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임/관측 공지 & 자유글 ~☆+

  • 다까하시 파인더의 한계 등급.
  • 박한규
    조회 수: 5651, 2011-02-28 20:41:14(2011-02-28)
  • 이제 조금 더 정밀한 성도를 보다 보니 궁금한 것이 생기더군요.

    판매처에는 11등급으로 되어 있는데 실제로는 어떤가요?

    다까하시 파인더의 한계 등급이 얼마인지 모르고 있더라구요.

    부탁합니다.

댓글 4

  • 윤석호

    2011.03.01 17:00

    한계등급은 망원경의 구경, 반사율(투과율), 하늘상태, 관찰자의 동공 지름, 관찰자의 시력, 배율 등에 의해서 결정됩니다.

    따라서 어느 기준을 정해서 얘기해야 하는데, 전통적인 기준인 최대 동공 지름 7mm, 맨눈 한계등급(하늘상태) 6등성을 가정할 때 50mm 구경 굴절망원경의 한계등급은 10.3 등성 정도가 나옵니다.

    (대물렌즈의 지름을 D1, 관찰자의 동공 지름을 D2라고 할 때, 그 관찰자의 맨눈 한계등급이 M인 하늘 아래에서 지름 D1인 망원경의 한계등급 산출공식은 M+5xLog(D1/D2)입니다.)

    다카하시 파인더는 기계적 완성도와 코팅이 좋으므로 다른 것들에 비해 약간 더 나을 수도 있겠지요. (그런데 저도 다카하시 50mm 파인더를 가지고 있는데 그 명성에 비해 성상이 좀 마음에 들지 않더군요. 다카하시 30mm 파인더의 성상은 예술이던데...)
  • 윤석호

    2011.03.01 17:09

    따라서 시력 좋은 사람의 경우 양평에서는 8~9등성, 인제 산속이나 지리산 산속에서는 10~11등성 정도 나오지 않을까요.
  • 박한규

    2011.03.02 09:40

    감사합니다. 저런 공식이 있었네요.
    찾아보니까 log D1/D2=log 50/7=0.85정도 되네요.
    다까하시 파인더 50mm를 쓴다면 5X 0.85=4.25가 고정값이 되네요. 60mm를 사용하면 대략 4.5~4.7정도.
    그날 관찰자의 맨눈 한계등급이 변수군요. 제가 보통 가는 별아띠에서는 4등급 정도 일듯 합니다. 그럼, 잘해야 9등성이란 말이군요.
    무식을 노출했지만 기쁘네요. 감사합니다.
    원래 알고 계신 건가요? 아니면 어디 나오는 공식인가요?
    찾고 싶어도 어디를 찾아야 하는지 모르겠네요...
  • 윤석호

    2011.03.02 20:42

    원래 알고 있던 게 어디 있겠습니까. http://en.wikipedia.org/wiki/Limiting_magnitude 위키피디아를 뒤지면 웬만한 것은 다 나옵니다.^^

    근데 요 공식에서 재미있는 것은 맨눈 한계등급이 똑 같은 두사람이 있을 때 최대동공지름이 작은 사람이 큰 사람보다 망원경 한계등급이 더 높다는 것입니다. 결국 시력이 좋은 사람의 한계등급이 더 높다는 얘기가 되는 것 같슶니다.
위지윅 사용
번호 분류 제목 이름 조회  등록일 
notice 자유글 박상구 101 2024-03-15
notice 자유글 이현동 204164 2012-04-02
856 분류 없음 조강욱 5843 2010-11-19
855 분류 없음 김경싟 5844 2009-03-19
854 분류 없음 이준오 5846 2008-10-08
853 분류 없음 이현동 5847 2006-11-29
852 분류 없음 김경식 5847 2005-10-06
851 분류 없음 유혁 5849 2010-06-30
850 분류 없음 조강욱 5849 2011-01-02
849 분류 없음 김경식 5850 2008-03-08
848 분류 없음 김경싟 5865 2011-09-15
847 분류 없음 김경싟 5876 2008-09-05
846 분류 없음 여용수 5882 2008-10-22
845 분류 없음 김지현 5895 2011-02-23
844 분류 없음 김경싟 5896 2010-04-25
843 분류 없음 서강일 5897 2011-08-12
842 분류 없음 이현동 5897 2005-09-14
841 분류 없음 작은산꾼 5901 2007-01-14
840 분류 없음 김경싟 5902 2010-01-18
839 분류 없음 김경싟 5903 2011-10-20
838 분류 없음 김경싟 5912 2009-01-31
837 분류 없음 김경식 5914 2007-09-0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