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스케치/사진 ~☆+

  • [4日] 결정적 순간 [스케치]
  • 조회 수: 6143, 2015-07-29 15:25:36(2015-07-28)

  • # 1.


    2014년 여름, 나는 천문인마을에 있었다


    울 마나님과 딸님은 울산 처가집으로 보내고,


    나는 천문인마을에서 밤에는 별을 보고 낮에는 잠을 자고


    저녁에는 천문인마을 손님들에게 별을 보여주며 소일거리를 하고 있었다


    어느날 저녁 무렵, 아직 파란 하늘에 서쪽 산등성이에서 달이 나타났다.


    일반인 가족 두 팀을 시간에 쫓기며 달 구덩이를 보여주고 나니

     

    달이 서산에 넘어가기 직전, 내가 볼 기회가 왔다



    Oh My God!


    아이피스 안에는 산능성이 나무들 사이로 그 하얀 달이 엄청난 속도로 사라지고 있었다


    이걸 대체 뭐라고 표현하지?


    급한대로 폰 어포컬로 한 컷 찍어 놓았다가


    다음날 낮에 그 달 생각을 하며 하루 종일 폰으로 그림을 그렸다



    [ 아이피스 월몰 - 횡성 천문인마을, 조강욱 (2014) ]

    아이피스월몰.jpg



    아마도 나의 첫 스마트폰 달그림일 것이다.


    달의 각도 자체도 시계 방향으로 60도 가량 더 돌아가야 하고


    기술적으로도 부족함이 많은 그림이지만


    나는 이 그림을 볼 때마다 엄청난 속도로 서산으로 지는 달의 결정적 순간을 생각한다




    # 2.


    두 달 뒤 같은 월령에는 토성식이 있었다


    토성식은 2002년 대학 4학년때.. 아직은 그게 얼마나 희귀한 것인지 잘 몰랐을 때 처음 맞이하게 되었다


    얼마나 희귀한 것인지는 몰랐지만 2001년 목성식의 경험으로


    여럿이 나눠 보면 그 찰나의 순간의 감동도 1/n로 나눠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어서


    나 혼자 보았다. 나는 망원경이 있었으니까... 충분히 이기적으로,


    동아리 애들과 나눠보지 않아도 되었다



    토성의 고리가 달에 먹히는 순간,


    그리고 한 시간 뒤.. 오랜 잠복근무 끝에 반대쪽 끝에서

     

    그 고리 한 쪽이 나오는 순간의 카타르시스는 10년이 지나도 잊혀지지 않는다



    2014년 9월의 토성식은 토요일 낮 12시 정오.


    그래도 12년만에 그 감동을 어떻게든 느껴보려 하였으나 하늘 상태는 토성은 고사하고


    정오에 월령 4일 달을 보는 것 자체가 challenge인 날이었다


    아침에 일어나 하늘 한 번 쳐다보고서 애초에 포기하고

     

    Sky Safari로 달을 잡아놓고 토성이 접근하기를 기다린다


     

    스마트폰 화면 안에서 토성식이 다가올수록 가슴이 두근두근 뛴다.

     

    난 정말로 미친게 아닐까?


    토성의 고리가 달에 접촉하는 순간, 나도 모르게 탄성이 새어 나왔다


    그리고 순식간에 고리와 본체는 달의 뒤편으로...



    [ 대리만족, 조강욱 (2014) ]
     

    토성식.jpg



    밤에 볼 수 있는 토성식은 우리나라에선 2048년에야 볼 수 있다


    내가 그때까지 기다릴 수 있을지, 아님 다른 나라 어딘가에서 숨죽이고 있을지..


    지금 봐서는 아마도 후자가 되지 않을까 싶다.


    인생은 유한하니까 말이야..




    # 3.


    딸래미와 손을 잡고 집으로 걸어가는데


    아파트 사이로 초승달이 빛난다


    그것도 엄청난 지구조와 함께....


    지구조가 무엇인지 모르는 사람은 평생을 모른채로 살아간다


     

    하지만 그 존재를 아는 사람은 굳이 찾아보지 않아도


    맑은 하늘에 초승달을 볼 때마다 그 아름다운 지구조의 색을 지나칠래야 지나칠 수가 없을 것이다


    하늘색도 아니고 달색도 아닌 그 오묘한 색깔..


    그림 말고는 그 색을 표현할 재주가 없으리라.

     

     

    [ 겨울 달 & Venus, 갤럭시노트4에 터치펜 - 조강욱 (2015) ]

     

    월4.png







                                                      Nightwid 無雲



댓글 4

  • Profile

    김태환

    2015.07.28 20:27

    엇...못본 그림들이네요~~ 마지막 그림 빼고..
  • 조강욱

    2015.07.29 15:23

    생각해보니 공개하지 않은 그림들이 많네요.. ^^;

  • Profile

    박상구

    2015.07.28 21:01

    "아름답다"
    천문인마을의 월몰의 묘사는 직접 보고있는 듯한 느낌을 불러 일으키네요.
  • 조강욱

    2015.07.29 15:25

    그 아이피스 안의 월몰이 참 각별한 것이었는데..

