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스케치/사진 ~☆+

  • 아낙시만더 부근 ---- 8" 굴절 340배 [스케치]
  • 조회 수: 10994, 2014-01-06 05:34:23(2013-12-15)
  • 오랜만에    스케치북에  연필을   잡아보았음니다.
    신작  13인치 굴절의   렌즈가   만족스러워,       갑자기   그간   중단한   스케치가   막  하고싶어짐니다.
    그러나,
    13은    좀  쉬고[급히  밥먹으면   체할라]      오늘  저녁은   8굴절의   운전석에   앉았음니다.    40분간  관측및   스케치......
    야간비행에   오랜만에  들려보네요.   40-50분만에    관측과  스케치를   동시에  하여   ,  조금  정밀하지  못한데       올려도  될지,.... ,,,/////
     
    관측후기는  아래와  같읍니다.
     
     
    -----------------

    1년....오랫만에  8굴절의  운전석에  앉아  조종간을  잡고    달   북극 지평선  너머로   [저공 야간 비행 ]을  .....          좌석 옆에는   종이와   연필도   준비됐다,  

    근일,   3차례에   13굴절의   테스트   결과,     광학계와  기계부 ,  양자   모두   상태는   [good] 이었다.       열악한  아마추어  환경에서   그간의   힘든   정신적  육체적  노동을   보상받는 느낌....

     

    ..........    오늘   위험한  언   사다리를  올라   13굴절의   동면처리를  해주었다.

    정밀부품인   구동부를   겨울에   설치하긴   고통스러워    내년   5월로   연기한다. 

     

    무엇보다   광학계가    만족스러우며,    이걸로   8굴절보다   좀더   달에로의    근접비행이   가능하게   되어   기쁘다.      시잉  0.5- 1의  오늘밤의  기상조건에서,     동시테스트에서     ,    프라토 안에     8굴절은   0개  ,   13굴절은   3개의   미소크레이터가   보인다.  [월령  10일]

     

    흐뭇한  마음으로  연필을   잡고,    스케치를    하고싶어져서

    나쁜  시잉하에서  나마,    8굴절   눈에   들어온    존허어셀과   아낙시만더의   림 연결부의     관통 그림자를   초점을  맞춰    대충    스케치했다.            배경의  검은  우주공간과   지평선이   닿아있다.

     

    림의  연결부는    영문자 [B]  직하  부분이다.   실제로  두 림이  터진건지는   잘  모르겠다.

     

    8굴절로도,   달  북극 지평선부분에서만     수천장의  스케치를    얻을수있는데,   이는   달의  칭동 덕분이다.

    13굴절로는    수만장이   가능하겠다. 

    달을   연구하는데는   아크로마트굴절이    가장   적합하다.

    ---------------

    ------------------

    사본PC130014.jpg

     

댓글 1

  • 김병수(양평)

