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에세이 ~☆+

  • 산에 깃들어 사는 즐거움
  • 김경싟
    조회 수: 12100, 2013-04-09 00:20:25(2012-01-03)
  • sanpleasure.jpg

     

                         나는, 꼭 행복해야 하는가 - 정용주 著 (새움)                 산에서 살다 - 최성현 著 (조화로운 삶)

     

     

     

    자기의 목소리를 들어본 적이 있는가?

    자기 얼굴을 들여다 보는 경우도 세수할 때 수염 잘 깎였나? 정도 살펴보려고 거울을 쳐다볼 경우가  전부인 상황에서

    자기 목소리를 들으려고 일부러 수고를 하는 경우는 많지 않으리라.

    그래도 입을 다물고 있는데 들려오는 자기 목소리가 이상하다는 정도는 알고 있을거다.

     

    얼굴은 어떨까?

    아마 목소리보다는 알아보기가 쉬울 지라도,

    지인들이 '너와 똑 닮은 사람 봤다'라며 마냥 신기한 듯이 이야기하는 경우는 있어도 자기가 느끼는 때는 많지 않을 듯 싶다.

    결국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라도 목소리와 마찬가지로 얼굴도 자기 자신과 비슷한 경우를 쉽게 알아보지 못하는 것 같다.

     

    그럼 자기의 생각이나 삶이 비슷한 사람은 어떨까?

    내가 생각만 하고 있던 것 같을 이야기를 상대편이 한다던지

    나와 비슷한 생활 패턴을 가지고 있거나 삶의 방향이 같은 경우....

    아마 이런 경우는 종종 있지 않았던가?

     

     

    그런데,

    목소리나 얼굴이 비슷한 사람을 만나면 웬지 거부감과 심지어 불쾌감까지 들 것 같다.

    아마 나만의 유전적 독립성, 유일성을 가지고 싶은, 그런 동물적인 본능이 그리하지 않을까 싶다.

     

    그러나,

    자기 생각이나 삶이 비슷한 사람을 만나면 반가워한다.

    서로간의 주파수가 증폭이 되어 높은 친밀감과 흥분을 느끼게 해준다.

    서로를 자극해준다.

      

     

    웬지 그런 사람일 것 같다.

    위 책의 저자 정용주님과 최성현님은.

     

    두사람 모두 산속에 혼자. 산다.

     

    혼자라는 말은(더구나 중년이 넘어선 남자가 혼자라는 것은)

    궁핍, 외로움, 궁상 등등의 단어가 떠 오르는데

    두사람 다 잘 산다.

    스스로 만족하면 잘 사는 것 아니겠는가.

     

    정용주님이 말한다.

    ..........................

    나는 별일 없이 산다,

    괜찮다, 외로움도 줄겁다!

    행복하지 않아도 괜찮은 게 진짜 행복이다!

    .........................................................

     

    제목인 '나는, 꼭 행복해야 하는가' 라고 하는 것이

    행복하지 않아도 상관없다가 아니라 진정 행복은 찾은 사람의 여유 아닐까 싶다.

     

     

    정용주님은 치악산의 한 골짜기에서 화전민이 버리고 간 집에서 숲속의 게으름뱅이로 산다.

    최성현님은 박달재 깊은 산속에서 자연농법을 실천하며 바보 이반의 생활을 하며 산다.

     

     

    흰머리가 반백이 넘은 긴머리를 꽁지 묶어 웬지 산속 도인같은 풍경의 정용주님은

    모습과는 달리 아주 감성적인 글을 쓴다.

    숲속에서 소박하고 유쾌하고 투명한 삶을 산다.

    글을 읽으면 그냥 행복하다.

    봄의 기운이, 가을의 향기가, 여름의 시원함이, 겨울의 따뜻함이 전해진다.

     

    책을 읽고 있으면, 앞뒤 재지 않고 당장 짐을 싸들고 들어가고 싶어진다.

    그러다 미쳤다는 소리 듣겠지?

    그러나 떠나지 못해도 위안이 된다.

     

    '많은 사람들이 자연과 더불어 사는 꿈을 꾼다.

     배낭을 메고 친구들과 어울려 오고 싶을 때는 아무 때나 올 수 있는 곳인데도 굳이 "짐 보따리를 싸서 들어오고 싶다"고 말한다.