    초승달을 너무 똑바로 세워서 아쉬움이 많이 남습니다 ㅠㅠ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371
  • 스케치
  • 오랫동안 메시에 스케치 연재를 올리지 못했다 다양하게 일을 벌리고서 허덕이며 근근히 수습하는 것을 즐기는 성격상 어쩔 수 없는 공백이었지만 이것도 벌린 일이니 수습해야지! 공허한 봄철 하늘에서도 남쪽 하늘은 더욱 심심하다 거기엔 하늘에서 가장 큰 (또는 긴)...
2017-07-10 04:40:36 조강욱 / 2017-05-2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0024
  • 스케치
  • 궁수자리의 (공식적인) 진짜 모양을 하늘의 별들을 이어서 그릴 수 있는 사람은 많지 않다 하지만 그 윗부분의 찻주전자, Teapot, 또는 돈데크만을 사랑하지 않는 별쟁이 또한 드물 것이다 그 귀여운 생김새는 물론이고, 황홀한 은하수 중심과 맨눈으로도 보이는 수많은...
2017-06-04 05:55:33 / 2017-06-04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098
  • 스케치
  • 69 - 70 - 54. 딱 거기까지다 별을 좀 본다는 사람들도 궁수자리 바닥에 위치한 세 개의 작은 구상성단의 순서, 69번 → 70번 → 54번.. 그 이상의 것은 생각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리 밝지도 특이하지도 않은 애들이기 때문이다. 우주 상에서 그리 큰 관계가 없을 두 성...
2017-06-25 06:18:54 / 2017-06-25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835
  • 스케치
  • 71번은 사람을 헷갈리게 만드는 대상이다 이게 정말 구상성단이 맞을까? 생긴거는 꼭 산개성단 M11 비슷하게 생겼는데.. 우리들 뿐 아니라 천문학자들도 1970년대까지는 M71을 산개성단으로 분류해 놓았었다 최근에야 구성 별들의 성분 분석을 통해 구상성단임이 밝혀진...
2017-07-10 03:21:16 / 2017-07-1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374
  • 스케치
  • 나는 아이피스 안에 여러 대상이 같이 보이는 것, 적어도 근처에 무언가 다양한 것들이 많이 모여 있는 것들을 좋아한다 그래서 밤하늘의 여러가지 커플들을 감상하는 것을 즐기는데, 염소자리 위쪽의 72 & 73은 아마도 세상에서 가장 볼품없는 커플일 것이다 73번...
2017-07-17 05:59:47 / 2017-07-17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279
  • 스케치
  • 73번은 40번과 함께 가장 어이없는 메시에 대상이다 40번은 이중성이니 나름 Deep-sky라고 해줄 만도 한데.. 73번은 대체 뭔가. 그냥 별 4개 모여있는 Asterism(별무리)인데 말이다 이정도 모양은 아이피스 안에서 하늘만 몇 번 휘휘 저어도 수십 개는 찾을 수 있다 178...
2017-07-19 12:26:05 관심은하 / 2017-07-18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8256
  • 스케치
  • 많은 책에 명시되어 있다. 메시에 110개 중 가장 어려운 대상은 74번이라고 253은 낮으니까 그렇다 쳐도, 메시에가 7331이랑 2903은 못 찾았으면서 74번은 어떻게 찾았을까? (사실 최초 발견자는 피에르 메시엥이긴 하지만.. 어쨌든 그 사람도 7331과 2903을 못 찾았긴 ...
2017-08-01 16:50:35 / 2017-08-01
thumbnail
  • 신상옥 조회 수: 8475
  • 스케치
  • 안녕하세요. 15인치 돕으로 인사드린 남양주 신상옥입니다. 돕을 들인후 스케치를 하기로 마음먹고 지난 주말 관측때 첫 스케치(http://singamdoks.blogspot.kr/2017/08/m57-ngc6910.html)를 그렸습니다. 부족함이 많다고 생각되고, 잘 정리되어 있는 조강욱님의 스케치 ...
2017-09-05 17:29:59 최윤호 / 2017-08-3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8427
  • 스케치
  • M75의 공식적인 소속은 궁수 군단의 수많은 구상성단 중의 하나지만 모두가 원하는 핫플레이스인 주전자에서 한참 떨어진 곳에서 궁수의 외딴 변방을 홀로 지키고 있다 (Reference: http://www.messier-objects.com/messier-75/) 주전자 뚜껑에서 멀어질수록, 그에 비례...
2017-09-11 20:39:52 / 2017-09-1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7213
  • 스케치
  • 소아령성운. 일본어 스타일의 이름인 것도 같지만 영어로도 little dumbbell nebula인 것을 보면 동양이나 서양이나 보는 눈은 비슷한 것 같다. 76번은 메시에 110개 대상 중에 가장 어두운 아이 중 하나로 기재되어 있지만, 실제로 보면 생각보다 꽤 밝은, 작은 성운 ...
2017-09-26 21:12:52 진진아빠 / 2017-09-26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