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스케치/사진 ~☆+

  • [4日] 결정적 순간 [스케치]
  • 조회 수: 6143, 2015-07-29 15:25:36(2015-07-28)

  • # 1.


    2014년 여름, 나는 천문인마을에 있었다


    울 마나님과 딸님은 울산 처가집으로 보내고,


    나는 천문인마을에서 밤에는 별을 보고 낮에는 잠을 자고


    저녁에는 천문인마을 손님들에게 별을 보여주며 소일거리를 하고 있었다


    어느날 저녁 무렵, 아직 파란 하늘에 서쪽 산등성이에서 달이 나타났다.


    일반인 가족 두 팀을 시간에 쫓기며 달 구덩이를 보여주고 나니

     

    달이 서산에 넘어가기 직전, 내가 볼 기회가 왔다



    Oh My God!


    아이피스 안에는 산능성이 나무들 사이로 그 하얀 달이 엄청난 속도로 사라지고 있었다


    이걸 대체 뭐라고 표현하지?


    급한대로 폰 어포컬로 한 컷 찍어 놓았다가


    다음날 낮에 그 달 생각을 하며 하루 종일 폰으로 그림을 그렸다



    [ 아이피스 월몰 - 횡성 천문인마을, 조강욱 (2014) ]

    아이피스월몰.jpg



    아마도 나의 첫 스마트폰 달그림일 것이다.


    달의 각도 자체도 시계 방향으로 60도 가량 더 돌아가야 하고


    기술적으로도 부족함이 많은 그림이지만


    나는 이 그림을 볼 때마다 엄청난 속도로 서산으로 지는 달의 결정적 순간을 생각한다




    # 2.


    두 달 뒤 같은 월령에는 토성식이 있었다


    토성식은 2002년 대학 4학년때.. 아직은 그게 얼마나 희귀한 것인지 잘 몰랐을 때 처음 맞이하게 되었다


    얼마나 희귀한 것인지는 몰랐지만 2001년 목성식의 경험으로


    여럿이 나눠 보면 그 찰나의 순간의 감동도 1/n로 나눠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어서


    나 혼자 보았다. 나는 망원경이 있었으니까... 충분히 이기적으로,


    동아리 애들과 나눠보지 않아도 되었다



    토성의 고리가 달에 먹히는 순간,


    그리고 한 시간 뒤.. 오랜 잠복근무 끝에 반대쪽 끝에서

     

    그 고리 한 쪽이 나오는 순간의 카타르시스는 10년이 지나도 잊혀지지 않는다



    2014년 9월의 토성식은 토요일 낮 12시 정오.


    그래도 12년만에 그 감동을 어떻게든 느껴보려 하였으나 하늘 상태는 토성은 고사하고


    정오에 월령 4일 달을 보는 것 자체가 challenge인 날이었다


    아침에 일어나 하늘 한 번 쳐다보고서 애초에 포기하고

     

    Sky Safari로 달을 잡아놓고 토성이 접근하기를 기다린다


     

    스마트폰 화면 안에서 토성식이 다가올수록 가슴이 두근두근 뛴다.

     

    난 정말로 미친게 아닐까?


    토성의 고리가 달에 접촉하는 순간, 나도 모르게 탄성이 새어 나왔다


    그리고 순식간에 고리와 본체는 달의 뒤편으로...



    [ 대리만족, 조강욱 (2014) ]
     

    토성식.jpg



    밤에 볼 수 있는 토성식은 우리나라에선 2048년에야 볼 수 있다


    내가 그때까지 기다릴 수 있을지, 아님 다른 나라 어딘가에서 숨죽이고 있을지..


    지금 봐서는 아마도 후자가 되지 않을까 싶다.


    인생은 유한하니까 말이야..




    # 3.


    딸래미와 손을 잡고 집으로 걸어가는데


    아파트 사이로 초승달이 빛난다


    그것도 엄청난 지구조와 함께....


    지구조가 무엇인지 모르는 사람은 평생을 모른채로 살아간다


     

    하지만 그 존재를 아는 사람은 굳이 찾아보지 않아도


    맑은 하늘에 초승달을 볼 때마다 그 아름다운 지구조의 색을 지나칠래야 지나칠 수가 없을 것이다


    하늘색도 아니고 달색도 아닌 그 오묘한 색깔..


    그림 말고는 그 색을 표현할 재주가 없으리라.

     

     

    [ 겨울 달 & Venus, 갤럭시노트4에 터치펜 - 조강욱 (2015) ]

     

    월4.png







                                                      Nightwid 無雲



댓글 4

  • Profile

    김태환

    2015.07.28 20:27

    엇...못본 그림들이네요~~ 마지막 그림 빼고..
  • 조강욱

    2015.07.29 15:23

    생각해보니 공개하지 않은 그림들이 많네요.. ^^;

  • Profile

    박상구

    2015.07.28 21:01

    "아름답다"
    천문인마을의 월몰의 묘사는 직접 보고있는 듯한 느낌을 불러 일으키네요.
  • 조강욱

    2015.07.29 15:25

    그 아이피스 안의 월몰이 참 각별한 것이었는데..

