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스케치/사진 ~☆+

  • [30日] 사라져야 볼 수 있는 것 [스케치]
  • 조회 수: 6773, 2015-08-25 09:54:53(2015-08-23)


  • '개기일식을 보고 나면 인생이 바뀐다'


    별을 갈망하는 것 자체가 내 인생이긴 하지만


    그 중에도 개기일식은 내 삶에 대한 가치관마저 송두리째 바꾸어 놓았다



    그리고 개기일식은 내 일생의 해외여행 계획을 모조리 정해 주었다


    내가 죽는 그 날까지 말이다



    2009년 중국 항저우




    2012년 봄의 일본 도쿄


    SAM_4297.JPG 



    그해 가을 호주 케언즈


    121114_063213_00998.JPG 



    그 사이 2010년 이스터섬은 너무 멀어서,


    2013년 케냐는 날씨와 치안과 이동의 압박으로 포기..



    2015년의 북극 개기일식은.. 거의 미친짓, 도박이나 다름없었다


    (북극 원정은 이미 연재글로 10편이나 떠들었으니 자세한 얘기는 생략한다)



    그 모든 역경을 극복하고 북극의 빙산 위에서


    인생 최고로 완벽한 개기일식을 만나는 순간..


    나는 흔한 탄성 한마디 지르지 못했다



    그냥 두 손을 높이 들고 다이아몬드링을 맞이하고


    눈밭에 무릎을 꿇고 앉아서


    경건한 마음으로 검은 태양에 집중했다


      



    완벽한 개기일식을 보고 나면,


    나도 남들처럼 완벽한 그림을 남길 수 있을줄 알았다



    2009년 인도 갠지스 강가에서 연필로 다이아몬드링을 그린 경싟형님이나


    [ 갠지스 강가의 개기일식, 흰 종이에 연필 - 김경싟 (2009) ]


    식.jpg



    2012년 호주 북부에서 개기일식 스케치를 남긴 Vieillard처럼 말이다


    [ 케언즈에서 ‘멀리’ 떨어진 호주 북부 어딘가, 흰 종이에 연필 - Serge Vieillard (2012) ]


    Serge_Vieillard.jpg




    2009년 항저우에서는 내가 천체스케치를 하기 전이었고,




    2012년 봄 도쿄에서는 그림을 남기긴 했으나 금환일식이었고


    [ Eclipse & Sky Tree, 검은 종이에 색연필 - 도쿄 / 조강욱 (2012) ] 


    eclipse.jpg



    2012년 가을 케언즈에는 좋은 종이와 각종 그림 도구를 가져갔으나


    귀국하여 얼마 뒤.. 일식을 망친 트라우마가 곱씹을수록 깊어져서 


    그리다 만 그림은 어느날 갈기갈기 찢어서 분리수거함에다 버렸다


    (너무 좋은 종이를 썼더니 잘 찢어지지도 않았다)




    그런데,


    북극에서 기적적인 파란 하늘을 만나 설산 중턱에서 완벽한 개기일식을 만났는데도


    뭘 어떻게 그려야 할지 전혀 영감이 떠오르질 않는다


    겨우 감질나게 2분 정도 본 것을 그림으로 표현하기는 아직은 내공이 많이 부족한가보다



    그 대신에,


    태양 말고 달에 집중해서 그림을 남겨 보기로 했다


    나는 월령 29일의 D-1 그믐달보다 훨씬 보기 힘든 월령 30일의 달,


    그믐달도 초승달도 아닌 이름조차 주어지지 않은 달을 본 것이다


    보이지 않으니 이름이 있을 수 없겠지 (굳이 따지자면 '삭'이다)



    세상 60억 인구 중에 개기일식을 본 사람이 얼마나 될까?


    그리고 그들 중 태양이 아닌 달을 느껴본 사람은 얼마나 될까....


    그런 생각을 하며 폰으로 완전한 구형의 달 그림자를 그리고 있으려니


    완벽한 개기일식을 표현하지 못한 아쉬움은 북극의 빙산 녹듯 사라져 버렸다



    [ 북극의 기적, 갤럭시노트4에 터치펜 - 조강욱 作 (2015) ]

     

    북극의 기적.png  



    내가 보통 성단 하나 스케치 하는데 집중하면 한 시간 정도 걸리는데..


    개기일식 한 번에 평균 2.5분을 볼 수 있으니, 24번만 개기일식을 보면


    내 눈으로 머리로 가슴으로 1시간은 그 빛을 축적한 것이니


    원하는 정도의 그림을 그릴 수 있지 않을까?



    근데 1.5년 정도마다 개기일식이 한 번 있으니.. 앞으로 안 빼먹고 본다 해도 36년,


    내가 70대가 되어서야 가능한 일이네..


    몸건강 눈건강 관리해야지..  =_=



    생각해보니 그걸 뭘 그렇게 똑같이 그리려 애쓸 필요가 있을까 싶기도 하다


    똑같지는 않아도 잘 찍은 사진과 동영상을 보며 그 날의 기억을 되새길 수는 있으니 말이야


    북극에서 일식을 보기 며칠 전에 스웨덴에서 보았던 엄청난 오로라도 결국 관측 스케치를 남기는 것을 포기했다



    [ 김동훈作, 폭풍의 하늘 ]

    anigif_150318_001358_S.gif



    이걸 대체 어떻게 그리나?


    특히 순간적으로 몰아치는 오로라 폭풍이 휩쓸 때는 그냥 눈으로 멍하니 그것을 지켜보는 것 외에는


    아무것도 하고 싶지 않았다


    격렬하게.jpg 


    대신 다음날, 머릿속에 남아 있는 잔상만을 가지고


    침대에 누워서 내맘대로 그 폭풍의 느낌을 그려 보았다



    [ 스톰의 절정, 갤럭시노트4에 터치펜 - 스웨덴 / 조강욱 (2015) ]


    150315 스톰의 절정.png 


    언젠가는 개기일식의 결정적 순간도


    내가 느낀 것을 만족할 만큼 표현할 순간이 올 것이라 기대한다.


