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에세이 ~☆+

  • 먼~ 당신, 철학! 그러나 ... 철학이 필요한 시간이다.
  • 김경싟
    조회 수: 14970, 2013-04-09 00:20:04(2012-01-04)
  • phil.jpg

     

     

    철학이 필요한 시간 - 강신주 지음 (사계절)

     

     

     

    학교 다닐 때, 꼭 들어보고 싶은 과목들이 몇 개 있었다.

    그러나 막상 듣고 나면 만족감이 뚝 떨어진다.

    철학, 논리학, 심리학...

    그리고 전공자에게 양보한다.

    마치 나중에 쓰지도 않을 것, ‘수학을 왜 배워야 해요?’ 항변하는 어린아이와 같이

    ‘철학은 철학자에게!' 라고 고귀한 양보를 하며

    역사의 반복을 되풀이 한다.

     

    강신주....이 분은 전공자이다.

     

    강신주 작가는 우리에게 철학이 필요할 때라고 한다.

    왜냐?

    우리가 삶을 살아가면서 껴안은 그 수많은 상처들을 정면으로 마주하여 헤쳐나가야 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작가는 이 것을 인간이 ‘인간에게 정해진 고통의 양’을 어떻게 대처하느냐로 설명한다.

     

    즉 인간에게는 고통의 양이 정해져 있는데,

    일시불로 정직하고 솔직하게 고통을 겪여내자고 강조한다.

    자기 최면과 위로로 고통을 할부로 깎아나갈 경우 그 고통이 다 할때까지 새로운 인생은 시작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일시불...

    웬지 시원하지 않는가?

     

    그 점에 있어서 나는 한가지 잘 하는 것이 있다.

    카드 사용할 때 할부를 사용하지 않는다.

    저자가 이 점을 말한 것은 아니겠지만, 발가락이라도 닮았다고 해본다.

     

    책에는 48개의 각기 다른 주제가 있다.

    48명의 철학자의 이야기를 쉽게 풀어낸다.

    그렇다고 처음부터 끝까지 읽어낼 의무감을 가질 필요가 없다.

    편하게 책이 잡힐 때 원하는 주제로부터 시작하면 된다.

     

    웃음이 가진 혁명성

    진정한 진보란 무엇인가

    여가를 빼앗긴 불행한 삶

    자유와 사랑의 이율배반

    선물의 가능성

    살아있는 모든 것에 대한 감수성

    후회하지 않는 삶은 가능한가

    ..................

      

    하루에 한단락을 읽어도 좋고, 화장실에서 읽어도 좋은 분량들이다.

    하루에 한단락을 읽어도 생각은 며칠을 가고

    화장실에서 읽어도 변비가 생기지 않을 정도로 편하기도 하다.

     

     

    이 책에서 가장 맘에 파문을 일게 했던 주제는 ‘사유의 의무’였다.

     

    나치과 청궐하던 독일

    당시 유대인 학살에 핵심적으로 관여했던 인물로 유대인이주국을 총괄했던 아이히만이라는 사람이 있다.

    그는 전범으로 수배를 받다가 아르헨티나에서 체포되어 1961년 재판을 받게 된다.

    그는 주장한다.

    ‘자신은 단지 상부의 명령에 따랐을 뿐이다'

    그는 자신의 죄를 인정하지 않았다.

     

    여성 철학자로 자신 또한 나치의 피해자이기도 했던 한나 아렌트(Hannah Arendt)는

    이 재판을 통해 전체주의의 기원에 대해서 성찰하고 있다.

     

    아렌트가 볼 때

    아이히만은 악의에 가득 차 있는 잔혹한 인물이 아니라, 평범한 사람이었다.

    그는 단지 준법과 근면을 철저하게 실천했던 관료였다.

    나치 치하에서 관료로서 최선을 다한 일밖에 없었다.

     

    여기에서 철학자는 고민했다.

    그럼 아이히만에게 면죄부를 주어야 한다는 것인가?

     

    철학자는 그에게 ‘순전한 무사유’의 책임을 부과한다.

    즉 아이히만은 자신에게 부여되었던 상부의 명령이 유대인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그리고 유대인의 입장에서 자신이 수행할 임무가 어떤 의미로 다가올지 성찰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아렌트는 더불어 살아가는 삶에서 ‘사유’란 하지 않아도 상관이 없는 ‘권리’가 아니라

    반드시 수행해야만 할 ‘의무’라고 강조한다.

