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스케치/사진 ~☆+

  • [25日] 문예단의 여왕 [스케치]
  • 조회 수: 9925, 2015-08-18 18:39:07(2015-08-18)


  • 문예단의 명성을 들어본 지는 한참 되었다


    그러나 서울에서의 거리 때문에 가 볼 생각은 한 번도 해 보지 않았는데


    정말로 우연한 기회에 가 보게 되었다.


    망원경도 차도 없이 맨 몸으로..


    그리고 그 곳에는 엄청난 하늘이 나를 기다리고 있었다



    평소 같았으면 서둘러 망원경을 세팅하고 시간에 쫓겨가며 대상을 찾았겠지만


    오늘은 두 눈과 스마트폰 터치펜 말고는 가져온 것이 없다



    캔소주님이 빌려주신 비치 의자에 반쯤 누워서


    세상에서 제일 맘편한 관측자가 되어 몇시간이고 마냥 그 별들을 바라본다



    [ 망원경이 무슨 필요, 갤럭시노트2에 손가락&터치펜 - 조강욱 (2014) ]


    망원경이무슨필요.jpg




    자정이 지나니 오리온이 높이 떴다


    그리고 그 오른편으로는 에리다누스가 굽이굽이 이어진다


    남반구에서 별을 본 사람은 동의할지도 모른다


    겨울 밤하늘의 제왕은 오리온이 아니라 에리다누스임을.


    [ 겨울의 제왕 Eridanus, 갤럭시노트2에 손가락&터치펜 - 조강욱 (2014) ]


    겨울의제왕.jpg



    의자에 누워서 별빛 샤워 5시간째,


    구로별사랑님 스피커에 흘러나오는 김광석 노래를 흥얼거리며


    오늘의 마지막 이벤트, 그믐달을 기다린다



    월출 시간을 한참 지나서 뜸을 들이던 달은


    새벽 3시가 되어서야 동쪽 산 위로 모습을 드러냈다



    그리고는 곧, 하늘의 모든 밝음을 혼자 차지한듯 눈부시게 빛난다


    그 작은 달이 어떻게 그렇게 압도적인 존재감을 보여줄 수 있을까?



    겨울 밤하늘의 제왕이 에리다누스라면


    이 그믐달은 여왕으로 모셔도 충분하리라



    [ 여왕님 입장, 갤럭시노트2에 터치펜&손가락 - 조강욱 (2014) ]


    여왕님입장.jpg








                                                 Nightwid 無雲



댓글 2

  • Profile

    장형석

    2015.08.18 18:11


    첫그림에 이중성단이 똭!
    카시오페아에는 이중성단이 있어야죠 ㅎㅎ 그럼요 ㅎㅎ

    전 언제쯤 에리다누스를 다 볼수 있을지..;;
  • 조강욱

    2015.08.18 18:39

    그래도 나름 이중성단 디테일에 신경쓴 보람이 있네요 ㅎ

    근데 아직 에리다누스를 못보셨어요?