    그때까진,


    몸건강 눈건강....



    이제는 나도 누군가에게 자신있게 말할 수 있다


    개기일식이 당신의 인생도 바꾸어 놓을 수 있다는 것을.





                                                                Nightwid 無雲



댓글 2

  • Profile

    장형석

    2015.08.25 01:08

    북극의 기적? 이라는 빨간 달은...
    웬지
    반지의 제왕에 나오는 사우론의 눈이 생각나는군요.. ㅎㅎ
  • 조강욱

    2015.08.25 09:54

    사우론의 눈이 되려면 중심성이 있어야.. ㅎㅎㅎ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430
  • 스케치
  • 별에 미쳐서 공부도 안 하고 산과 들을 떠돌다가 선동렬 방어율 수준의 학점을 받아들고 남들보다 빨리 군입대를 하게 되었다 논산 훈련소에서 박박 기고 있을 때도 한달 뒤면 최전방에서 엄청난 은하수를 볼 꿈에 부풀어 있었는데 자대에 도착해보니.. 그곳은 용산 전...
2016-11-11 15:19:16 / 2016-11-1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473
  • 스케치
  • 2009년 가을 어느날의 천문인마을은 너무나도 맑았다 그리고 지난번 글에서 떠든 주변시도 필요 없이 굵은 나선팔들이 너무 쉽게 휙휙 돌았다 언제 다시 이런 33번을 또 볼 수 있을까 하나 문제는, 내 실력이 그 나선팔을 표현할 정도가 아직 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나...
2016-12-05 13:43:51 조강욱 / 2016-11-13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3053
  • 스케치
  • 별그림을 그리는 나에게, 별사진 공모전은 일종의 꿈? 아니 객기에 가까운 도전이었다 천체사진만큼 천체스케치가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는 것도 아쉽고 그것을 향유하는 인구가 너무나 적다는 것도 또 아쉬운 일이었다 (한국만 그런 것은 아니다) 그래서, 2011년 천체사...
2016-11-18 05:10:56 / 2016-11-18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6063
  • 스케치
  • 눈 덮인 강원도 산중의 깊은 새벽, 영하 18도의 기온에 몇 시간을 꼼짝 않고 M35의 점을 찍었더니 머리는 어질어질하고 손가락이 얼어서 샤프로 동그라미가 잘 그려지지 않는다 아직 눈에 보이는 것을 다 그리지 못해서 끝낼 수가 없는데 손가락 발가락과 달리 눈알은 ...
2016-12-05 13:43:09 조강욱 / 2016-11-2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6026
  • 스케치
  • 매년 설과 추석은 별쟁이들에겐 다른 의미로 다가온다 추석은 항상 보름이니 Clear sky를 기원하며 달을 보며 소원 빌고, [ 14년 추석, 울산에서 - 갤노트 터치펜과 Sketchbook app으로 조강욱 (2014) ] 설은 항상 그믐이고 연휴이니 또 하나의 관측 찬스! 결혼 전에는 ...
2016-11-27 11:42:34 / 2016-11-27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54802
  • 스케치
  • 37번은 그리 마음이 잘 동하지 않는 대상이었다 비슷한 밝기의 별들이 잔뜩 몰려있는 성단이라 스케치를 하기에 많이 까다로운 대상이기 때문이다 한참 하얀 점을 찍다 보면 내가 이 별을 찍었는지 저 별을 찍었는지 알 수가 없다 (37번, 46번 같은 애들이 이쪽 부류이...
2016-12-05 13:44:33 조강욱 / 2016-11-27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9773
  • 스케치
  • 38번은, 별이 꽤 많은 성단인데도 가운데가 텅 비어 있다 중앙에 밝은 별 하나 외에는 사각형 모양으로 비어 있는 것이다 반대로 주변부는 화려하고 다채롭다. 번화한 도시의 중심은 슬럼화되고 외곽 지역에 부촌이 형성되는 도시 공동화 현상이 왜 생각이 나는 것일까?...
2016-12-05 13:45:36 조강욱 / 2016-11-2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0440
  • 스케치
  • 별로 친하지 않은 마의 '9번' 라인에서도 39번은 정말 한숨이 나오는 대상이다 이 성긴 별들의 무리가 왜 메시에 넘버를 가지고 있는 것일까? Melotte 정도로도 충분할 것 같은데.. 외뿔소자리의 크리스마스트리, NGC2264 외에도 39번도 종종 크리스마스 트리로 불리기...
2016-12-05 15:06:03 / 2016-12-0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4140
  • 스케치
  • 은하수 조각인 24번은 그러려니 하고 넘어가더라도 이 찌뿌둥한 별볼일 없는 이중성이 왜 메시에 넘버일까? 알비레오 같은 애들과 비교하면 확실히 뿌옇긴 한데.. 그렇다고 성운기라고 하긴 어려울 것이다 메시에가 1760년대 초반에 처음 발표한 40개의 메시에 대상에 ...
2016-12-23 14:49:32 조강욱 / 2016-12-07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730
  • 스케치
  • M41은 고대 그리스의 기록에도 남아있는 네 개의 '별이 아닌' 대상 중의 하나이다 (나머지 세 개는 44번, 7번, NGC869&884다) 흠.. 그리스가 우리나라보다 위도가 낮지도 않은데 7번은 그렇다 쳐도 41번은 왜 들어갔을까? 우리야 그게 별이 아니라고 생각하고 보니 ...
2016-12-13 05:09:59 / 2016-12-1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