     그런데 어디론가 떠나고 싶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사실 지금 그들이 있는 곳에 할 일이 많은 사람들이다.

     그들은 말한다.

     애들 졸업시키고, 정년퇴직하고, 더 늙기 전에 돈을 모아 땅도 사고 그럴듯한 집이라도 지을 수 있을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라고.

     살아가면서 어느 때가 되어야 자신이 할 일을 다 끝내고 미뤄뒀던 삶을 시작해도 되는 때인지 나는 알지 못한다.

     다만 내가 생각하는 것은,

     누구나 지금의 모습이 결국 제 살고 싶은 모습 아닌가 하는 것이다.'

     

    너무나 따끔한 지적이 아닌가 싶다.

     

     

    최성현님은 독특한 농사 철학을 가지고 있다.

     

    '우리 집에는 세 가지 종류의 배추 밭이 있다.

     하나는 사람을 위한, 하나는 배추흰나비 애벌레를 위한, 다른 하나는 토끼를 위한 밭이다.'

     

    땅을 갈지 않는다.

    풀도 생명이고, 땅을 갈면 땅속의 생명을 다치기 때문이다.

    풀 사이에 배추를 심고 자연이 주는 대로 받아 먹는다.

     

    최성현님은 바보 이반의 나라 주민이 되고 싶은 사람이다.

    바보 이반의 나라는 어떤 나라일까?

    며칠전 서점에 들렀더니 톨스토이 단편집이 있어서 찾아서 읽어봤다.

    왜 그런 농사를 짓는지, 왜 바보 이반의 나라에 살고 싶어하는지 조금은 이해가 간다. 

     

    이 책은 처음 읽었을 때는 사실 반감이 더 컸다.

    그 자연농법에 대한 나의 차이 때문이다.

    너무나 극단적이지 않냐 하는 생각이다.

    그러나 2년이 지나고 다시 읽은 현재, 아직 받아들이기는 어려워도 이해는 할 수 있겠다.

     

     

    이 두 책이 산에서 사는 이야기라고 산으로 끌어들이지 않는다.

    모든 사람들이 산으로 간다면 산이 망가질꺼다.

     

    만약 이 세상에

    진짜 축복

    이라는 게

    있다면

    지금

    내가

    보고 있는 것이

    그것이다.

    (로리 리)

     

    최성현님의 글 서두에 소개된 글로, 위의 정용주님의 글과 같은 의미이다.

     

    현재 자신이 있는 곳, 지금 현재를 자신의 천국으로 바꾸지 못하면

    결국 세상 어디에도 천국은 없다는 것이다.

    물론 자연의 그 물 흐르는 듯한 자연스러움과 수고속의 수확의 의미를 간직해야 하겠지.

     

    또 하나의 결론이라면,

     

    떠난 나는 실패인 것이고, 남은 여러분은 성공한 것이다.

