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측기 & 관측제안 ~☆+

  • 6826 Blinking nebular
  • 이화영
    조회 수: 11263, 2003-05-19 13:30:47(2003-05-19)


  • 안녕하세요. 대전 NGC의 이화영입니다.
    회원도 아니지만 비회원에게도 열려 있다기에 글을 올립니다.

    일명 깜빡이는 성운으로 알려진 6826은 근처에 있는 별과 함께 이중성처럼 보입니다만 한놈이 비정상적으로 부어 있으므로 쉽게 구분은 됩니다. 하지만 이 성운을 제대로 관측하기는  상당히 어렵죠. 말 그대로 보였다 안보였다 하니까요. 역시 구경이 깡패입니다. 오늘새벽에 달빛과 구름속에서 관측했는데도 약450배의 배율에서 아주 잘(?) 보였습니다. 영월의 다른 망원경으로는 보기가 어려웠지만 80센티는 그냥 보여주데요. 중심성 주변에서 타원형의 고리도 느꼈습니다. 하지만 240배에서는 달의 영향이겠지만 거의 보기가 어려웠습니다. CCD로 촬영해 보니까 눈동자처럼 보이며 양쪽 눈 가장자리도 밝게 보이는게 허블이미지처럼 Bloodshot Eye in Deepspace란 말이 딱 어울립니다. O3필터로 보면 내부의 밝은 고리와 가장자리의 밝은 부분이 좀더 세밀하게 구분됩니다. 이 성운은 다른 행성상 성운처럼 배율을 좀 높여서 보아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선 구경이 어느정도 되어야 겠지요.

    CCD는 ST-8E이고 노출 30초씩 5번을 촬영하여 합성하였습니다. 맥심에서 stretch로 레벨을 조정하고 DDP와 FFT필터를 적용하였습니다. 중앙부분만 크롭한 원본 그대로의 크기입니다. 망원경은 80cm, 7200mm입니다.

댓글 4

  • 김경식

    2003.05.19 16:56

    좋은 사진과 관측경험, 감사합니다. 성운의 세세한 구조를 잘 보여주는 멋진 사진이네요.
  • 최경학

    2003.05.20 03:01

    이거... 암만봐도 망원경 뽐뿌야~~~ 아쉬우면 큰 경통 구하라고 뽐뿌질 하시는 거죠..?? 흐흐~
  • 이화영

    2003.05.20 03:04

    아뇨~~! 아쉬우면 천문대서 근무하라고...흐흐~
  • 최형주

    2003.05.20 08:39

    2미터쯤 떨어져서 눈을 가늘게 뜨고 이 사진을 보면 12.5에 350배로 보이는것과 같네요. 으흠 (왜 헛기침이 나지?)...좋은 사진 많~이 보여주세요.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이름 조회  등록일 
462 최윤호 3711 2019-10-14
461 박진우 3711 2015-04-18
460 김영주 3701 2019-12-11
459 장형석 3688 2014-10-20
458 최윤호 3678 2018-10-05
457 장형석 3678 2015-05-19
456 김재곤 3665 2018-10-09
455 최윤호 3651 2020-12-02
454 최윤호 3650 2019-05-28
453 박상구 3645 2014-05-10
452 김태환 3644 2015-02-03
451 박상구 3642 2018-04-29
450 조강욱 3641 2014-04-24
449 최윤호 3635 2020-05-24
448 김남희 3630 2015-02-06
447 박진우 3627 2014-11-21
446 김태환 3613 2015-03-11
445 김남희 3607 2017-12-15
444 최윤호 3606 2018-07-06
443 최윤호 3605 2022-05-22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