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4日] 소원, 열망 [일반]
-
조회 수: 3284, 2015-08-07 22:51:27(2015-08-07)
-
보름달을 반기는 별쟁이는 아마 아무도 없을 것이다.... 라고 생각했는데
안시를 넘어 사진까지 생각해 보면
달빛 조명에 트레일을 찍기 위해 일부러 달 밝은 날 짐을 싸는 사람도 있다
물론 나랑은 아주 먼 이야기..
나도 1년에 한두번쯤, 그 보름달을 유심히 바라볼 때가 있는데
바로 추석 보름달이다
애시당초 행운이란 것을 믿지 않는 피곤한 성격상
유성보고 소원빌고.. 이런 것에도 별 관심이 없는데
추석날 밤에 가족들과 모인 자리에선 왠지 그 소원을 빌고 싶다
(근래에는 결혼하고서 10년 연속으로 처가인 울산의 달을 보고 있다)
작년 추석날 밤, 초저녁부터 전원주택 마당에서 막걸리를 마시며 눈은 계속 동쪽 산등성이로..
산 능선의 월출 순간을 포착하려 했으나
달은 사람을 기다려 주지 않는다
잠시 술자리를 벗어나서 길 모퉁이에 서서 폰을 꺼내서 달빛과 하늘빛을 담고 있는데
달보다도 감나무 이파리의 곡선에 더 눈길이 간다
학교 다닐 때 배웠던 조지훈의 시구에 나오는 '외씨 버선'이 이런 모양일까?
여튼.. 동산에 갓 떠오른 달을 보며
누가 소원을 빌기 전에 제일 먼저 소원을 빌어본다 (선착순일 수도 있으니)
[ 소원, 갤럭시노트2에 터치펜과 손가락 - 조강욱 (2014) ]
한달 뒤 보름은 개기월식이었다
2011년 한겨울의 월식 이후 3년만이다
2011년 12월 10일 밤 늦은 시각, 나는 아파트 앞 놀이터에 나와 있었다
보름달의 눈부신 서슬에 숨죽이던 별들은
달이 점점 지구 그림자에 가리면서 조금씩 빛을 내다가
완전히 가려지기 시작할 즈음 붉은 달과 함께 어둠 속에서 그 모습을 드러냈다
(우리 집은 서울이지만 북한산 밑 설끝마을(?)이라 별이 잘 보인다)
아.. 이렇게 기가 막힌 조화가 있을까!
존재감 없이 무광으로 빛나는 붉은 달과
보름달의 기세에 숨죽여 지내던 작은 별빛들의 향연.
이게 월식의 본질이로구나. '조화로움'
파스텔을 꺼내서 그 조화로움을 그림으로 남겨 본다
3년만에 월식의 조화를 다시 느껴볼 기회가 왔다
과학동아 천문대에서 일을 도와달라는 요청을 받고서
회사 업무 끝나자마자 용산으로 달려갔다
낮동안의 구름은 다행히 걷혀서 붉은 달을 볼 수가 있었는데
이게 왠걸.
서울의 중심에서 야간조명에 둘러싸여 하늘을 보니..
붉은 달 옆에 잔별들이 전혀 보이지 않는다 (구름도 조금 있었다)
아~~ 조화. 조화가 보고 싶다....
정성을 다해서 그 달을 그림으로 남겼지만
별이 없으니 허전하기는 하고..
그렇다고 차마 없는 별을 찍을 수도 없고..
[ 식심, 과학동아 천문대 - 갤럭시노트 2에 터치펜, 조강욱 (2014) ]
올해 4월 4일에는 근래 마지막 개기월식의 기회가 있었다
여기 저기 오라는 곳을 다 마다하고
그 조화로움을 다시 보고 싶어서 산속 휴양림을 잡았는데....
결국 그 날, 전국적인 비와 구름으로
아무도 일식을 본 사람은 없었다
(저 멀리 아메리카 대륙의 승전보만 전해 들었을 뿐)
Nightwid 無雲
조회 등록일 | |||||||
---|---|---|---|---|---|---|---|
![]()
2017-02-06 09:15:24
김남희
/
2017-02-0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