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측기 & 관측제안 ~☆+

  • 머리털자리 Hickson 61
  • 김경식
    조회 수: 10261, 2003-05-21 09:08:15(2003-05-21)
  • 머리털자리 β에서 γ별을 지나 전진하면 ngc 4314, 4274, 4245, 4278, 4251의 볼만한 은하 5개를 관측할 수 있습니다.

    지난 5월초 관측을 했었는데 어렵지 않게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곳에서 서쪽으로 좀더 진행하면 좀더 어두운 4개의 은하가 사각형 모양을 형성하고 있는 Hickson 61을 만나게 됩니다.

    위의 5개 은하로 몸을 푼 다음 도전해보시기 바랍니다.



    61a  ngc 4169  1.8'×0.9'  12.2등급 (표면밝기 12.6)
    61b  ngc 4173  5.0'×0.7'  13.0등급 (표면밝기 14.2)
    61c  ngc 4175  1.8'×0.4'  13.2등급 (표면밝기 12.6)
    61d  ngc 4174  0.8'×0.3'  13.3등급 (표면밝기 11.7)

    (위 사진은 2.0도 크기, 아래는 0.35도 크기로 뽑은 것이므로 크기 비교시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댓글 5

  • 병호

    2003.05.22 06:28

    Urano 구판엔 4173 이 4170으로 나오네요. 4173이 맞는건가요?
  • 최형주

    2003.05.22 08:43

    위그림에서 4169글자 바로 밑에 별처럼 보이는 놈이 4170이래요^^
  • 최형주

    2003.05.22 08:52

    별처럼 보이는거가 아니고 별이래요^^; 성도 프로그램에 Star로 표기 되어있는데, 별하나가 왜 NGC 목록에 들어 있나요?
  • 김경식

    2003.05.22 09:17

    일단 Urano 신판에는 4173으로 나옵니다. 4170에 대한 것은 아예 언급이 없습니다. Skyview로 조회해도 4173으로 나오구요. 그런데 문제는 4170의 정체를 파악하기가 힘드네요. skyview에서는 최형주님 말처럼 4169 아래의 별이 4170으로 지목되고 있는 반면에, 일부 인터넷 site에서는 위의 4173을 4170으로 표기한 데도 있습니다. 여전히 정체불명입니다.
  • 김경식

    2003.05.22 09:19

    그리고 Hickson 61은 네개의 은하가 사각형으로 모여 있어서 그런지 `The Box`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습니다.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이름 조회  등록일 
1141 조강욱 9081 2009-04-02
1140 김경식 9064 2003-09-22
1139 김경식 9063 2004-06-19
1138 김경싟 9056 2009-01-04
1137 김경식 9044 2003-07-15
1136 조강욱 9034 2009-04-27
1135 김경식 9032 2005-03-21
1134 김남희 9026 2015-10-28
1133 김남희 8935 2015-11-01
1132 김경싟 8924 2009-08-31
1131 김승희 8911 2017-05-01
1130 김경싟 8897 2009-02-04
1129 임광배 8896 2014-01-18
1128 조강욱 8892 2010-08-08
1127 김경싟 8886 2009-12-09
1126 김남희 8877 2017-06-02
1125 최윤호 8858 2019-01-21
1124 김남희 8842 2016-05-03
1123 김경식 8840 2004-03-30
1122 김경식 8829 2004-09-27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