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스케치/사진 ~☆+

  • [27日] 뜨거운 호핑 [스케치]
  • 조회 수: 13560, 2015-08-21 15:24:42(2015-08-21)



  • 4월 어느날, 월령 27일 달을 보겠다고 평소보다 일찍 출근하여 한남대교 남단 다리 난간을 잡고 섰다


    그러나 하늘은 내 어설픈 노력을 비웃듯이, 이미 너무 밝아져 버렸다


    20150417_061629.jpg 


    동쪽 하늘 어딘가에 있을, 달이 있을 위치를 한동안 하염없이 바라보다가


    뜻하지 않던 조기 출근을 할 수 밖에 없었다




    한달 뒤 5월 16일 토요일, 이번엔 아예 새벽 3시반에 나가 보기로 한다


    오전에 대전 천문연구원에 방문해야 하여,


    서울역 앞에서 대우건설(미생의 원인터)  건물을 배경으로 떠오른 눈썹달을 멋지게 그리고


    가볍게 대전행 KTX를 타려고 했는데..


    (그림 제목도 '미생, 아직 살아있지 못한 달'로 이미 지어 놓았었다 ;;;)



    정확한 시각, 월출 시각에 딱 맞게 서울역에 도착했는데


    달은 보이지 않는다. 아니 보일 수가 없다


    그림의 배경으로 생각했던 대우건설 빌딩이 너무 높아서 달을 볼 수가 없다


    서울스퀘어.JPG 



    이걸 어쩌지.. 다급한 마음에 택시를 잡아타고 남산타워로 향했다


    거기라면 최소한 시야는 틔여 있겠지.



    그 와중에 기사님이 잘못 알아들어서


    남산타운(아파트)까지 갔다가 한참을 돌아서 다시 남산타워로.



    뱅글뱅글 돌며 남산 정상으로 향하는 길,


    택시 안에서도 이미 밝아지고 있는 하늘 위로.. 높이 뜬 달이 보인다


    마음만 조급해져서 안절부절 못하다가


    동쪽 하늘의 붉은 기운이 잘 보이는 길가에 그냥 내렸다



    내리자마자 달 위치 확인.


    남산 케이블카.png



    그래 저기 있네..


    마지막 그믐달도 아니고.. 별것도 아닌 것이


    왜 그렇게 만나기 힘들었을까



    겨우 한숨 돌리고 나니


    케이블카도 울창한 나무들도 빨갛게 동이 트는 하늘도 보이기 시작한다


    달이 케이블카를 타고 사라지기 전에


    그 자리에 서서 집중해서 터치펜을 놀린다



    새벽 산책을 나온 아줌마와 트럭에서 쉬고 있던 운전기사,


    새벽일을 하는 청소 아저씨가 나를 빤히 쳐다보며 천천히 지나쳐간다


    아마도 이런 광경은 처음 봤겠지..


    나도 이런 광경은 처음 봤다. 월령 27일의 (나에게만)  귀한 달!



    [ 남산 케이블카, 갤럭시노트4에 터치펜 - 조강욱 (2015) ]


    남산 케이블카.png



    나에게 별보기란


    무엇이 왜 그렇게도 간절한 것일까?


    그저 그 무언가, 멀리 있는 것에 대한 맹목적인 타는 목마름인지도 모른다



    몇년 전부터,


    천문연구원에서 주최하는 학생천체관측대회에


    심사위원이란 명목으로 참여하고 있다



    매년 대회날마다 날씨가 그리 좋지 않아서 관측'대회'에 아쉬움이 있었는데


    작년 11월의 관측대회 날은 너무나도 맑았다



    제한된 시간 동안 뜨거운 열기 속에 정신없이 주어진 대상을 찾는 학생들 사이로


    한 학생이 눈에 들어왔다



    성도 페이지 찾는 시간조차 줄이고 싶었는지


    땅바닥에 성도 낱장을 모두 펼쳐놓고 엎드려서


    붉은 암등에 의지하여,


    긴 머리카락을 어지러이 날리며 쉬지 않고 별을 찾는다



    내가 언제 저렇게 혼신의 노력으로 뜨겁게 호핑을 해 본 적이 있었을까?



    [ 뜨거운 호핑, 갤럭시노트2에 터치펜 - 조강욱 (2014) ]


    141025 뜨거운 호핑.jpg




    아, 메시에마라톤이 있었지!



