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스케치/사진 ~☆+

  • [11日] 열하루의 세가지 그림자 [스케치]
  • 조회 수: 8059, 2015-08-04 17:31:42(2015-08-04)

  • #1


    낮에 보는 달은 어떤 모습일까?


    파란 하늘에 보호색을 입고서 있는 듯 없는 듯 떠 있는 낮달.


    낮달은 한 달 중에 보름 이상을 볼 수 있지만 관심과 열망이 없으면 절대로 볼 수가 없다


    별도 달도 아는 만큼만 볼 수 있는 법..



    딸래미 손을 잡고 은평뉴타운 산책로를 걷다가 무성한 초목 사이로 낮달을 발견했다.


    (실은 산책을 구실로 달 어디 떠 있나 한참을 두리번거렸음)



    [ 낮달, 갤럭시노트2에 터치펜 - 조강욱 (2014) ]

    11_141005_낮달_월령11.jpg



    #2


    한달 뒤 같은 날, (월령 11일)


    부서 회식으로 막걸리를 알딸딸하게 마시고 나오니


    강남역의 회사 건물 위로 눈부신 달이 떠 있다


    하지만 그보다 시선을 잡아끄는 것은 달 아래 빌딩 층마다 촘촘히 켜 있는 형광등 불빛.


    집에 가자 쫌



    달이 떴는지 별이 떴는지도 모르고 일하고 있을 그 사람들을 어떻게 표현할까 하다가


    얼마전에 전시회에서 본 판화 기법을 차용해 보았다



    [ 달이 차오른다 가자, 갤럭시노트2에 터치펜 - 조강욱 (2014) ]

    11_141103_달이 차오른다 가자_월령11.png

    (달 그림 연작 중 제일 내 맘에 드는 그림 중 하나인데.. 이렇게 아낄 줄 알았으면 선 좀 똑바로 그릴 걸 그랬다)



    #3


    북극 원정을 준비하면서 가장 정신적으로 힘들었던 것은


    북극에서 차박을 하다가 너네 진짜로 얼어 죽는다는 주위의 동정 어린 시선이었다


    아니 내가 내 의지로 하겠다는데 왜..


    아니 근데 진짜로 얼어 죽을 위기에 처하면 어떡하지?


    가장 추운 날을 고르고 또 골라서


    1월의 마지막날,


    서울에서 가장 가깝고 가장 추울 광덕산 천문대 주차장에 올랐다



    차에서 내리자마자 영하 20도의 추위와 1100m 고지의 칼바람에


    온 몸이, 특히 손가락과 광대뼈가 찢어질 듯이 아프다


    준비해온 옷을 모두 껴입고, 핫팩으로 중무장을 하고


    광덕산.jpg


    그대로 냉동차(?) 안에서 하룻밤을 보냈다



    살을 에는 겨울바람이 쉴새 없이 몰아쳐도 하늘은 너무나 맑고 고요하다


    1100 고지에서 보는 별은 평지에서 보는 별과는 사뭇 다르다


    그 고도만큼 별빛도 더 맑아지는 것인지....



    군대에서도 안 해본 혹한기 훈련을 민방위도 끝날 때쯤 하게 되다니..


    억울함에 뭐라도 기록을 남겨 봐야겠다는 생각이 문득 들어서


    장갑은 벗을 생각도 못하고 둔한 손놀림으로 터치펜에 의지해서 한 장.



    [ 혹한기훈련, 갤럭시노트2에 터치펜 - 조강욱 (2015) ]

