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스케치/사진 ~☆+

  • [11日] 열하루의 세가지 그림자 [스케치]
  • 조회 수: 8059, 2015-08-04 17:31:42(2015-08-04)

  • #1


    낮에 보는 달은 어떤 모습일까?


    파란 하늘에 보호색을 입고서 있는 듯 없는 듯 떠 있는 낮달.


    낮달은 한 달 중에 보름 이상을 볼 수 있지만 관심과 열망이 없으면 절대로 볼 수가 없다


    별도 달도 아는 만큼만 볼 수 있는 법..



    딸래미 손을 잡고 은평뉴타운 산책로를 걷다가 무성한 초목 사이로 낮달을 발견했다.


    (실은 산책을 구실로 달 어디 떠 있나 한참을 두리번거렸음)



    [ 낮달, 갤럭시노트2에 터치펜 - 조강욱 (2014) ]

    11_141005_낮달_월령11.jpg



    #2


    한달 뒤 같은 날, (월령 11일)


    부서 회식으로 막걸리를 알딸딸하게 마시고 나오니


    강남역의 회사 건물 위로 눈부신 달이 떠 있다


    하지만 그보다 시선을 잡아끄는 것은 달 아래 빌딩 층마다 촘촘히 켜 있는 형광등 불빛.


    집에 가자 쫌



    달이 떴는지 별이 떴는지도 모르고 일하고 있을 그 사람들을 어떻게 표현할까 하다가


    얼마전에 전시회에서 본 판화 기법을 차용해 보았다



    [ 달이 차오른다 가자, 갤럭시노트2에 터치펜 - 조강욱 (2014) ]

    11_141103_달이 차오른다 가자_월령11.png

    (달 그림 연작 중 제일 내 맘에 드는 그림 중 하나인데.. 이렇게 아낄 줄 알았으면 선 좀 똑바로 그릴 걸 그랬다)



    #3


    북극 원정을 준비하면서 가장 정신적으로 힘들었던 것은


    북극에서 차박을 하다가 너네 진짜로 얼어 죽는다는 주위의 동정 어린 시선이었다


    아니 내가 내 의지로 하겠다는데 왜..


    아니 근데 진짜로 얼어 죽을 위기에 처하면 어떡하지?


    가장 추운 날을 고르고 또 골라서


    1월의 마지막날,


    서울에서 가장 가깝고 가장 추울 광덕산 천문대 주차장에 올랐다



    차에서 내리자마자 영하 20도의 추위와 1100m 고지의 칼바람에


    온 몸이, 특히 손가락과 광대뼈가 찢어질 듯이 아프다


    준비해온 옷을 모두 껴입고, 핫팩으로 중무장을 하고


    광덕산.jpg


    그대로 냉동차(?) 안에서 하룻밤을 보냈다



    살을 에는 겨울바람이 쉴새 없이 몰아쳐도 하늘은 너무나 맑고 고요하다


    1100 고지에서 보는 별은 평지에서 보는 별과는 사뭇 다르다


    그 고도만큼 별빛도 더 맑아지는 것인지....



    군대에서도 안 해본 혹한기 훈련을 민방위도 끝날 때쯤 하게 되다니..


    억울함에 뭐라도 기록을 남겨 봐야겠다는 생각이 문득 들어서


    장갑은 벗을 생각도 못하고 둔한 손놀림으로 터치펜에 의지해서 한 장.



    [ 혹한기훈련, 갤럭시노트2에 터치펜 - 조강욱 (2015) ]