    *^^*

댓글 1

  • 류혁

    2012.01.03 22:30

    서평도 멋~있습니다.  ^^


    한번 읽어보고 싶어지는 책이네요... ^^


    아직 철학이 부족해서 그런지... 그 '혼자'라는 말 빼고는... 다 괜찮아 보입니다.   ^^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thumbnail
  • 김경싟 조회 수: 12291
  • . . . 금요일 밤 집을 나서 충남 예산의 수덕사 근방에서 하룻밤 자고 토요일 수덕사 & 절 뒤의 덕숭산 정상을 찍고 무창포 해수욕장으로 가서 또 하루를 보낸 후 오늘 올라왔습니다. 수덕사는 하루에 두번을 들렀습니다. 처음엔 새벽 5시 좀 넘은 시간에 그리고 다음에...
2009-06-29 06:50:59 / 2009-06-29
thumbnail
  • 김경싟 조회 수: 14987
  • . . . 어느 시간...눈을 떴습니다. 빗소리가 들립니다. 몇시일까? 아내를 깨웁니다. "우리... 대공원에 비 맞으러 갑시다." 들려야 할 뻔한 대답 대신 "그래요..." 시계를 봅니다. 새벽 4시 한시간만 더 자다 일어나자. 알람은 듣지 못하고 스스로 깹니다. 배가 고프네...
2009-07-13 06:40:07 / 2009-07-13
thumbnail
  • 김경싟 조회 수: 15829
  • . . . 인도 다녀온 이야기를 풀어볼까 합니다. 구구절절 쓰기가 쉽지 않아 그림과 함게 쉽게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설렁설렁~~~ ^^ 이번 여행할 때 몇가지 계획을 했었는데요... 1. 매일의 일정과 생각, 느낌을 기록하기 2. 하루에 한장씩 그림 그리기 3. 매일 매일에 ...
2009-07-30 09:27:36 / 2009-07-30
thumbnail
  • 김경싟 조회 수: 16086
  • . . . 알람을 맞춰놨습니다. 알림이 울리네요. 아내의 것이 먼저 울립니다. 끄고 나니 거실에 있는 제 핸드폰의 알람이 울리는군요. 5h 50m이라는 의미. 밖으로 나와 알람을 끈 후, 작은방에 고양이를 끼고 다시 눕습니다. 꼭 껴안고 싶지만 귀찮아 가버릴까 두려워 조...
2009-08-03 06:20:54 / 2009-08-03
thumbnail
  • 김경싟 조회 수: 17679
  • . . . 날이 덥네요. 쭈쭈바를 하나 물고 웃통을 벗고 선풍기 바람을 쐬고 있어도 몸이 찐득찐득합니다. 오는 13일이 말복이라 늦은 더위가 기승을 부립니다만, 지난 7일은 입추, 오는 23일은 처서입니다. 한창 더움은 곧 가을이라는 반증이겠지요. 덥다보니 새벽....이...
2009-08-10 08:14:54 / 2009-08-10
thumbnail
  • 이준오 조회 수: 14298
  • 드뎌 요 녀석이 세자리 숫자에 도달했슴다. 연우의 100 일...ㅎㅎ 그래도 몇달 전, 엄마,아빠 고생좀 시킨게 자기도 미안한지... 그동안 한번도 안 아프고 쭈~ 잘먹고 응가도 잘하고 잘자고 잘널아주고... 정말 정말 고마울 뿐입니다...ㅎㅎ 아프로도 이렇게 쭈욱~ 무럭...
2009-08-12 21:37:45 / 2009-08-12
thumbnail
  • 이준오 조회 수: 13438
  • 올해도 어김없이 널고 있는 땅에 취미(?)로 시작한 텃밭가꾸기의 그 하일라이트인 '김장배추 (모종)심기'가... 해년마다 온식구 총 출똥~~했던 것에 비해.... 조촐하게.. 어마마마님과 저, 단둘이 올라가 이제서야 끝나고 내려왔음다. 원래 어제 밤 같이 좋았던 그 하늘...
2009-08-30 03:05:56 / 2009-08-30
thumbnail
  • 김경싟 조회 수: 18381
  • . . . *^^* 토요일.... 별찌는 서울과학관(창경궁옆)에 가고, 아내는 일이 있어 교회에 데려다줍니다. 저는 다시 집에와서 참외 1개를 깎아 락앤락에 넣고 김밥 한줄과 만두 1인분 사서 자전거를 타고 과천과학관에 갔습니다. 전시관과 플라네타리움을 지나 천문대 옆으...
2009-08-30 16:32:29 / 2009-08-30
thumbnail
  • 이준오 조회 수: 18023
  • . . . . . 언제 보현산 천문대가 바로 옆으로 이사를 왔다냐...? ㅎㅎ ..... 정남진 천문대, 그곳에 가면... 작은 감동이 있다...^_^* 예정에 없던 휴가가 이번 주말까지 또 생겨서....-.-; 어제는....... [곡성 섬진강 천문대]엘 김형진님과 함께 살짝~ 널러가서.... ...
2009-09-04 11:26:50 / 2009-09-04
thumbnail
  • 김경싟 조회 수: 14173
  • . . . 어제 밤에 자전거를 타고 퇴근하고 또 오늘 아침에 자전거를 타고 출근했습니다. 저녁 퇴근길.... 어둠속에서 조그마한 후레쉬에 의존하여 오가는 사람들에 주위하다보니 앞만 보고 가게 되더군요. 어느 순간 하늘을 보니 목성이 참 곱게도 빛나고 있습니다. 하늘...
2009-09-09 17:32:54 / 2009-09-0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