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측기 & 관측제안 ~☆+

  • m3을 한 번에 찾으실수 있나요?
  • 조회 수: 10049, 2012-05-08 11:15:47(2012-05-04)
  • 하루일을 끝내고 늦은 귀가를 했습니다.

     

    달은 거의 꽉 차 있지만 깨끗한 하늘이네요.

     

    자정을 넘긴 시간인데도 왜 이리 근질거리는지요.ㅎ

     

     

    어제 과천 서울랜드 주차장에 본 늦지 않은 시각의 동쪽 하늘....

     

    낮은 고도에서 유난히 반짝이는 별이 있었습니다.

     

    Arcturus 입니다.

     

    최근에 게으른 관측으로 인해 별자리도 구분하기 힘든 천벌 받을 지경이 됐습니다.^^

     

    목동자리 하면 늘 생각나는 m3.. 

     

    그러나 m3은 더 멀리 떨어진 사냥개자리의 영역이지요.

     

    어쨌든 제 경우는 m3을 찾으려면 목동자리부터 호핑을 시작하게 되더군요.

     

    그런데 그렇게도 큰 m3이 이상하리만큼 한 번에 찾기가 어렵습니다.

     

    다른 분들은 그 쉬운 대상을 왜 못찾냐고 하는데 저는 m3에 마법이 걸렸나 봅니다.

     

    언뜻 생각에는 이정도로 찾을수 있을것 같은데요.

     

    m3.jpg

     

    사진처럼 Arcturus와 P별(그리스어 "로"라고 하네요.) 을 기준으로 정삼각형 지점에 m3이 있습니다.

     

    그냥 대충 들이대면 파인더에 들어오지 않나요?  근데 도통 집어 넣을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생각해 본 저만의 복잡한(?) 방법이 있습니다.

     

    m3two.jpg

     

     

    P(로)별 부터 m3까지 갈수 있는 루트입니다.

     

    도심에서도 이 루트를 따라가면 m3을 찾을수 있습니다.

     

    1. P(로)별을 포함해서 6등급대의 주변별을 따라 첫 번째 돌고래자리 모양을 만듭니다.

     

       이 때 돌고래자리 끝 별을 주목해야 합니다. 옆에 있는 ngc 5466을 꼭 봐줘야 합니다.

     

    2.  둥근 모양의 bridge chain 을 연결하면 두번째 돌고래자리 모양도 만들수 있습니다.

     

        대단한 상상력이 필요합니다.^^

     

        역시 두번재 돌고래자리 끝별을 기억해야 합니다. 요 옆에 애타게 찾던  m3이 있습니다.

     

    두 돌고래자리 끝 별에는 보물이 숨어 있습니다.ㅋㅋ

     

    ngc5466.jpg

     < ngc5466   사진출처/skyview >

     

    m3으로 가는길이 험난합니다.

     

    하지만 m3을 향해 호핑하다 보면 ngc5466이라는 보너스를 얻게 됩니다.

     

    5466의 특징은 너무나 어두워서 구상성단이라고 하지만 믿기어려운 모습을 갖고 있습니다.

     

    사진은 제가 약간의 보정을 통해 희미하게 만들었지만 실제 관측시에는 더 어두운 산개성단으로 보입니다.

     

    뭐 님도 보고 뽕도 딸수 있는 관측이지요...ㅋㅋ

     

    m3도 제대로 못찾는 예진아빠가 별 보고 싶은 갈증을 달래려 잠시 끄적여 봤습니다.

     

    편안한 밤 되시길...........

     

댓글 6

  • 조강욱

    2012.05.04 22:02

    저는 머리털자리 gamma와 beta를 연결한 연장선 상에 찾는데요.. 나름 심플해요 ㅎ

  • 정병호

    2012.05.04 22:29

    저배율 끼우고 아크투르스와 콜 카롤리 중간에 갖다 놓으면 한방에 나옵니다.
    기본이죠~ ㅋㅋ
  • 최윤호

    2012.05.04 23:23

    저 역시 아크투루스에서 콜 카롤리 쪽으로 쭉 따라가면 별 아닌 대상 비스무리한거 하나 찍으면 바로 걸리던데요 ㅎ
  • 최승곤

    2012.05.04 23:47

    저도 강욱씨와 같은 방법으로.. 나름 심플 2.
  • Profile

    김원준

    2012.05.05 08:51

    그냥 무식하게 비슷한 위치에대고 막 훓어봅니다.

    이른바 빗자루 쓸기 신공!

  • 김병수

    2012.05.08 11:15

    5466은 생각해보지 못했는데 감사합니다 찾아보아야 하겠습니다.저같은 경우 m3을 찾을때 머리털과 악튜러스 부근에 등배파인더를 별 성도 그대로 외우고 어느정도 찍은다음 파인더로 찾아보면 대강 10-15초안에는 보이더군요. 제가 이렇듯 성도를 보고 등배파인더로 호핑하며 찾다보니 느낀게 하나 있는데요. 아직까지도 많이는 못봤지만 M27의 경우는 성도에서의 표시가 잘못된거같습니다. 성도보다는 좀더 우측으로 가야하는데 안쪽에 있는거 같더군여.그래서 m27 을 찾을때 많이 해맸던 기억이 납니다....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이름 조회  등록일 
222 최윤호 2242 2020-03-28
221 최윤호 2239 2019-02-04
220 최윤호 2233 2018-10-10
219 이한솔 2232 2020-11-16
218 조강욱 2230 2017-12-25
217 조강욱 2228 2018-10-24
216 최윤호 2224 2018-08-14
215 최윤호 2216 2019-05-07
214 조강욱 2216 2018-01-08
213 조강욱 2207 2018-01-07
212 최윤호 2194 2019-11-26
211 박진우 2192 2018-04-22
210 조강욱 2181 2014-09-22
209 이한솔 2162 2018-07-15
208 최윤호 2158 2019-11-11
207 김승희 2153 2021-08-16
206 조강욱 2149 2018-01-05
205 최윤호 2142 2019-05-14
204 최윤호 2141 2018-04-21
203 최윤호 2137 2019-04-0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