    초승달을 너무 똑바로 세워서 아쉬움이 많이 남습니다 ㅠㅠ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6294
  • 스케치
  • 1996년, 대학교 1학년 겨울에 8인치로 처음 이 지역을 보았을 때의 신선한 충격을 나는 아직 잊을 수가 없다 Messier 84와 86번을 중심으로 모여 있는 9개의 은하. 당시 내가 가지고 있던 유일한 아이피스인 다카하시 30mm 83배짜리 번들 아이피스로 한 시야에서 가장 ...
2018-02-03 06:41:55 관심은하 / 2018-01-1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5306
  • 스케치
  • 별 보는 사람 중에 빙글빙글 돌아가는 나선은하를 싫어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 중에서도 멋진 막대가 있는 막대나선이라면 더더욱.. 그런데 여기엔 커다란 함정이 있다 그 막대나선을 보려면 은하가 face-on(정면이 보이는 은하) 이어야 하는데, Face-on 은하는 Ed...
2018-01-31 19:54:35 반형준 / 2018-01-1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553
  • 스케치
  • 2014년 1월. M82에서 초신성이 폭발한 이후, 난 한동안 X마려운 강아지처럼 안절부절하며 지냈다 아니 그게 뭐라고, 1200만년 전에 우주 저 편에서 별 하나 폭발한 것 뿐인데. 1054년에 게성운이 폭발했을 때도 가만히 있었으면서.. 그게 뭐라고 그렇게.. 마나님께서도 ...
2018-01-02 17:34:44 / 2018-01-02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5433
  • 스케치
  • 별쟁이들은 별이 잘 보이는 곳에 갈 수만 있다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다 군부대는, 그런 의미에서 아주 탐나는 장소다. 다들 그 곳에서 예전에 안 좋은 기억이 있음에도 말이다. 그와 동시에 군부대는 항상 불안한 곳이다. 언제든 쫓겨날 수 있는 곳이니.. 인제의...
2017-12-19 19:17:54 / 2017-12-1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958
  • 스케치
  • 밤하늘에서 M80이 느끼는 비애는, M28의 그것과 같다고 할 수 있다. 전 우주에서도 몇 손가락 안에 꼽히는 대형 구상성단 옆의 평범하..지는 않은 구상성단. 22번을 보고 28번까지 가는 사람이 별로 없듯이.. 4번을 보고 80번까지 찾아보는 사람 역시 많지 않다. 나 또...
2017-12-14 05:54:17 / 2017-12-14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3017
  • 스케치
  • 슈퍼문 그까짓거, 정작 별쟁이들은 슈퍼문에 별 관심이 없다. 매스컴이 만들어낸 허상일뿐.. 근데 오늘은 여러 사람들이 내게 물어보기도 하고, 그저 소원을 빌고 싶었다 그리고 일월출몰을 감상하는 것은 내 오랜 자폐적 취미생활.. 멋진 해변 근처에 산다는 것은 얼마...
2017-12-07 03:07:11 rocky / 2017-12-0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5426
  • 스케치
  • 오리온이 밟고 있는(?) 토끼자리에 위치한 M79는 겨울 하늘의 유일한 구상성단이라는 희소성 치고는 존재감이 희박한 아이다. 가을철 하늘에서 보던 2번이나 5번에 비하면 너무 심심한 구상이기 때문이다. "에이.." 어느 가을날 밤, 여느 때처럼 2번과 5번을 보며 한참 ...
2017-12-01 12:14:59 / 2017-12-0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6417
  • 스케치
  • 산개 밭인 겨울 하늘에서 레어 아이템인 성운이면서도 42번의 위세에 숨도 제대로 쉬기 어려운 78번.. 맑고 투명한 밤에도 78의 흐리멍텅함은 나아질 기미가 보이질 않는다 반사성운은 어쩔 수 없는 것일까? 좀 더 잘 볼 수는 없을까 하여 반사성운에 어이없이 UHC를 달...
2017-11-20 18:43:09 정병호 / 2017-11-19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8247
  • 스케치
  • 별쟁이들에게 77번의 이름이 불리우는 것은 보통 두 번 뿐이다. 메시에 마라톤 하는 날 초저녁과 Seyfert 은하의 예로 들 때 말이다. 세이퍼트 세이펄트 세이펄ㅌ 발음이야 어찌되었던 나도 대학교 시절부터 동아리 후배들에게 “이건 Seyfert 은하야”라고 주입식 교육을...
2017-10-09 16:36:16 / 2017-10-08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7213
  • 스케치
  • 소아령성운. 일본어 스타일의 이름인 것도 같지만 영어로도 little dumbbell nebula인 것을 보면 동양이나 서양이나 보는 눈은 비슷한 것 같다. 76번은 메시에 110개 대상 중에 가장 어두운 아이 중 하나로 기재되어 있지만, 실제로 보면 생각보다 꽤 밝은, 작은 성운 ...
2017-09-26 21:12:52 진진아빠 / 2017-09-26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