    1년된 초보시라면서 욕심이 많으시군요 ㅎㅎㅎ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909
  • 스케치
  • 그동안.. 몇년간 다음에 하겠다고 미뤄만 두던 101번을 그려야 할 순서가 되었다 정면 은하를, 그것도 대형 Face-on(정면 은하)을 잘 보려면 얼마나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야 하는지 잘 알기 때문에 다음에.. 다음에 하며 계속 미뤄 두었었다. Messier 33번을 그리...
2018-10-12 12:44:04 / 2018-10-10
thumbnail
2015-03-30 08:38:44 진진아빠 / 2015-03-25
thumbnail
2015-07-29 01:42:33 러기 / 2015-07-28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670
  • 일반
  • 80년대 중반, 초등학교 저학년때... 어느날 아버지가 MBC청룡 어린이용 야구잠바를 사 오셨다 나에게는 팀을 고를 선택권이 없었지만, 그걸 거부할 이유도 없었다 (그 당시 남자 아이들은 비슷한 스토리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꽤 있을 것이다) 어릴때 아빠 손잡고 갔...
2014-11-28 16:53:00 조강욱 / 2014-10-27
thumbnail
2015-07-28 04:05:17 / 2015-07-28
thumbnail
2015-12-16 21:46:09 rocky / 2015-12-14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596
  • 스케치
  • 저녁 무렵이 되면, 사무실 내 모니터 가장자리가 갑자기 붉게 물드는 순간이 있다 서산으로 지는 태양빛이 15층 빌딩 유리창을 넘어 모니터에 반사되는 것이다. 그 신호를 보고 서쪽 창가에 있는 우리층 창고에 들어서면 강남의 빌딩숲과 우면산을 배경으로 탁 트인 시...
2015-07-31 05:30:46 조강욱 / 2015-07-2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559
  • 스케치
  • 2014년 1월. M82에서 초신성이 폭발한 이후, 난 한동안 X마려운 강아지처럼 안절부절하며 지냈다 아니 그게 뭐라고, 1200만년 전에 우주 저 편에서 별 하나 폭발한 것 뿐인데. 1054년에 게성운이 폭발했을 때도 가만히 있었으면서.. 그게 뭐라고 그렇게.. 마나님께서도 ...
2018-01-02 17:34:44 / 2018-01-02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479
  • 스케치
  • 달, 달이란 나에게 무엇일까? 그리고 우리에겐 어떤 의미일까? 관측의 훼방꾼. 대부분의 별쟁이에겐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닐 것이다 언젠가부터, 아마도 별보러 나가는 횟수가 1년에 다섯번을 넘지 못하면서부터 서울에서 이른아침 출근 시간에, 늦은 퇴근길에 버스 안에...
2015-07-28 17:19:58 조강욱 / 2015-07-24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347
  • 스케치
  • 뭐니뭐니해도 메시에 97번의 트레이드 마크는 뽕뽕 뚫린 눈알 두 개. 망원경으로 별을 본 적 없는 사람들에게도 메시에 97번, 올빼미 성운의 커다란 두 눈은 잘 알려져 있다 (출처 : 구글 검색) 안시로는 어떨까? 사실 나는 97을 제대로 본 지가 너무 오래 되어서, 그 ...
2018-07-05 12:27:38 / 2018-07-05
thumbnail
  • 정장훈 조회 수: 4335
  • 일반
  • NGC253입니다. 일시: 2014년 10월 27일 장소: 전북 장수군 무령고개 경통: 스카이워처 12" 돕소니안 가대: EQ-Platform 카메라: 소니 A7s 노출: 20s X 38장. ISO6400. - Dark 20s X 20장
2014-11-03 14:20:54 / 2014-11-03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321
  • 스케치
  • 카시오페이아 주위는 진정한 별밭, 아니 성단 밭이다 비슷한 크기와 밝기의 산개성단들이 무수히 뿌려져 있다 (출처: 구글 이미지 검색) 위치도 어렵지 않은 M103과 NGC 457(ET)을 한참동안 헤메고 다니는 이유이기도 하다. 망원경 구경이 커질수록 멋진 대상(NGC 7789)...
2018-11-24 02:11:57 랜슬롯 / 2018-11-18
thumbnail
  • 정성훈 조회 수: 4321
  • 사진
  • 대한민국 천체관측의 자존심! 야간비행의 15주년되심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좋은 자리에 초대하여 주셔서 감사합니다. 보답의 뜻으로 틈틈히 찍은 고정촬영 사진 올려봅니다. 쏟아져 내리는 별 속에서 산 봉오리에는 플레아데스가 떠오르려 합니다. 늦은 밤 야간...
2015-10-22 23:25:41 rocky / 2015-10-12
thumbnail
2015-04-03 03:13:06 / 2015-04-03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238
  • 일반
  • 달. 달이란 나에게 무엇일까 관측 의욕을 잃게 만드는 주적 다 볼 수도 없이 수많은 구조를 품고 있으나 철저히 외면받는 아이 안해도씨 별풍경 사진의 조명 관측일을 지정하게 만들어주는 이정표 나에게 기어코 스케치를 하게 만든 독하고 모진 놈 카시니에 황홀한 석...
2014-11-01 09:17:42 조강욱 / 2014-10-17
thumbnail
2015-03-06 20:23:57 김민회 / 2015-01-01
thumbnail
  • 박진우 조회 수: 4006
  • 일반
  • 얼마전 무지개가 떳길래 찍었는데 천정호라는 녀석이었네요 다음엔 썬독을 보고 싶습니다. 천정호(Circumzenithal arc)는 종종 “거꾸로 생긴 무지개” 또는 “하늘의 미소”라고 불린다. 모든 무리 현상 중 가장 아름다운 현상이다. 천정호는 완전한 원모양으로 생길 순 없...
2015-11-21 04:24:37 조강욱 / 2015-11-17
thumbnail
  • 김남희 조회 수: 3801
  • 일반
  • 차 유리창에 비친 달,금성 그리고 노을.... 화성은 너무 작아 안보이는군요. 오늘 매수팔 현장 도착하자마자 폰으로 찍어 봤습니다.
2017-02-06 09:15:24 김남희 / 2017-02-02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3649
  • 스케치
  • 1781년 4월 프랑스 파리의 관측소. 장발장이 조카들에게 주려고 빵을 훔치기도 15년 전에 메시에는 프랑스 천문학회 학회지에 낼 메시에 리스트를 정리하고 있었다 이미 M1번부터 M100번까지 100개 대상에 대한 관측 기록을 완성하고, 동료 관측자인 피에르 메케인(Pier...
2018-11-08 21:56:39 조강욱 / 2018-11-06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3644
  • 스케치
  • 밤하늘의 구상성단을 밝기 순으로 나열하다보면, 많은 대상이 남천에 편중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아래 list 중 노란색이 남천 대상) 북반구 트로이카라 불리는 13번, 5번, 3번도 6~8위 권을 겨우 유지할 뿐이다 그리고 400여 개의 모든 구상성단 중 11위를 보면, ...
2018-04-08 06:38:55 / 2018-04-0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