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스케치/사진 ~☆+

  • [4日] 결정적 순간 [스케치]
  • 조회 수: 6143, 2015-07-29 15:25:36(2015-07-28)

  • # 1.


    2014년 여름, 나는 천문인마을에 있었다


    울 마나님과 딸님은 울산 처가집으로 보내고,


    나는 천문인마을에서 밤에는 별을 보고 낮에는 잠을 자고


    저녁에는 천문인마을 손님들에게 별을 보여주며 소일거리를 하고 있었다


    어느날 저녁 무렵, 아직 파란 하늘에 서쪽 산등성이에서 달이 나타났다.


    일반인 가족 두 팀을 시간에 쫓기며 달 구덩이를 보여주고 나니

     

    달이 서산에 넘어가기 직전, 내가 볼 기회가 왔다



    Oh My God!


    아이피스 안에는 산능성이 나무들 사이로 그 하얀 달이 엄청난 속도로 사라지고 있었다


    이걸 대체 뭐라고 표현하지?


    급한대로 폰 어포컬로 한 컷 찍어 놓았다가


    다음날 낮에 그 달 생각을 하며 하루 종일 폰으로 그림을 그렸다



    [ 아이피스 월몰 - 횡성 천문인마을, 조강욱 (2014) ]

    아이피스월몰.jpg



    아마도 나의 첫 스마트폰 달그림일 것이다.


    달의 각도 자체도 시계 방향으로 60도 가량 더 돌아가야 하고


    기술적으로도 부족함이 많은 그림이지만


    나는 이 그림을 볼 때마다 엄청난 속도로 서산으로 지는 달의 결정적 순간을 생각한다




    # 2.


    두 달 뒤 같은 월령에는 토성식이 있었다


    토성식은 2002년 대학 4학년때.. 아직은 그게 얼마나 희귀한 것인지 잘 몰랐을 때 처음 맞이하게 되었다


    얼마나 희귀한 것인지는 몰랐지만 2001년 목성식의 경험으로


    여럿이 나눠 보면 그 찰나의 순간의 감동도 1/n로 나눠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어서


    나 혼자 보았다. 나는 망원경이 있었으니까... 충분히 이기적으로,


    동아리 애들과 나눠보지 않아도 되었다



    토성의 고리가 달에 먹히는 순간,


    그리고 한 시간 뒤.. 오랜 잠복근무 끝에 반대쪽 끝에서

     

    그 고리 한 쪽이 나오는 순간의 카타르시스는 10년이 지나도 잊혀지지 않는다



    2014년 9월의 토성식은 토요일 낮 12시 정오.


    그래도 12년만에 그 감동을 어떻게든 느껴보려 하였으나 하늘 상태는 토성은 고사하고


    정오에 월령 4일 달을 보는 것 자체가 challenge인 날이었다


    아침에 일어나 하늘 한 번 쳐다보고서 애초에 포기하고

     

    Sky Safari로 달을 잡아놓고 토성이 접근하기를 기다린다


     

    스마트폰 화면 안에서 토성식이 다가올수록 가슴이 두근두근 뛴다.

     

    난 정말로 미친게 아닐까?


    토성의 고리가 달에 접촉하는 순간, 나도 모르게 탄성이 새어 나왔다


    그리고 순식간에 고리와 본체는 달의 뒤편으로...



    [ 대리만족, 조강욱 (2014) ]
     

    토성식.jpg



    밤에 볼 수 있는 토성식은 우리나라에선 2048년에야 볼 수 있다


    내가 그때까지 기다릴 수 있을지, 아님 다른 나라 어딘가에서 숨죽이고 있을지..


    지금 봐서는 아마도 후자가 되지 않을까 싶다.


    인생은 유한하니까 말이야..




    # 3.


    딸래미와 손을 잡고 집으로 걸어가는데


    아파트 사이로 초승달이 빛난다


    그것도 엄청난 지구조와 함께....


    지구조가 무엇인지 모르는 사람은 평생을 모른채로 살아간다


     

    하지만 그 존재를 아는 사람은 굳이 찾아보지 않아도


    맑은 하늘에 초승달을 볼 때마다 그 아름다운 지구조의 색을 지나칠래야 지나칠 수가 없을 것이다


    하늘색도 아니고 달색도 아닌 그 오묘한 색깔..


    그림 말고는 그 색을 표현할 재주가 없으리라.

     

     

    [ 겨울 달 & Venus, 갤럭시노트4에 터치펜 - 조강욱 (2015) ]

     

    월4.png







                                                      Nightwid 無雲



댓글 4

  • Profile

    김태환

    2015.07.28 20:27

    엇...못본 그림들이네요~~ 마지막 그림 빼고..
  • 조강욱

    2015.07.29 15:23

    생각해보니 공개하지 않은 그림들이 많네요.. ^^;

  • Profile

    박상구

    2015.07.28 21:01

    "아름답다"
    천문인마을의 월몰의 묘사는 직접 보고있는 듯한 느낌을 불러 일으키네요.
  • 조강욱

    2015.07.29 15:25

    그 아이피스 안의 월몰이 참 각별한 것이었는데..

