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스케치/사진 ~☆+
-
[M51] 세상의 가장 먼 결정적 순간 [스케치]
-
조회 수: 11114, 2017-02-11 04:37:44(2017-01-24)
-
2012년 11월,나는 두 번째 호주 원정을 위해 Brisbane행 비행기에 몸을 실었다그 수많은 얘기들은 아래 링크로 대신하고..1편 http://www.nightflight.or.kr/xe/observation/62917 (두마리 토끼 - 남천과 일식)2편 http://www.nightflight.or.kr/xe/observation/63060 (천국의 하늘색)3편 http://www.nightflight.or.kr/xe/observation/63445 (멀리 있어 아름다운 것)4편 http://www.nightflight.or.kr/xe/observation/63709 (하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5편 http://www.nightflight.or.kr/xe/observation/70123 (별보는 사람은 별로써 구원받는다)6편 http://www.nightflight.or.kr/xe/observation/73060 (작고 동그란 반짝이는 것)7편 http://www.nightflight.or.kr/xe/observation/76623 (하룻밤 꿈)Brisbane에서도 내륙으로 3시간을 달려간 곳에서 만난 별쟁이, Bolton 아저씨에게가장 좋아하는 대상이 무엇인지 물어보았다그 대답은 뜻밖에도,북두칠성 바로 아래의 M51이었다호주 Queensland 하늘에서 남중고도 15도 밖에 되지 않는 아이를...(내가 사는 곳의 51번 남중고도는 무려 6도)사람이 자신이 가지지 못한 떡에 더 관심을 가지는 것은 당연한 것인가보다그 51번을 거의 일년 내내 볼 수 있는 우리들에게도51번 부자은하는 축복의 대상이다. (다만 8인치 이상 망경 있는 사람에게만..)그 어떤 Face-on(정면) 은하가 이렇게 밝고 디테일하게 보일 수 있을까?흠, 사진으로 보면 33번이 더 화려하겠지만그건 사람의 눈 대신 CCD로 오랫동안 빛을 모아야 가능한 일..눈으로 보는 정면 나선은하 중에 이보다 잘 돌아가는 은하는 아마 없을 것이다북두칠성의 여섯번째 별이 시력검사의 별이라면북두칠성의 일곱번째 별 밑의 M51은 시상검사의 천체다봄이 되면 별쟁이들은 망경을 세팅해 놓고오늘의 관측을 시작하기 전에우선 하늘 높이 떠 있는 51번을 보며 오늘의 시상을 가늠해본다51번이 잘 보이면 은하랑 성운으로 계속 가는 거고51번이 잘 안보이면 성단으로 전환..2011년엔 M51에서 큰 일이 있었다꽤 밝은 초신성이 관측된 것이다6월 어느 맑은 날,인제의 불법(?) 관측지에서 51번을 만났다[ M51 & SN2011DH, 인제 K**T에서 조강욱 (2011) ]51번에서는 꼭 봐줘야 할 구조들이 있다① 팽팽 돌아가는 두 갈래 나선팔 (시상 검사용 팔)② 나선팔 주위의 Halo③ 은하면 위에 보이는 별④ 아들 은하 5195의 삼각형 모양 Halo⑤ 아빠의 핵과 아들의 핵 중 무엇이 더 밝은가?⑥ 부자은하 관측의 화룡점정, 두 은하를 연결하는 bridge⑦ 미션 임파서블, bridge 위의 13등급 성운(아래 그림의 정 가운데 있는 것)어쨋든, 오늘 51번을 잡은 목적은 51번의 유려한 자태를 감상하는 것이 아니라그 안에서 빛을 발하는 별 하나를 보는 것이었다그 아이는, bridge로 향하는 나선팔의 끝자락에 있었다나는 3천만년 전의 빛이 '깜박' 하고 잠시 (한두달 쯤) 켜졌다 꺼진 것을 본 것이다초신성이 아름다운 것은,사람이 볼 수 있는 가장 멀리 있는 '결정적 순간'이기 때문이다Nightwid 無雲
조회 등록일 | |||||||
---|---|---|---|---|---|---|---|
⇒
![]()
2017-02-11 04:38:20
조강욱
/
2017-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