 확보된다)

     

    늦을까봐 헉헉대며 구보로 도서관에 도착하니 다행히 아직 해는 지지 않았다

     

    (산 능선의 일몰 포인트를 정확히 확인해야 달이 질 위치도 가늠할 수 있다)

     

    해가 지며 눈부신 석양빛이 하늘을 한 번 휘감은 뒤,

     

    언제까지일지 모를 기다림을 시작한다

     

    절대로 춥다고 집에 가자고 클레임을 안하기로 약속하고 따라온 딸래미도

     

    가방에 잔뜩 챙겨온 장난감을 도서관 야외 벤치에서 꺼내어 놀며 약속을 지킨다

     

    알고보니 효녀네...

     

    800_20160111_171046.jpg   

     

      

    눈에 레이저가 나오도록,

     
    아무것도 없는 하늘을 사주경계 한지 20분쯤 지났을까?

     
    아직 파란 하늘을 지나는 엷은 구름의 끝에 무언가 눈썹 같은 것이 보인다

     
    굳이 표현하자면 여성용 인조 속눈썹 하나가 15m 앞 어두운 바닥에 떨어진 걸 보는 것 같은 느낌이랄까..

     
    너무나 희미하긴 하지만, 있다. 이건 진짜 있는거 맞아

     

    (아래 폰카 사진의 중앙 약간 좌측의 긴 구름의 꼬리쪽에 있는데.. 눈으로는 보이나 폰카로는 확인 불가..)

    20160111_174848.jpg    

     

    그동안의 어려움이, 노력이 주마등처럼 스쳐 지나간다

     
    1일 달은 사막의 지평선 정도에서나 보일 것이라고 반쯤 포기하고 있었는데..

     
    이렇게 높은 고도(10도)에서, 그것도 서울 하늘에서...

     
    어디어디???? 를 연신 외치던 딸래미도 이내 그 모양을 찾았다

     
    (너무 희미해서 고개를 돌렸다 다시 보면 또 찾아야 한다)

     
    사라지기 전에 얼른 폰과 터치펜을 꺼내서 그 색과 모양을 기록한다

     

    1750.JPG  

     

     

    금방 사라지면 어떡하나 하는 우려와는 다르게 그 달은 하늘의 어둠과 함께 점점 그 밝기를 키운다

     
    우리가 멍하니 하늘을 지켜보는 것을 보고

     
    몇몇은 하늘을 보고 '어 달인가봐...' 하고 스쳐 지나간다

     
    그들은 이 달이 얼마나 소중한 달인지 아마 모르겠지

     
    별보기는 아는 만큼만 보이는 법이니까..

     
    1800.JPG  

     

     

    날이 어두워지며 날씨는 더 추워지고


    1일 달에도 아주 희미한 지구조가 나타난다.

     

    1830.JPG

     


    지금 세상에 이 아름다움을 만끽하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딸님께 그 가치를 설명하니 이해하는 듯도 하다


    그 감동을 느끼는 동시에 손발이 점점 얼어서 곧 없어질 것만 같다

     
     
    그래도 초하루 달의 월몰은 보고 가야지

     

    딸래미와 둘이서 발이 시려서 동동 뛰면서

     
    도서관 이용객들의 의심어린 시선을 한몸에 받으며

     
    (달이 월몰을 향해 가면서, 대충 봐서는 하늘에서 달의 형체도 잘 알아보기 어렵게 되었다.

     추워서 몸부림을 치면서도 아무것도 없는 빈 하늘만 쳐다보는 부녀의 모습이란..)

     
    그 마지막 순간을 기다린다

     
    1840.JPG

     

     

    봤다. 처음부터 끝까지..

     
    나는 월령 1일 달을 본 사람이야

     
    1년반의 노력으로 초하루 달도 봤는데 내가 앞으로 못할 일이 무엇일까?

     
    이슬람 국기에 모두 초승달이 들어있는 것은


    islam_flag.jpg

     


    이슬람교 창건에 대한 종교적인 이유와 함께

     
    앞으로 차오를 일만 있으라는 기원 때문이다

     

    세상에서 가장 작은 초승달을 봤으니

     
    내 인생에도 차오를 일만 남아 있을 것이라

     
    스스로 기원해 본다

     

    160111_D+1.png   

     

     

     
    P.S 딸님의 일기장.. 마지막줄에 대박 반전 ㅋㅋ


    diary.jpg  

     

     


    - 그동안 32편까지 긴 연재글 보아 주셔서 감사합니다 -

     

    종합선물세트.JPG

     

     


                                                             Nightwid 無雲



댓글 6

  • 김철규

    2016.01.28 10:11

    예별이 일기의 마지막 문장.. 기분은 그냥 그랬다.... 예별이가 멋진 차도녀 이군요. ㅎㅎ 달 스케치 멋집니다.
  • 조강욱

    2016.02.26 17:34

    솔직한 매력의 차도녀.. 그것도 좋네요  ㅎㅎㅎ

  • 김민회

    2016.01.29 21:28

    달은 가장 오래된 TV라고 하죠.
    가로등 삼아 그 아래에서 사랑도 하구, 술래잡기도 했어요. 그러고 보면 훤한 달아래서 도둑질하는 사람은 없어요?!
    그만큼 달은 엄마 맘! 신의 보안 카메라 예요.
    달 좋아하는 님은 착해서 그래요.
  • 조강욱

    2016.02.26 17:35

    오래된 TV라..