    초승달을 너무 똑바로 세워서 아쉬움이 많이 남습니다 ㅠㅠ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thumbnail
  • 천세환 조회 수: 590
  • 스케치
  •  안녕하세요? 천세환입니다.   얼마전 우연한 기회로 다카하시 TSA120을 중고로 구입했고, 이 무거운 경통을 안정적으로 운용하기 위해 삼각대와 경위대를 추가로 구입... ;;;;  뭘 할지 고민하던 중, 최윤호 님의 사냥개자리 이중성 관측기 http://www.nightflight.or.k...
2021-03-12 22:28:59 최윤호 / 2021-03-1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852
  • 스케치
  •  목성토성 최근접 당일.. 예보가 안 좋아서 사실 큰 기대를 안하고 있었는데 잠복근무 중에 운 좋게 구름 사이로 볼 수 있었다 (자세한 얘기는 관측기록으로.. ^^) 기본적으로 나는 내 그림에 인공 구조물을 넣는것을 좋아하지 않는데.. (안이쁘고 그리기도 어렵다) 천...
2021-01-01 17:06:57 / 2021-01-0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50
  • 스케치
  • 별하늘지기에서 목성의 영이 보일 거라는 게시물을 보고 황급히 망원경을 폈다. ​ 목성 표면에 각기 다른 색의 점 세 개가 보인다. 시간이 흐를 수록 점들도 흐르고 그 색도 바뀐다. 세상에 이 기쁨을 아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난 정말 운도 좋다 Nightwid 無雲
2020-09-06 17:12:29 조강욱 / 2020-08-30
no image
  • 조강욱 조회 수: 1281
  • 스케치
  • 엄청난 시상의 일요일 저녁.. ​ 이정도면 웬만한 사진보다 낫겠다 싶어서 신나게 그렸는데 ​ 같은날 찍혀진 사진들을 보니 아직 상대가 되지 않는다. ​ 목성 본체의 그림자 뒤에는 유로파도 숨어있었다. 그래도 보름 전의 목성보다는 조금 발전했기를 바란다 ​ 나의 목...
2021-02-16 01:12:01 / 2020-08-24
no image
  • 조강욱 조회 수: 621
  • 스케치
  • 남반구에서는 요즘 목성과 토성이 천정에 남중하고 있다 ​ 얼마전까지만 해도 새벽 하늘에 함께 하던 화성은 저 멀리 떠나가고, ​ 목성과 토성만 이른 저녁부터 밤하늘을 빛낸다 ​ 토성 간극이 대체 무엇인지 궁금해서 한참을 파 보았던 몇달 전 이후로 처음 토성을 겨...
2020-08-24 03:36:36 / 2020-08-24
thumbnail
  • 김영주 조회 수: 1776
  • 스케치
  • 금성과 플레아데스성단의 랑데뷰를 모처럼 찍어봤다. 망원경으로 보이는 랑테뷰는 아름답지 않았다. 큰 화각이 필요했고...그렇다고 쌍안경으로 보면서 그릴 수도 없는 노릇 방법은 사진을 찍고 그 찍은 것을 그대로 그리는 것 사진을 찍고보니 플레아데스의 별마다 성...
2020-04-13 02:32:12 신기루 / 2020-04-08
thumbnail
  • 김승희 조회 수: 1693
  • 스케치
  • 3월20일 별 안보이는 구름 낀 관측지에서... -왠지 장비들을 멀리 보내야 될 것 같아서 기념으로.... - 교동대교를 멍떄리며 보며 유투브를 보고 오일파스텔을 샀는데...이상과 현실의 차이를 느낍니다 ㅎㅎㅎ 많이 그리다 보면 좋아지겠죠 ^^
2020-04-08 20:16:08 신기루 / 2020-03-23
thumbnail
  • 김승희 조회 수: 2004
  • 스케치
  • NGC 2359 *03.18 홍천 *미드 12", 12.5mm 독터, OIII, x121 *03.18 홍천 *미드 12", 12.5mm 독터, OIII, x121  신년관측회때 재곤씨 망원경으로 본 모습이 너무나 인상적이어서 그려봤지만 그모습은 어디 갔는지 ㅎㅎㅎㅎ 투구 모양이 아니라 스푸트니크 1호 느낌이.......
2020-03-25 23:13:28 조강욱 / 2020-03-23
thumbnail
  • 김승희 조회 수: 3022
  • 스케치
  • 그리다보니 서로 Interacting한 짝꿍 GX만 모이게 되었습니다. -관측시간순 : 4 > 2 > 3 > 1 -미드12", 7mm솔로몬, x220 1. 4490은 아주 엹게 2. 3227은 별같은 핵이 중앙에 꼭 3. 안테나라기 보다는 하트 4. 2개의 각도가 직각인 듯한 느낌이...
2020-03-24 04:54:31 조강욱 / 2020-03-23
no image
  • 조강욱 조회 수: 1443
  • 스케치
  • 이번 주말 예정되었던 뉴질랜드 최대의 스타파티는 코로나 확산으로 인해 이틀전에 전격 취소되고, 별고픔을 달래보고자 새벽에 정원에 나가보니 목성과 화성이 딱 붙어있다. 이걸 왜 모르고 있었지? 40배 한시야에 너끈히 들어온다. 이렇게 귀여울수가.. 급히 좌판을 ...
2020-04-13 02:34:17 신기루 / 2020-03-2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