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임/관측 공지 & 자유글 ~☆+

  • 보통 새로게 명명된 별이나 항성의 영어식 이름을 알파벳을 쭉욱 읽으면 될까요? [자유글]
  • 현석
    조회 수: 835, 2022-09-06 00:23:53(2022-09-02)
  • 안녕하세요 ^^ 눈팅민하다 용기내어 질문 드립니다.

    보통 잘 알려진 항성이나 행성외에 새롭게 발견된것들은 영어 알파벳과 숫자로 구성된 가칭을 쓰는걸 본적있는데

    단순히 적을 땐 상관 없는데 이걸 읽어야 할 상항이라면 ...


    예를들어 

    TOI-700 d  이런 것은 그냥 알파벳 하나씩 일고 칠공공디 이런식으로 읽으면 되는걸까요?

    또 GJ 667 C 이경우에도 지제이 육육칠 씨 ... 이렇게 읽으면 상관없을지요?


    그리고 뒤에 알파벳은 대문자와 수문자가 있던데 이런건 기호의 규칙은 어떻게 정하는지

    알고싶은데 천무학책에는 물리현상등만 잔득 적혀있고 사소해보이지만 이런 소소한것들은 잘 안보이는군요 ^^

    지나가시다 시간되시면 답좀 주시면 아주 고맙겠습니다 ㅎ

    추석 잘들 보내시구요

댓글 2

  • 이한솔

    2022.09.04 01:24

    저도 전문가는 아니기에 정확히는 모르지만 상식선으로 생각해보면
    읽는 것은 외국글자이므로( 읽는 사람 마음대로) 쓰신대로 읽는 것이 맞을 것 같고
    예를 든 별들은 모두 최근 발견된 (정확히는 눈이나 사진으로는 확인되지않고 스펙트럼상 존재할 것으로 추측 되는) 외계 행성이므로
    무슨 공식적인 별 명명법이라기 보다는 발견한 사람이나 우주선의 이름, 프로젝트 이름등을 따서 자의적으로 붙힌 이름입니다.
    그리고 위와 같은 외계 행성들은 아직까지는 추측일뿐 공식적으로 확인 된 것이 아니므로 당연히 교과서적인 내용들은 아닙니다
  • 키토사3

    2022.09.06 00:22

    아 고맙습니다~
위지윅 사용
번호 분류 제목 이름 조회  등록일 
notice 자유글 박상구 117 2024-03-15
notice 자유글 이현동 204166 2012-04-02
2296 자유글 김남희 12059 2014-02-26
2295 모임/관측 공지 조강욱 12039 2014-02-19
2294 분류 없음 황복순 11975 2011-06-09
2293 자유글 정기양 11957 2014-01-02
2292 분류 없음 김경식 11956 2003-06-28
2291 모임/관측 공지 조강욱 11956 2014-02-12
2290 자유글 김원준 11939 2012-10-03
2289 자유글 김지현 11932 2012-04-11
2288 자유글 김재곤 11908 2014-01-24
2287 자유글 이원세 11891 2013-12-28
2286 분류 없음 윤용일 11876 2003-05-20
2285 분류 없음 조강욱 11852 2011-11-04
2284 분류 없음 김병수 11847 2011-05-25
2283 분류 없음 황인준 11769 2003-12-06
2282 자유글 김병수 11758 2012-02-14
2281 분류 없음 김경식 11757 2004-10-15
2280 자유글 김남희 11748 2012-04-27
2279 분류 없음 조강욱 11659 2011-08-18
2278 분류 없음 김경식 11641 2004-07-23
2277 분류 없음 김원준 11626 2011-06-02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