    [ 마라톤을 하는 이유, 흰 종이에 파스텔과 색연필 - 천문인마을/조강욱 (2011) ]


    Untitled_1.1.jpg








                                             Nightwid 無雲



댓글 0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6294
  • 스케치
  • 1996년, 대학교 1학년 겨울에 8인치로 처음 이 지역을 보았을 때의 신선한 충격을 나는 아직 잊을 수가 없다 Messier 84와 86번을 중심으로 모여 있는 9개의 은하. 당시 내가 가지고 있던 유일한 아이피스인 다카하시 30mm 83배짜리 번들 아이피스로 한 시야에서 가장 ...
2018-02-03 06:41:55 관심은하 / 2018-01-1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5306
  • 스케치
  • 별 보는 사람 중에 빙글빙글 돌아가는 나선은하를 싫어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 중에서도 멋진 막대가 있는 막대나선이라면 더더욱.. 그런데 여기엔 커다란 함정이 있다 그 막대나선을 보려면 은하가 face-on(정면이 보이는 은하) 이어야 하는데, Face-on 은하는 Ed...
2018-01-31 19:54:35 반형준 / 2018-01-1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560
  • 스케치
  • 2014년 1월. M82에서 초신성이 폭발한 이후, 난 한동안 X마려운 강아지처럼 안절부절하며 지냈다 아니 그게 뭐라고, 1200만년 전에 우주 저 편에서 별 하나 폭발한 것 뿐인데. 1054년에 게성운이 폭발했을 때도 가만히 있었으면서.. 그게 뭐라고 그렇게.. 마나님께서도 ...
2018-01-02 17:34:44 / 2018-01-02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5435
  • 스케치
  • 별쟁이들은 별이 잘 보이는 곳에 갈 수만 있다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다 군부대는, 그런 의미에서 아주 탐나는 장소다. 다들 그 곳에서 예전에 안 좋은 기억이 있음에도 말이다. 그와 동시에 군부대는 항상 불안한 곳이다. 언제든 쫓겨날 수 있는 곳이니.. 인제의...
2017-12-19 19:17:54 / 2017-12-1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958
  • 스케치
  • 밤하늘에서 M80이 느끼는 비애는, M28의 그것과 같다고 할 수 있다. 전 우주에서도 몇 손가락 안에 꼽히는 대형 구상성단 옆의 평범하..지는 않은 구상성단. 22번을 보고 28번까지 가는 사람이 별로 없듯이.. 4번을 보고 80번까지 찾아보는 사람 역시 많지 않다. 나 또...
2017-12-14 05:54:17 / 2017-12-14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3017
  • 스케치
  • 슈퍼문 그까짓거, 정작 별쟁이들은 슈퍼문에 별 관심이 없다. 매스컴이 만들어낸 허상일뿐.. 근데 오늘은 여러 사람들이 내게 물어보기도 하고, 그저 소원을 빌고 싶었다 그리고 일월출몰을 감상하는 것은 내 오랜 자폐적 취미생활.. 멋진 해변 근처에 산다는 것은 얼마...
2017-12-07 03:07:11 rocky / 2017-12-0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5426
  • 스케치
  • 오리온이 밟고 있는(?) 토끼자리에 위치한 M79는 겨울 하늘의 유일한 구상성단이라는 희소성 치고는 존재감이 희박한 아이다. 가을철 하늘에서 보던 2번이나 5번에 비하면 너무 심심한 구상이기 때문이다. "에이.." 어느 가을날 밤, 여느 때처럼 2번과 5번을 보며 한참 ...
2017-12-01 12:14:59 / 2017-12-0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6418
  • 스케치
  • 산개 밭인 겨울 하늘에서 레어 아이템인 성운이면서도 42번의 위세에 숨도 제대로 쉬기 어려운 78번.. 맑고 투명한 밤에도 78의 흐리멍텅함은 나아질 기미가 보이질 않는다 반사성운은 어쩔 수 없는 것일까? 좀 더 잘 볼 수는 없을까 하여 반사성운에 어이없이 UHC를 달...
2017-11-20 18:43:09 정병호 / 2017-11-1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8248
  • 스케치
  • 별쟁이들에게 77번의 이름이 불리우는 것은 보통 두 번 뿐이다. 메시에 마라톤 하는 날 초저녁과 Seyfert 은하의 예로 들 때 말이다. 세이퍼트 세이펄트 세이펄ㅌ 발음이야 어찌되었던 나도 대학교 시절부터 동아리 후배들에게 “이건 Seyfert 은하야”라고 주입식 교육을...
2017-10-09 16:36:16 / 2017-10-08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7213
  • 스케치
  • 소아령성운. 일본어 스타일의 이름인 것도 같지만 영어로도 little dumbbell nebula인 것을 보면 동양이나 서양이나 보는 눈은 비슷한 것 같다. 76번은 메시에 110개 대상 중에 가장 어두운 아이 중 하나로 기재되어 있지만, 실제로 보면 생각보다 꽤 밝은, 작은 성운 ...
2017-09-26 21:12:52 진진아빠 / 2017-09-26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