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임/관측 공지 & 자유글 ~☆+

  • [re] 11/4(금) 가금팔의 행복
  • 최윤호
    조회 수: 4647, 2011-11-07 02:26:22(2011-11-07)
  • 강의중 김경식님께서 언급한 대상인데 이것이 맞는지 모르겠습니다.
    어쨋든 소개하겠습니다.

    플레이아데스의 Merope별 바로 옆에 작은 성운이 하나 있는데
    반사 성운을 제외하고 작은 발광성운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이름하여 IC349(Barnad's Merope Nebula)로 불리우고 있습니다.
    우라노 상에도 표기되어 있는데 일반 반사성운 Merope Nebula를 지칭하는 것인지
    아님 이 대상을 지칭하는 것인지 명확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웹 검색상 이 대상을  IC349로 지칭하고 있습니다.



    Data 및 상세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Distance : 0.44 (kly)
    Visual Brightness : 13 (mag)
    Diameter : 0.5 (arc min)

    Discovered by E.E. Barnard in 1890.

    In 1890, American astronomer E. E. Barnard, observing visually with the Lick Observatory 36-inch telescope in California, discovered an exceptionally bright nebulosity adjacent to the bright Pleiades star Merope. It is now cataloged as IC 349, or "Barnard's Merope Nebula." IC 349 is so bright because it lies extremely close to Merope -- only about 3,500 times the separation of the Earth from the Sun, or about 0.06 light-year -- and thus is strongly illuminated by the star's light.

    이 대상은 반사 성운이 아닌 발광성운이라고 한 곳도 있는데 위 내용과는 차이가 있네요..
    그리고 Merope Nebula에 속한 것이 아니라 합니다.
    밝기가 13등급으로되어 있고 Merope 별 30초 이내에 위치하고있다고 합니다.(200배 이상의 고배율이 필요할듯 합니다.)
    외국 관측기로는 Merope 별을 아이피스 시야 중심에 놓고 Merope를 차폐하면 관측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13인치면 충분하고 6인치로도 가능할꺼라고 하네요.

    아래 link는 허블 망원경이 찍은 사진이고

    http://apod.nasa.gov/apod/ap041204.html

    이건호 님께서도 이 대상을 촬영하신바 있습니다.

    http://www.astronet.co.kr/cgi-bin/zboard.php?id=gallery_dso&page=121&sn1=&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1817


댓글 6

  • 조강욱

    2011.11.07 18:39

    30초면 멜로페를 시야 밖으로 밀어내고 볼 수는 없을 것 같고..
    어떤 방법으로 차폐를 하면 좋을까요?
    포브스 데이모스 관측시에도 써먹을 수 있을듯.. ^^;;
  • 조강욱

    2011.11.07 19:15

    참, 그러고보니 이 대상도 Barnard 멜로페 성운이네요.. ㅎㅎ
    하늘에다 찜해두는 것은 Barnard를 따라올 사람이 없을듯..

    Barnard Galaxy, Barnard Loop, Barnard Star, Barnard List에 Barnard Nebula도 있었군요..
    우주판 봉이 김선달.. 아니 버나드 선달.. ㅋ;;;
  • 김경싟

    2011.11.07 21:57

    윤호님! 사진의 file명을 영어로 해주세요.
    (왜! 한글은 안되는지^^;)
  • 최윤호

    2011.11.07 22:11

    사진 파일 수정했습니다.
    차폐는 이쑤시게나, 성냥으로 ㅋ
  • 김경식

    2011.11.07 22:26

    위치확인을 위한 사진을 추가로 찾아봤습니다.




    한조각 희미한 조각^^;
  • 김지현

    2011.11.08 01:22


    IC 349의 특이한 모양은 어떻게 만들어진걸까?
    궁금해서 찾아본 내용을 함께 나눕니다~


    수만년 전에 성운 덩어리 한 뭉치가 우연히.. Merope 별 가까이.. 아주 빠른 속도로 접근했다고 합니다.
    그 다음, Merope 별의 Radiation Pressure(복사압)이 성운 덩어리에 작용하는데..
    별빛의 복사압은 성운 내의 먼지 티끌 가운데, 질량이 작은 것들은 더 많이 밀어내고 질량이 큰 것들은 덜 밀어내면서
    이런 모양을 형성 하였다고 합니다.

    복사압은.. 빛을 광자(Photon)로 해석하면.. 광자가 닿는 어떤 표면이 받는 압력(단위면적당 받는 힘)입니다.
    광자는 질량은 없지만 운동량은 있어서.. 광자가 어떤 면에 닿아 흡수, 또는 반사할 때..
    광자가 운동량을 전하면서 복사압을 만드는 것 입니다.
    결국, Merope 별빛이 가까이 다가온 성운 덩어리를 조각한 셈이네요..
위지윅 사용
번호 분류 제목 이름 조회  등록일 
notice 자유글 박상구 101 2024-03-15
notice 자유글 이현동 204164 2012-04-02
156 모임/관측 공지
번개 +5
김병수 15516 2011-12-18
155 분류 없음 김남희 15578 2011-03-20
154 분류 없음 김경싟 15589 2011-09-09
153 자유글 임광배 15630 2013-11-01
152 자유글 김남희 15709 2013-11-28
151 자유글 이갑헌 15714 2014-02-05
150 자유글 국일호 15756 2014-01-29
149 자유글 박진우 15826 2014-01-22
148 자유글 조강욱 15841 2013-12-05
147 자유글 홍승표 15856 2012-01-25
146 자유글 김철규 15938 2014-01-25
145 자유글 김지현 15965 2012-02-29
144 모임/관측 공지 이한솔 15982 2013-08-31
143 모임/관측 공지 이한솔 16019 2012-02-17
142 자유글 이원세 16095 2013-10-28
141 자유글 이원세 16177 2014-01-06
140 자유글 임광배 16293 2013-11-06
139 자유글 이경훈 16318 2013-12-22
138 자유글 박진우 16326 2013-10-30
137 분류 없음 이현동 16358 2003-07-14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