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측기 & 관측제안 ~☆+

  • 안녕하세요;;
  • 김진호
    조회 수: 7626, 2008-02-13 05:49:33(2008-02-13)
  • 안녕하세요;

    천문에 관심이 많은 중1학생입니다. -_-;;

    별을 좋아하긴 하는데

    왠지 생각이

    ' 좋아한다고 해놓고 한번 본적도 없잖아. ;'

    라는 생각이 들어서.

    직접 보기로 해서!!

    설날에 받은 용돈으로..;

    8~9만원짜리 10x50 쌍안경을

    할인가로 36100원에 사서 ( -_-;; 내놓기도 부끄러운;)

    오늘 관찰해보려구요.;

    근데 달/화성/토성을 일단은 관측하려구요.

    그래서 말인데요 '';;

    일단 겨울에 볼 수 있는 별자리의 대표적인 예와

    겨울의 대삼각형을 찾는 법좀 알려주세요;

    아.. 우선 뭐부터 봐야하는지.. ㅠ

댓글 1

  • 김경식

    2008.02.13 06:27

    안녕하세요?
    일단 질문에 대한 답부터...
    1. 달/화성/토성을 쌍안경으로 관측하면, 달-와! 분화구가 보이네, 화성-별은 아니구나, 토성-고리가 있구나...
    더 자세한 관측은 어렵습니다.
    따라서 쌍안경 만의 장점(넓은 시야, 두눈으로 보는 입체감...)을 활용하는 방향으로 가셔야 할 것 같습니다.
    그러다가 별자리와 관측대상 등을 더 알게되면 쌍안경만으로도 충분한 관측을 즐길 수 있을 겁니다.
    2. 겨울철별자리
    책을 보고 밤하늘 별과 비교해서 보시면 이해가 쉽게 될 겁니다.
    현암사의 '밤하늘로 가는 길'을 추천합니다.

    3. 위의 성도에서 작은개자리 '프로키온', 큰개자리 '시리우스', 오리온자리 '베델기우스'....3개의 별을 이으면
    겨울철 대삼각형이 됩니다.
    4. 기타...요즘은 중학교, 고등학교에도 천문동아리가 많이 있더군요. 적극 활용하십시요.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이름 조회  등록일 
1382 김경싟 12617 2013-05-21
1381 김병수 12617 2012-07-07
1380 최윤호 12576 2014-01-09
1379 임광배 12538 2015-07-18
1378 이민정 12536 2003-08-01
1377 조강욱 12491 2012-12-09
1376 김경식 12483 2003-05-16
1375 김철규 12397 2015-07-17
1374 김남희 12388 2016-11-15
1373 조강욱 12324 2011-04-10
1372 최윤호 12293 2017-05-22
1371 김남희 12281 2012-12-12
1370 김경식 12253 2004-10-15
1369 김남희 12232 2012-10-16
1368 조강욱 12214 2011-11-01
1367 장형석 12200 2016-12-07
1366 김경싟 12174 2009-07-29
1365 김경식 12165 2003-04-28
1364 박상구 12098 2016-05-07
1363 최윤호 12078 2017-05-3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