    11_150131_혹한기훈련_월령11.jpg





                                                 Nightwid 無雲



댓글 0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856
  • 스케치
  • 미국의 안시 관측가인 Steve Coe 할아버지가 말씀하셨다는 유명한 별동네 격언(?)이 있다 "만약 내가 오리온 대성운을 보는 것이 지겨워질 때가 온다면 그 때는 내 장례식 날짜를 잡아야 할 것이다" 언제 왜 그런 얘기를 한 것인지 아쉽게도 그 원문은 찾을 수 없었지만...
2016-12-14 04:26:55 / 2016-12-14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0819
  • 스케치
  • 모두들, 42번의 화려함에 말을 잃고 감탄하면서도 아이피스 한 시야에 보이는 43번은 그저 보는둥 마는둥 하고 지나쳐 버린다 메시에 중에 이렇게 억울한 애가 또 있을까? 42번과 붙어 있지만 않았어도 멋진 애칭도 가지고 북반구 하늘에서 힘 깨나 썼을텐데 말이야 43...
2017-01-04 20:05:57 rocky / 2016-12-1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4624
  • 스케치
  • M44 프레세페. (고대부터) 사자자리 꼬리에 해당하는, 서울에서도 맘만 먹으면 눈으로 볼 수 있는, 그러나 정작 망원경으로 보면 건더기 몇 개 건질 수 없는 심심한 그저 밝은 별만 듬성듬성 있는 대형 산개성단이라 생각한다면 그건 분명 오산이다 M44 안에는 은하들이...
2016-12-23 14:55:59 조강욱 / 2016-12-2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7582
  • 스케치
  • 플레이아데스는, 꼭 별보는 사람이 아니더라도 하늘에 조금만 관심있는 사람이라면 모두 그 존재를 알고 있다 광해 가득한 서울 하늘에서도 맑은 겨울밤이면 하늘 높이 은은하게 빛나는 성단이기 때문이다 누가 지은 이름인지 '좀생이별'이란 이름도 참 잘 어울리는 듯 ...
2017-01-09 15:10:41 조강욱 / 2016-12-2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0345
  • 스케치
  • 밤하늘에는 혼자 사는 아이들도 있지만 여럿이 몰려 다니는 아이들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그 중 딱 '커플'로만 한정해 본다면 단언컨대, M46과 NGC2438은 세계 최고의, 아니 우주 제일의 조합일 것이다 (출처 : 내 스케치) NGC7789에 비견될만한 자잘하고 빽빽한 별...
2017-01-04 16:20:28 / 2017-01-04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221
  • 스케치
  • M46 바로 옆에 있는 47번은 46과는 전혀 다른 분위기를 풍긴다 은은하게, 그러나 절묘한 collaboration을 보이는 46번과 달리 M47은 남쪽 지평선 가까이에서도 당당하고 화려한 위용을 과시한다 성운기를 품은 큰 별들과 자잘한 별들의 멋진 조화. 47번은 그 자체로 아...
2017-01-06 14:27:15 / 2017-01-06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28685
  • 스케치
  • M48은 바다뱀 머리맡에, 넓고 공허한 영역을 지키는 산개성단이다 겨울밤의 화려한 산개성단 축제가 다 끝나갈 무렵에, 봄철의 심오한 은하 변주곡이 막 시작할 무렵에 나오는 아이라 그 충실한 별들에 비해 별로 인기가 없어 보인다 (관측기록도 별로 찾을 수가 없다) ...
2017-01-09 15:03:58 / 2017-01-0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8734
  • 스케치
  • 메시에 1번부터 50번 사이에, 은하는 단 4개 뿐이다 31번 안드로메다 대은하와 그 위성은하 중 하나인 32번, 거대한 face-on 은하 33번이 그것이다 그리고 마지막 하나는, 49번. 처녀자리 은하단의 끝자락에 위치한 타원은하다 31, 32, 33번이야 워낙 이름값이 있는 애...
2017-01-16 05:36:32 / 2017-01-16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7293
  • 스케치
  • 외뿔소자리를 정확히 그릴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물론 나도 아니다 겨울 밤하늘의 화려한 별자리들 가운데, 그것도 겨울의 대삼각형 가운데에 쏙 들어가 있으니 더더욱 찾을 생각이 들지 않는지도 모른다 지구의 반대편, 오클랜드에 살게 되면서 날만 맑으면 마...
2017-02-11 04:38:20 조강욱 / 2017-01-1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0809
  • 스케치
  • 2012년 11월, 나는 두 번째 호주 원정을 위해 Brisbane행 비행기에 몸을 실었다 그 수많은 얘기들은 아래 링크로 대신하고.. 1편 http://www.nightflight.or.kr/xe/observation/62917 (두마리 토끼 - 남천과 일식) 2편 http://www.nightflight.or.kr/xe/observation/630...
2017-02-11 04:37:44 조강욱 / 2017-01-24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