    저는 하늘의 오랜 등불 같다는 생각을 합니다 ^^;

  • Profile

    박상구

    2016.01.30 00:44

    1년반 노력이 결실을 맺었군요. 감격의 마무리를 축하합니다 ^^
    월령 1일 달 속보 올렸을 때 건물에 가린 사무실에서 아쉬워만 하고 있었던 것 같네요 ㅎㅎ 뭐 저도 구경해볼 날이 있겠죠.
    그동안 달 스케치 연재 재미있게 읽었어요~
    근데, 이제 다음 시리즈는 뭔가요? ^^

  • 조강욱

    2016.02.26 17:36

    흠 다음 시리즈는.....

     

    메시에 스케치를 다 마치고

     

    1번부터 110번까지 해 볼까요? ㅎㅎㅎ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thumbnail
2013-04-09 00:01:41 김병수(billy) / 2010-09-18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4725
  • 스케치
  • 호주에서 그린 세번째 스케치. 5139번이 오늘자 (100913) ASOD에 게재되었습니다 http://www.asod.info/?p=3572 너무 자주 올리는 것 같아서.. 이제는 좀 자제하려고요.. ㅡ_ㅡㅋㅋ 원본은 하얀 스케치북에 샤프로 그렸는데.. ASOD에는 흑백 반전한 그림을 올렸습니다 어...
2012-03-28 22:14:32 / 2010-09-14
thumbnail
  • 강명우 조회 수: 12825
  • 스케치
  • 이번에는 M3입니다. 비교적 광해가 많은 경기도 양주에서 관측을 했었는데 밝은 별 옆에 솜뭉치처럼 뿌옇게 잘 보였던 기억이 나네요. 빨리 날씨가 좋아져야 되는데 걱정입니다......^^
2013-04-09 00:02:02 / 2010-09-12
thumbnail
  • M57 .... +10 file
  • 김지현 조회 수: 12359
  • 스케치
  • 지난 3월 천문인 마을에서 그린 M57입니다. 얼어붙은 손을 호호 불던 기억이 새롭게 떠오릅니다. 세상에서 가장 오래되고, 가장 아름답고, 가장 커다란 미술관은... 하늘이 아닐까 생각해보았습니다. 하늘 미술관의 멋진 작품들을 망원경과 눈동자와 손끝으로 더 자주.....
2013-04-09 00:02:38 / 2010-09-10
thumbnail
  • M11,M22 +3 file
  • 문상혁 조회 수: 12869
  • 스케치
  • 도심속 운동장이지만 좋은 날씨에 학교 동아리 보물의 구경빨로 관측했습니다..ㅋㅋ M11의 누운 V자 아랫부분부터 왼쪽 위로 올라가는 star chain이 있었던 것도 같았는데.. 확실하게는 잘 모르겠습니다
2013-04-09 00:03:21 / 2010-09-08
thumbnail
  • 강명우 조회 수: 13366
  • 스케치
  • - 일시 : 2009. 1. 28 - 장소 : 송암천문대 주차장 - 망원경(경통) : 75 SDHF - 가대(삼각대) : 자이로미니 + 맨프로토055 밝은 성단이 두개가 있다는것 말고는 다른 특징이 없었네요. 밝은별은 십자선으로 표현을 했습니다. 스케치를 70분 정도 했는데도 시야에 모든 ...
2013-04-09 00:12:36 / 2010-09-0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868
  • 스케치
  • 관측기록 link http://www.nightflight.or.kr/xe/observation/32985 [M82 sketch] [M82 description] 82번의 북서방향 edge의 희미한 성운기의 비밀은 아직 풀지 못했습니다 Cloudy nights 스케치 포럼의 의견도 엇갈리는 상황입니다 관련자료 link http://www.nightflig...
2012-03-28 22:23:19 / 2010-04-08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3205
  • 스케치
  • Halold Hill의 스케치를 처음 접했을 때의 놀라움과 충격을, 저는 아직 생생하게 기억하고 있습니다 96년 임진각 주차장에서 M22를 처음 봤을 때의 감격처럼..... 영원히 기억에 남을 것입니다 입으로만 스케치를 하면서 몇년간 게으름을 부리고 있던 저를, 정신이 번쩍 ...
2013-04-09 00:13:02 / 2010-03-1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432
  • 스케치
  • 문득 오래전에 망한 대작 드라마 '백야 3.98'이 생각나서 비슷한 제목을 지었습니다 ^^;; 한참 전부터 그리고 싶던 것이 있었습니다 어느 유명한 크레이터도, 도전 대상인 희미한 열구도 아닌 달 전체의 모습.... 갈릴레이도 20배의 배율로 비슷한 모양의 달을 관측했을 ...
2012-03-28 22:35:09 / 2010-02-23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0737
  • 스케치
  • 관측 기록은 아래 링크 참조 http://www.nightflight.or.kr/xe/observation/32948 M3의 본질이 무엇이냐고 저에게 묻는다면, 자동으로 나올 대답은 M3의 고속도로와 쥐파먹은 두 곳을 얘기할 것입니다 자고 있을 때 물어봐도 똑같은 대답을 할 것 같습니다 ㅡ_ㅡㅋㅋㅋ ...
2012-03-28 22:38:37 / 2010-02-1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