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44] 44와 친구들 [스케치]
-
조회 수: 14682, 2016-12-23 14:55:59(2016-12-20)
-
M44 프레세페.
(고대부터) 사자자리 꼬리에 해당하는,
서울에서도 맘만 먹으면 눈으로 볼 수 있는,
그러나 정작 망원경으로 보면 건더기 몇 개 건질 수 없는 심심한
그저 밝은 별만 듬성듬성 있는 대형 산개성단이라 생각한다면
그건 분명 오산이다
M44 안에는 은하들이 숨어 있다우리 사는 세상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산개성단과
가장 멀리 있는 은하가 같이?
(출처 : 조강욱 작전지도)
물론 잘 어울리는 조합은 아니다.
(다다음 편에 소개할 46번 같은 그런 아름다움 말이다)
하지만,
주먹만하게 보이는 은하들을 감상하는 것만큼
작은 별들 사이 사이를 이 잡듯 뒤져서 찾아내는 희미한 은하들도
사람을 이끄는 마력이 있다
수피령에서, 한 시간 반을 44번 프레세페의 점들을 찍고또 그 만큼의 오랜 시간을 들여서 그 안의 은하 6개를 하나씩 찾아서 그렸다
그렸다기보단 흔적을 표시했다는 표현이 더 어울릴 것이다
[ M44 & 친구들, 수피령에서 조강욱 (2016) ]나는 그 중에서도 특히 UGC4526을 좋아한다
그 날카로운 생김새도 그렇고,
내가 처음 본 Uppsala 대상이기 때문이다
(위 스케치 부분 확대)
또 하나, M44는 황도상에 정확히 위치하고 있는 관계로..
가끔 아래와 같은 장관도 볼 수 있다는 사실! (다만, 준비된 사람에게만)
[ 미국에서 M44(+화성), 15*70 쌍안경으로 Michael Rosolinae (2009년) ]
( 관측기록 : http://www.asod.info/?p=2218 )
[ 아일랜드에서 M44(+C/2007 N3 Lulin), 18*70 쌍안경으로 Jeff Young (2009년) ]
( 관측기록 : http://www.asod.info/?p=1636 )
[ 캐나다에서 M44(+달), 8" Dob으로 Gordon A. Webster (2008년) ]
( 관측기록 : http://www.asod.info/?p=6633 )
Nightwid 無雲
조회 등록일 | |||||||
---|---|---|---|---|---|---|---|
![]()
2017-02-11 04:38:20
조강욱
/
2017-01-19
⇒
|
달과 m44 접근은 내년에도 몇번 있는 것 같습니다. 저는 붉은 화성과 함께 있는 m44의 모습이 보고 싶은데 그건 언제쯤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