     

     

    현대사회는 분업화, 전문화 되어 서로에게 점점 무관심해지고 있다.

    같은 조직에 있으면서도 서로가 무슨 일을 하는지조자 알지 못하며,

    심지어 자신이 지금 하고 있는 일이 도대체 어떤 성격의 일인지 반성할 틈도 별로 없다고 한다.

     

    바로 여기에서

    우리도 무사유의 상태에 빠지면, 언제든지 제2의 아이히만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무섭게 경고한다.

     

     

    며칠전 민주화운동의 대부였던 김근태 상임고문이 고문기술자 이근안으로부터 받은 고문 후유증으로

    평생을 시달리다 요즘으로서는 젊은 64세의 나이에 돌아가셨다.

    기사를 보며 이 책의 ‘사유의 의무’가 생각났다.

     

    아마 고문기술자 이근안도 이웃들이 볼 때는 평범한 시민이었을거다.

    가족에게는 따뜻한 가장이었을 수도 있다.

    주위에서 ‘절대 그럴사람 아니다’라고 할 수도 있다.

    왜냐?

    그는 ‘성실한’ 사람이었으므로.

     

    그러나 이분의 사망소식에서

    그 사유(쉽게 생각이라고 하자) 없이 달린 성실함이 어떤 결과로 나타나는지

    우리는 그 증거를 찾을 수 있지 않을까?

     

    쉽게 버리는 쓰레기, 당당히 자유를 주장하는 흡연, 파헤쳐지는 산, 매꿔지는 바다....

    일상 생활의 모든 점이 같지 않을까?

     

     

    철학이 별거인가?

    어디에선가 자주 나온 멘트다.

    “제발~ 생각하면서 살자!”

     

     

     

    이 책을 읽으며 곁다리로 든 생각이다.

      

    맨 처음 주제로 나온 철학자가 니체다.

    니체의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를 가지고 이야기를 풀어간다.

     

    많이 들은 책이다.

    그냥 대략적인 이야기는 안다.

    그러나,

    실제 그 책을 읽은 적이 없다.

     

    다른 것도 마찬가지다.

    수많은 고전들을 그것을 요약한, 아니 요약도 아닌 그냥 인용한 것으로써만 접했고 그렇게 알고 있다.

    인용에 재인용에, 또 그것을 인용한 다른 글을 통해서만 지식을 얻는다.

     

    본질에 대한 접근이 있을 수 없다.

     

     

    그래서 1년 넘게 도전하고 있다.

    조지 소로우의 ‘월든’

    수많은 사람의 추천과 인용이 있지만, 도저히 정이 안간다.

    그래도 항상 가까이 둔다.

    인용으로서가 아니라 직접 느껴보기 위해서.

     

    사진으로써 본 개기일식과 실제 느껴본 개기일식의 그 느낌의 차이를

    책에서도 느껴보고 싶다.

     

    오해 마시라.

    몇권만^^

댓글 1

  • 류혁

    2012.01.04 18:12

    ㅎㅎㅎㅎㅎ. 


