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임/관측 공지 & 자유글 ~☆+

  • 아이패드에 스케치 연습하는 중인데 잘하는 짓인지... ^^ [자유글]
  • 조회 수: 11538, 2014-02-05 05:31:59(2014-02-05)
  • 아이패드에 스케치 연습하는 중인데 잘하는 짓인지... ^^


    천체 스케치 하기전에 연습삼아 그려봤습니다. 아이패드에서 그려본 것인데 실제 천체 스케치에도 가능할지는 모르겠군요.






    아직 관측 실력이 미천하여 천체 스케치는 요원하고 책보며 공부만 하고 있습니다. 요즘 열심히 일고 있는 책... Astronomical Sketching A Step-By-Step Introduction. 공부할겸 번역해가며 읽고 있는데 현재 2/3가량 완료 했군요.


    이번 주도 관측은 안하고 공부만 하고 있습니다. ㅎㅎㅎ

    --------------------------

    SkyWeek 2월 3일-2월9일까지, 큰개와 작은개 자리, 시리우스와 프로씨온


    영어공부 한다고 자막 달기 2번째 입니다. 역시 공부는 재미로 하는게 답입니다. 지루하지 않고 머리에 쏙쏙 들어오죠. ㅎㅎㅎ 중간에 잘 안들리는 문구가 있는데 혹시 아시면 알려 주세요. 수정할께요. ^^




    이번 주에 관측할 천체는 큰개(Canis Major, 캐니스 메이져, Canis는 라틴어로 개, 고대 그리어로 뭐라하는지 동영상을 보세요)와 작은개(Canis Minor) 자리 입니다. 이 별자리는 겨울의 대표 별자리 오리온의 왼쪽에 있습니다.


    밤하늘을 보면 밝게 눈에 띄는 별이 관측됩니다. 그별마다 별자리에 속해 있죠. 별자리는 예로부터 천문학자들이 임의로 구획지은 것이라고 합니다. 밤하늘을 즐길 때 별에 대해 알면 되지 누군가 임의로 그어놓은 별자리를 꼭 알아야 할 것은 없다고 합니다만 기왕이면 알면 좋죠. 옆사람에게 으쓱대며 얘기해줄 수 있구요. 왕년의 최고 인기였다는 유명 변사 저리가라 일겁니다. 취미란게 뭐 있나요? 폼 잡는거죠. ㅎㅎㅎ 임으로 그어놓은 것이긴 하지만 별을 지칭할 때 별자리를 참고로 말하니 취미가라면 별자리 몇개쯤은 알아 두면 좋겠습니다.


    2월 저녁 9시쯤 남쪽을 바라보면 중간쯤에 오리온이 보일 겁니다. 워낙 밝은 별로 구성된 별자리인데다 뚜렸해서 누구나 금방 알아채는 별자리죠. 남쪽을 바라보고 있으면 왼쪽이 동쪽입니다. 하늘이 동에서 서로 돌아갑니다.  오리온이 앞서고 뒤를 이어 개 두마리가 따라 다니는 겁니다. 오리온은 두마리의 사냥개를 가진 사냥꾼입니다.


    큰개 자리의 가장 밝은 별이 바로 "시리우스" 입니다. 북반구에서 태양을빼면 가장 밝은 별이죠. 작은개 자리의 가장 밝은 별은 "프로씨온"입니다. 프로씨온은 태양에서 가까운 별로 맨눈으로 볼 수 있는 네번째로 가까운 별입니다. 두번째 세번째 가까운 별은 어둡기 때문에 맨눈으로 볼 수 없죠. 시리우스와 프로씨온의 닮은 특징으로 각각 백색왜성과 쌍성계를 이룬다고 하네요.


    오리온의 발 아래에 "에리다누스(고대 그리스어에서 강-river-을 대표하는 말이라는 군요)" 별자리가 길게 흘러내립니다. 지평선 가깝게 떠서 맨눈으로 보기는 좀 어렵습니다. 이별의 네번째 밝은 별(엡실론 에리다니)이 있는데 밝기가 변하는 모양입니다. 변광성이 아니라 과학자들의 연구에 의하면 태양계처럼 행성을  지녔다는 군요. 우리 은하계에 행성을 지녔을 것으로 추정되는 별들이 상당히 많다고 합니다.


    별자리에서 밝기순으로 고대 그리스어 알파벳 문자를 부여 합니다. 옛날에 정한 것이라 밝기가 일치 하지 않지만 지금도 그대로 사용한다는 군요. "엡실론 에리다니(Epsilon Eridani)"는 에리다누스 자리에서 다섯 번째 밝은 별이죠. 엡실론(Epsilon, ε)은 알파벳 네번째 문자입니다. 이참에 고대 그리스어 알파벳도 외워 보실까요?


    http://en.wikipedia.org/wiki/Greek_alphabet


    알파 α, 베타 β, 감마 γ, 델타 δ, 엡실론 ε, 제타 ζ, 에타 η, 쎄타 θ, 이오타 ι, 카파 κ, 람다 λ, 뮤 μ, 뉴 ν, (크)사이 ξ, 오미크론 ο, 파이 π, 로 ρ, 시그마 σ, 타우 τ, 입실론 υ, 파이 φ, 치 χ, (프)사이 ψ, 오메가 ω....


    그러고 보니 우리 전자쟁이에게도 익숙한 문자가 꽤 많군요. hihi~


    아참... 그리고 천체가 항상 동에서 떠서 서로 지는 것은 아닙니다. 특히 태양계의 내행성(수성, 금성)이나 달의 경우 초저녁 부터 서쪽에서 보이기도 합니다. 그렇다고 서쪽에서 뜨는 것은 아닙니다만.... 자세한 내용은 지난주 SkyWeek 편을 참조하세요.



댓글 1

  • 조강욱

    2014.02.05 05:31

    아이패드에 이정도 실력이면 연습이 더이상 필요 없겠는데요? ㅎ
    다만 갤노트에서도 똑같은 문제인데..
    성운의 농담표현은 어떻게 할 수 있을지 아직 적당한 방법을 못 찾았어요
위지윅 사용
번호 분류 제목 이름 조회  등록일 
notice 자유글 박상구 103 2024-03-15
notice 자유글 이현동 204164 2012-04-02
1316 분류 없음 김경싟 4640 2011-05-18
1315 분류 없음 김경싟 4643 2011-11-07
1314 모임/관측 공지 조강욱 4645 2015-01-02
1313 모임/관측 공지 최윤호 4645 2017-11-17
1312 분류 없음 최윤호 4647 2011-11-07
1311 분류 없음 정병호 4650 2010-07-13
1310 분류 없음 이현동 4654 2011-12-07
1309 모임/관측 공지 최윤호 4656 2017-10-27
1308 분류 없음 김경싟 4657 2010-02-11
1307 모임/관측 공지 최윤호 4657 2017-03-22
1306 분류 없음 김광욱 4662 2011-05-21
1305 분류 없음 은희 4664 2007-06-11
1304 분류 없음 조강욱 4666 2009-12-08
1303 분류 없음 조강욱 4669 2011-08-25
1302 분류 없음 김경싟 4670 2010-10-25
1301 분류 없음 김경싟 4673 2009-11-22
1300 분류 없음 김남희 4674 2011-03-04
1299 분류 없음 김지현 4676 2010-12-29
1298 자유글 김남희 4682 2017-06-26
1297 자유글 김남희 4682 2018-01-22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