    11_150131_혹한기훈련_월령11.jpg





                                                 Nightwid 無雲



댓글 0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613
  • 스케치
  • 하늘에 57 같은 아이가 또 있을까? 망원경이 크던작던 서울이던 시골이던 초보라도 고수라도 맑던 흐리던 천정인지 지평선인지 아무 관계 없이 57번 고리성운은 사람들에게 자신의 모습을 온전히 모두 내어준다 (이 봉사는 11번이나 42번의 그것과는 또 다르다) 그리고 ...
2017-02-17 04:31:14 / 2017-02-17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8536
  • 스케치
  • 56번. 메시에 마라톤이 아니면 눈길 한번 줘본 적 없는 대상이다 (사실 메시에 대상의 70%는 같은 처지. 내가 메시에 스케치를 완주한 이유이기도 하다) 나를 포함한 대부분의 별쟁이들은 56번 바로 위의 57번 고리성운을 보고 나서 56을 쓱 지나쳐서 27번 아령성운으로...
2017-02-17 04:31:33 조강욱 / 2017-02-1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3896
  • 스케치
  • M55를 생각하면 항상 메시에마라톤이 떠오른다 그것도 2005년의 마라톤이 말이다. 100개를 채워야 완주의 의미가 있다고 믿던 시절, 초저녁에 어이없이 7개의 대상을 놓치고 밤새 마음 졸이며 질주하여 97개의 대상을 찾아 놓았다 남은 대상은 55번과 가을 하늘의 15번...
2017-02-17 04:32:19 조강욱 / 2017-02-12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0438
  • 스케치
  • 구름을 좋아하는 별쟁이는 아마도 한 명도 없을 것이다 그런데 이 불청객들이 달과는 의외로 잘 어울린다. 그것도 초승달 말고 보름달. 무엇이 달의 바다이고 무엇이 하늘의 구름일까? [ Too much Luna Mare, 스마트폰에 터치펜 - 조강욱 (2017) ] Nightwid 無雲
2017-02-12 04:38:10 조강욱 / 2017-02-1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917
  • 스케치
  • 54번은 그저 평범한, 구상성단으로서는 적당한 크기의 적당한 밝기의 아이지만 나름 꽤 특이한 모양을 하고 있다 성단 내부의 별 배치와 헤일로가 반대 방향으로 보이는 것이다 구상성단의 분해되지 않는 외곽 부분의 성운기를 뭐라고 불러야 맞는 것인지는 나도 잘 모...
2017-02-11 04:21:39 / 2017-02-11
thumbnail
2017-02-11 23:00:23 김재곤 / 2017-02-08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0160
  • 스케치
  • 하늘이 가물가물한 어느날 수피령에 홀로 자리를 펴고 M53을 그렸다 집에 와서 보니.. 근데 왜 이걸 그렸을까? 지난달 벗고개에서 이미 그린 아이인데.. 벗고개에서 밤새 관측을 하고 마지막 대상으로 비몽사몽간에 집중력이 결여된 상태에서 그렸던 것이긴 하지만 또 ...
2017-02-03 04:22:06 / 2017-02-03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5400
  • 스케치
  • 원래 매스컴표 '행성직렬 우주쇼'에는 큰 관심이 없었는데.. 오늘의 달과 행성들은 너무 예쁘다 그 조합에 감탄하다가 집 마당에 서서 한 장 그려본다 한국보다 몇시간 먼저 보는 맛도 은근히 괜찮네! Nightwid 無雲
2017-02-11 04:17:46 조강욱 / 2017-02-02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9211
  • 스케치
  • 카시오페이아의 52번은 나에겐 31번 29번보다 더 맘에 안드는 대상이다 이유는.. 아무도 믿어주지 않지만 호핑이 너무 어려워서.. 덕초현의 정모 천문대장도 오랜기간 4565를 제대로 찾지 못하는 것으로 보아 아주 희귀한 병은 아닌 듯 하다 내가 별나라에서 유독 못하...
2017-01-30 06:16:50 / 2017-01-3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0809
  • 스케치
  • 2012년 11월, 나는 두 번째 호주 원정을 위해 Brisbane행 비행기에 몸을 실었다 그 수많은 얘기들은 아래 링크로 대신하고.. 1편 http://www.nightflight.or.kr/xe/observation/62917 (두마리 토끼 - 남천과 일식) 2편 http://www.nightflight.or.kr/xe/observation/630...
2017-02-11 04:37:44 조강욱 / 2017-01-24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