    2013.12.16 08:59

    저는 지금까지도 민경신 님의 달 크레이터와 딥스카이 해석 능력이 남들과는 많이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새로 운 세계를 보여주는 느낌이 듭니다. 독창적인 면이 강하다고 할까요. http://www.cloudynights.com/ 클라우디 나이트에
    올려보시는것이 어떨까요...? 가끔 스케치를 하더라도요. 이런 스케치야 말로 전세계인과 나눌 가치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많은 스케치를 볼때마다 느끼지만 주관적인 스케치에 + 독창적인 감각이 뭍어나는 스케치는 상당히 드물 다고 생각합니다.그것은 곧 집중과 "천체관측" 이라는 정의에 상당히 근접한 느낌이라 할까요? 경신님의 스케치는 주관적인것과 함께 독창적인 예리함이 좁은물에서 나누기보다 여러 생각이 함께 나누는 전세계로 이야기해보는것이 더욱 관측의 즐거움이 클것 같습니다.부럽습니다. 잘봤습니다^^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439
  • 스케치
  • 안시로, 또는 사진으로 메시에 전 대상을 관측한 사람은 꽤 많다 하지만 M59가 어떻게 생겼는지 기억나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스케치를 한 나조차도 메시에 마라톤 순서인 "T2 옆에 58-59-60" 밖에 기억이 나지 않아서 내 스케치를 다시 찾아보았다 작은 솜뭉치. ...
2017-02-28 04:18:48 / 2017-02-28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130
  • 스케치
  • 87과 58을 그린 페이지 밑에 59와 60을 나누어 담으려 하니 아니 얘들이 한 시야에 보이네.. 사랑해요 에토스 ♡ 이미 그려놓은 4분할 바둑판의 아래쪽 세로선을 지우고 길게 구도를 잡아본다 60번은 4647과 함께 멋진 커플을 이룬다 '멋지다'는 것은 상당히 주관적인 개...
2017-03-04 05:52:00 / 2017-03-04
thumbnail
  • 김민회 조회 수: 7649
  • 스케치
  • 월령 8.9일의 달 입니다. (검은지에 파스텔 2017년3월 8일) 과천에서 매수팔 때 박진우님은 달 아래 위에 파랗고, 붉은 색감이 보인다고 했습니다. 당시에 같이 있던 저는 동의하지 못했고, 님에게 재 라식 수술을 권했습지요 ㅎ. 하지만 귀가하고, 약~ 24시 경에 다시 ...
2017-03-13 23:15:19 / 2017-03-1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9869
  • 스케치
  • 어려서부터 무언가 숫자 외우는 것을 좋아했다 주입식 교육의 폐해일까? 초딩 저학년때 구구단 잘 외운다고 칭찬받은 이후로일까 2곱하기 2곱하기 2곱하기...를 2의 30승까지 외우고 국사책의 연도를 외우고 친구들 전화번호 외우고.. 남들 관심없는 '(먹고 사는 데) 쓸...
2017-03-11 04:51:50 / 2017-03-11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9873
  • 스케치
  • 2015년 9월의 어느 일요일 낮, 아침부터 날이 너무나 좋다 다음날은 월요일이지만.. 자정까지만 보고 오겠다고 마나님께 결재를 받고 홍천으로 달렸다 여름철 남쪽 별자리들이 완전히 사라지기 전에 궁수 전갈의 작은 성단들을 모조리 쓸어 담으려고. 모처럼만에 해가 ...
2017-03-12 04:26:36 / 2017-03-12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2676
  • 스케치
  • 내가 그린 110장의 메시에 스케치 중에 특히 마음에 들지 않는 대상이 몇 개 있는데, 그 중 63번과 67번이 있다 두 장의 공통점은 100% 이상의 노력을 기울이지 않았다는 것이다 물론 99%와 100%의 차이는 만든 사람만 아는 것이지만 그 만든 사람은 그 그림을 볼 때마...
2017-04-14 16:08:21 조강욱 / 2017-03-24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0171
  • 스케치
  • 2016년 벗고개의 봄, 메시에 스케치 연작 중 봄철에 남은 은하들을 모두 정리해보니, M64, 검은눈 은하 하나만 마지막으로 남아있다 이 명작을 내가 왜 이리 오랫동안 남겨두었을까.. 64번의 포인트를 더 잘 표현할 수 있는 그 날을 기다린 것이지. 검은 눈의 화룡점정...
2017-04-03 05:31:03 / 2017-04-03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0047
  • 스케치
  • 내가 별나라에서 가장 헷갈리는 것 두 가지가 있다면 하나는 막대세포와 원뿔세포의 기능이고 또 하나는 M65와 M66의 모양이다 어찌 그리 봐도 봐도 헷갈리는지 ㅠㅠ ※ 출처 : 구글 검색 막대세포 원뿔세포는 책을 만들면서 정리하니 이제 안 까먹을 것 같고 ㅎ 65 66은...
2017-04-14 16:08:00 조강욱 / 2017-04-1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401
  • 스케치
  • Leo Triple의 스케치를 완성하기 위해서는 거의 1년의 시간이 필요했다 2013년 6월에 보현산 주차장에서 그리다가 구름 때문에 완성을 보지 못한 것을 10개월이나 지나서 벗고개에서 다시 본 것이다 물론, 그 긴 시간동안 세 은하들에선 아무 일도 없었다 그 주변의 별...
2017-04-14 04:57:50 / 2017-04-14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1697
  • 스케치
  • 2013년 2월. 지구 최근접 소행성이 지나간 날이었다 거 기왕 지나가는거 주말에 지나가면 좋으련만.. 금요일 저녁이다 한 주의 피로를 한가득 안고 퇴근하자 마자 밥도 안 먹고 짐 챙겨서 천문인마을로 출발. 불금의 정체를 뚫고 자정이나 되어서야 시린 늦겨울 별들과 ...
2017-04-18 03:37:26 / 2017-04-1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