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임/관측 공지 & 자유글 ~☆+

  • 별이 아름다운건 멀리 있기 때문이다
  • 조강욱
    조회 수: 5600, 2010-12-26 06:40:21(2010-12-26)
  • 내가 항상 주문처럼 외우는.. 이 문장은

    내가 창조한 것이 아니다

    10년도 더 전에.. 어느 이름모를 책의 서문에 있던 내용을 내맘대로 변형해서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97년쯤에.. 항상 밤하늘의 보석을 옆구리에 끼고 다니던 시절.

    심심할 때면 종로의 교보문고나 영풍문고, 종로서적의 해외잡지 코너에서 S&T와 Astronomy를 읽곤 했다

    (돈내고 사서 보기에는 안시관측자에게 가격 대비 읽을 거리가.. ;;;)

    그 다음 코스는 천문서적 코너에서 신간 뭐 나온거 없나 둘러보는 것.

    어느 신간 별책의 서문에 나온 짧은 시가 마음에 들어서,

    밤하늘의 보석 첫 페이지에 발글씨로 싯구를 적어 놓았다.

    몇 장 넘겨보니.. 천문학자 이야기인 것 같길래.. 그냥 덮어버렸다 ㅡ,ㅡ;;;



    며칠 전, 어떤 별책이 보고 싶어서 네이버로 찾아보니 이미 절판된지 오래.

    교보문고에도 재고가 없고

    영풍문고에는 전국 전 지점에 딱 한 권이 남아있다고 한다.

    '오레오 쿠키를 먹는 사람들'

    책 표지를 한장 넘기고.. 나는 깜짝 놀랄 수 밖에 없었다

    내가 즐겨쓰는 그 문장을 인용했던 십여년 전의 이름모를 책이 바로 이 책이었다니....


    =============================================================

    새벽을 앞둔 밤하늘에

    한 마리 나방이 반짝이는 별을 쫓는다.

    이 조그맣고 슬픈 세상에서 벗어나

    멀리 있는 무언가를 찾으려는가.

    - 셸리

    =============================================================

댓글 3

  • 윤석호

    2010.12.26 20:47

    '오레오 쿠키를 먹는 사람들',

    상당히 오래된 책이지요. 제 책장 어딘가에도 꽂혀 있을 겁니다.
    매우 재미있게 읽었던 책입니다. 특히나 칼텍 소속의 어느 맥가이버 천문학자(?) 얘기가
    아주 인상 깊었습니다. 감동을 주는 책이라고 하기는 어렵지만 읽은 책 중에서 재미로는
    열 손가락 안에 꼽아 줄 수 있는 책으로 기억이 됩니다.
  • 이민정

    2010.12.27 06:34

    ㅎㅎ. 내가 좋아하는 책인디..
    그 책 읽고나서 오레오 쿠키를 한동안 사다날랐다능.
    모두들 메리 크리스마스~
  • 이준오

    2010.12.27 07:07

    예전에도 올린 적이 있지만....이해인 수녀님의 "사랑할 땐 별이 되고" 란 글 중에서도
    .
    .
    .

    " 별을 보면 겸손해집니다" 라는 기사를 미국에 사는 진주씨가 보내 주었다.

    ' 천문학의 매력은 인간이 생각할 수 있는 가장 큰 것, 가장 멀리 있는 것, 가장 오래된 것, 가장 궁극적인 것을 찾아가는 데 있습니다.

    복잡한 일상, 슬픔까지도 무한한 우주에 대비 해 보면 극히 짧은 한 부분이라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 라는 구절이 기억에 남는다.

    .
    .
    .
    라는 부분이 나오더군요, 뭐 좀 이상한 이야기지만 구도자의 삶 중에서도 그러한 감정을 느낄 수가 있는 점이나
    세상 등지고 혼자 오두막에서 사는 헨리 데이빗 소로우의『윌든』이란 책을 읽다보면 이와 비슷한 이야기 역시도 종종 나옵니다.

    이런거 보면...때론 이넘의 별보기가 한편으로는 무슨 광신도적인 종교적인 의례, 뭐 비슷한 차원까지도 생각해볼 수도 있는 것 같습니다.
    월령되면 날 맑기를 기도하고 그러다 정말 맑으면 목욕재계하는 기분으로 신성한(?) 마음으로 관측지로 올라가
    세상 복잡한 일 다 잊어버리고 별 보기에 집중하다보면 내려올 땐 정말 구원(!)까지 받은 느낌에다 영혼부터 시작해 아프던 온 몸이 치유되는 것 같고...ㅎㅎ

    암턴 구도자의 길이나 별 보는 일이나 참 의미있는 일임에는 분명한 거 아닐까요?,...^^
    (너므 거창했나요?...-,.-;, 뭐 저그 한쪽에서는 생물학적으로 불가능한듯하지만 별 빛으로 광합성도 하시는 분도 계시는뎅, 뭘~ ㅋㅋ)
위지윅 사용
번호 분류 제목 이름 조회  등록일 
notice 자유글 박상구 102 2024-03-15
notice 자유글 이현동 204164 2012-04-02
976 분류 없음 김원준 5417 2011-09-03
975 분류 없음 김경싟 5424 2008-09-26
974 분류 없음 만남 5428 2007-05-19
973 분류 없음 김경싟 5429 2009-09-10
972 분류 없음 김민호 5429 2005-09-05
971 분류 없음 황인준 5433 2009-08-04
970 자유글 김철규 5434 2017-09-03
969 분류 없음 김경싟 5435 2009-07-07
968 분류 없음 이준오 5440 2009-03-30
967 분류 없음 최승곤 5441 2010-11-02
966 분류 없음 김원준 5443 2010-11-10
965 분류 없음 박한규 5443 2011-04-20
964 분류 없음 정기양 5450 2010-09-04
963 분류 없음 김지현 5451 2011-03-30
962 분류 없음
Mung +2 file
김경싟 5453 2010-03-04
961 분류 없음 이종은 5454 2007-09-13
960 분류 없음 최형주 5454 2006-03-17
959 분류 없음 김경싟 5455 2009-03-25
958 분류 없음 김남희 5457 2010-07-12
957 분류 없음 김남희 5457 2011-11-0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