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측기 & 관측제안 ~☆+

  • Re: 성운내부 미성들의 반짝임 관측배율은요...
  • 조회 수: 10849, 2003-05-08 08:58:05(2003-05-08)



  • 윤정한님 스케치는 정말 입이 않 다물어 지는군요!!!
    정말 대단하십니다^^

    12인치에 F17도 대단하지만 600배!....끙

    작년 가을, 시상이 무척 좋던날 중미산에서 340배에서 트라페지움의 별여섯개가 꽤 넓게 퍼져있다고 느낀적은 있었지만...
    600배라면....설령 시상이 무지무지 좋아서 보인다 해도 돕으로 추적이?(equatorial platform만드는걸 서둘러야 되겠네요.)
    그래도 시도해 봐야지요.

    그리고 제 기억에 147은 82배에서 스케치 하신것보다 배경하늘과의 경계가 불분명 하기는 했지만 좀더 넓게 느겼었고
    더 어두웠던 것으로 기억 합니다.당시에 함께 관측하던 이민정씨는 아니 보인다고 했었고요.

    제가 관측준비를 하거나 다녀온후 확인 하기위해 주로 보는것은 위에 캡처해서 올린 Cartes du Ciel이라는 성도 프로그램이고요
    그외에 The night sky observers guide 와 Urano metria2000 deep sky field guide(요건 자주 않보게 되더라구요)를 보는데요,
    세가지가 Magnitude와Surface Brightness가 조금씩 달라서 어느것을 기준으로 해야할지 가끔 난감해 합니다.


    스케치 보여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댓글 1

  • 윤정한

    2003.05.08 16:52

    네.. NGC147의 표면밝기(14.50)를 언급하셨던 것이군요. 실제 관측시에는 전광도보다 훨씬 중요한 요소이죠.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이름 조회  등록일 
482 김경식 8296 2003-05-02
481 김경싟 8321 2009-07-30
480 조강욱 8337 2010-07-29
479 이한솔 8339 2011-11-02
478 이준오 8342 2009-06-27
477 김경식 8352 2005-03-27
476 김경식 8364 2004-02-19
475 김남희 8364 2013-03-12
474 이욱재 8371 2011-01-12
473 김경싟 8373 2010-06-13
472 조강욱 8398 2010-04-17
471 김경식 8408 2005-05-11
470 김경식 8409 2005-05-11
469 김경싟 8430 2009-11-21
468 김경식 8437 2004-09-30
467 임광배 8441 2013-04-09
466 조강욱 8447 2004-06-22
465 김경식 8459 2008-05-06
464 김경식 8467 2003-10-29
463 조강욱 8474 2010-03-26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