    역시~ 멋있는 서평입니다. ^^


    부족한 철학을 바로! 이 책으로 보완해야겠군요... ㅎㅎㅎㅎ ^^;;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thumbnail
  • 김경싟 조회 수: 13436
  • 저는 웬간한 비에는 우산을 쓰지 않습니다. 그냥 맞는 것이 더 좋지요. 비를 좋아하는 것보다 아마 우산쓰는 것이 귀찮아서 그럴지도 모르겠습니다. 여하간 올해는 비가오면 대부분 비를 맞으며 산책을 했습니다. 준방수되는 운동복 입고 모자쓰고 음악을 들으며 한 1시...
2008-06-03 16:31:19 / 2008-06-03
thumbnail
  • 원삽 조회 수: 13589
  • 경싟님이 비를 좋아하는것처럼 비가 참 저도 좋네요 어느때는 양복이 흠뻑 적도록 아파트 앞 잔듸밭에서 흠뻑 내리를 비를 처다보며 온몸이 다 젖도록 대자로 누어보기도 하였습니다. 허삿날 나는 무겁고 소복의 강을 보듯 그냥 비가 내리는 거리를 바라보는것도 ...
2008-06-05 06:40:02 / 2008-06-05
thumbnail
  • 김경싟 조회 수: 10132
  • 날씨가 많이 더워졌습니다. 올 여름엔 잊지않고 별빛과 반딧불을 동무 삼아 밤을 지새보려 합니다. 며칠전 어느 모임에서 나이 들어감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는데 나이먹는 증거 중의 하나가.... 주위 사물들이 아름답게 보이기 시작한다는 것이였습니다. forty.... 그렇...
2008-06-11 23:04:41 / 2008-06-11
thumbnail
  • 김경싟 조회 수: 12565
  • 하루에 몇번이나 사랑하는 사람을 안아주시나요? 별찌는 3학년이지만 아직은 퇴근해 집에가면 폴짝 뛰어 안기기는 합니다 *^^* 그러나 늦게 퇴근하는 경우가 많아 쉽지가 않네요. 서로 많이 사랑하고 또 많이 안아 줍시다. <많이 안아주고 싶어요 ....song by 비누도둑>...
2008-06-16 17:08:30 / 2008-06-16
thumbnail
  • 김경싟 조회 수: 11395
  • 안치환 9집에 있는 '아내에게'입니다. 나이 40...forty... 언젠가 아내에게 불러주려고 하는데 ...^^; 이제는 뭐 외우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그냥 반복해서 많이 불러보는 수밖에요. <아내에게> 너무 걱정 하지마 내가 옆에 있잖아 기운내 당신은 웃을때가 제일 예뻐 ...
2008-06-17 16:36:12 / 2008-06-17
thumbnail
  • 김경싟 조회 수: 13284
  • 책을 한권 빌려봤습니다. 아니 읽어보라고 주는 걸...받아두고 좀 뜸을 들이다 읽었습니다. "아프리카 트럭여행" -김인자 지음 뜸을 들인 이유는, 한달간 여행하고 뚝딱 책을 한권 만들어 내는 기술^^;에 대한 반감 좀더 들어가면 시샘 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또 하나...
2008-07-06 19:24:01 / 2008-07-06
thumbnail
  • 김경싟 조회 수: 11627
  • 6월부터 매주 3번씩 과천으로 스케이트를 배우러 다니고 있습니다. 19시 수업이라 제대로 도착하려면 사무실에서 18:15분에는 나와야 하는데... 일이라는게 그리 되지 않아 항상 지각입니다. 한달이면 어영부영 탈 정도는 되겠다... 스케이트장 가서 넘어질 정도는 안되...
2008-07-07 17:02:11 / 2008-07-07
thumbnail
  • 김경싟 조회 수: 9748
  • 산청에 내려가 계신 김도현님 가족의 소식을 종종 홈피에 들려 접하게 됩니다. http://www.byulatti.com/ 꽃도 많이 피었고 감자도 캐야하고 여름 별자리 캠프도 열릴 예정이고... 또 큰아들 창원이가 땅끝마을까지 한달(5/25~6/21)간의 도보여행을 즐겁게 마쳤다고 하...
2008-07-08 22:37:51 / 2008-07-08
thumbnail
  • 김경싟 조회 수: 10830
  • 엄밀한 관측의 개념에서... 별 본 지가 오래되었습니다. 넓은 의미에서는 날마다 날마다 별을 봅니다 모니터에선 항상 별이 쏟아지기 때문이지요. *^^* 어젠 집이 하도 더워 돗자리 들고 나가 아파트 앞 마당에 누워 멍하니 하늘을 바라봤습니다. 여름철 삼각형이 시원...
2008-07-30 22:06:58 / 2008-07-30
thumbnail
  • 김경싟 조회 수: 12783
  • 「욕망이 멈추는 곳, Laos」 -오소희 지음 여행기를 읽었습니다. 그러나... 못가본 먼 이국의 땅을 책의 통해 간접경험했다는 느낌은 없습니다. 어디가 가 볼만하다... 하다못해 책속에는 멋있다!라고 느낄만한 사진도 없습니다. 그러나... 지금 저는 긴 여행을 마치고 ...
2008-08-02 23:41:44 / 2008-08-02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