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에세이 ~☆+

  • 신기한 마이산(馬耳山)
  • 김경식
    조회 수: 15325, 2006-06-27 01:18:54(2006-06-27)

  • 마이산(馬耳山)엘 다녀왔습니다.

    마이산은 시대별로 여러 이름으로 불리어오다가
    조선 태종때 말 귀와 모양이 같다하여 지금의 이름으로 굳어졌다고 합니다.
    두 봉우리로 구성되어 있는데,
    동쪽의 표족한 수마이봉은 667m, 서쪽의 종모양의 암마이봉은 673m입니다.



    마이산은 멀리서 보면 말 귀 같이 생겼지만,
    가까이서 보면 거대한 콘크리트 구조물 같이 생겼습니다.
    경사길 계단을 오르다가
    산비탈에 콘크리트로 벽을 쌓아 놓아,
    일순간 모든 것을 시멘트로 해결하는 우리나라의 환경을 비웃었더니만,
    그게 콘크리트가 아니라 바위 자체였습니다. ^^;



    수마이산...
    북쪽에서 고개를 넘어와 남쪽에서 바라 본 모습...
    제대로된 말 귀 모양을 보려면 북쪽에서 봐야하는데, 지금은 좀 밋밋하네요.


    마이산에서는 재미있는 풍화작용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타포니(tafoni)...
    마치 벌레가 파먹은 것처럼 바위 표면이 움푹움푹 파여 있는 것을 '타포니' 또는 '풍화혈'이라고 부릅니다.
    결국은 바위가 깨지는 현상이죠.
    마이산에서는 이런 타포니가 한두개가 아닌 타포니群을 이루고 있습니다.

    무속신앙의 절대 강자인 인왕산 선바위도 바로 타포니 형상을 보여주고 있죠.


    마이산을 넘어(물론 산 정상을 넘는 것이 아니라 수마이산과 암마이산 사이를 지나)
    남쪽에는 수많은 돌탑들로 유명한 '탑사'가 있습니다.

    이갑용 처사가 30여년에 걸쳐 120여기의 돌탑을 완성했는데,
    지금은 약 80여기가 남아있다고 하네요.
    처사(處士)가 뭔가 했더니...세상 밖에 나서지 않고 조용히 묻혀 사는 선비를 말한다고 하네요 *^^*


    탑사 안에 보니 샘이 있는데...'섬진강 발원지 용궁'이라고 표시되어 있습니다.

    그때 볼때는 '아~그렇구나!' 싶었습니다만,
    섬진강의 발원지는 전라북도 진안군 백운면 팔공산(1,151m) '데미샘'이라고 합니다 ^^;
    그리 멀지 않으니 ^^; 그리고 또 어자피 강은 모여서 이뤄지니...
    참고로
    한강의 발원지는 강원도 태백의 '검룡소'
    낙동강의 발원지는 강원도 태백의 '황지' 연못
    금강의 발원지는 전라북도 장수군 장수읍 수분리의 신무산(897m)에 위치한 '뜸봉샘'이라고 합니다.


    저는 탑사에서 가장 인상깊은 모습이...
    바로 이 거대한 하트(♥)였습니다.

    이 거대하고 신기한 자연의 모습에
    거저 감탄과 경의를 표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하트를 이루는 나무는 능소화(Chinese trumpet creeper)랍니다.
    백과사전에 찾아보니...
    "금등화(金藤花)라고도 한다.
    중국이 원산지이다.
    옛날에서는 능소화를 양반집 마당에만 심을 수 있었다는 이야기가 있어, 양반꽃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가지에 흡착근이 있어 벽에 붙어서 올라가고 길이가 10m에 달한다.
    중부 지방 이남의 절에서 심어 왔으며 관상용으로도 심는다.
    꽃은 6월 말∼8월 말경에 피고 가지 끝에 원추꽃차례를 이루며 5∼15개가 달린다.
    꽃의 지름은 6∼8cm이고, 색은 귤색인데, 안쪽은 주황색이다."



    토요일은 시골 마을 친구들끼리 1년에 한번씩 모이는 날이라,
    겸사겸사 마이산에도 들르고 집에도 갔다 왔습니다.
    고향 친구들과는 물론 명절에 내려가서 따로 만나지만,
    항상 매년 여름에는 즐기는 목적으로 다른 장소에서 가족끼리 모이지요.
    이번에 모임은 무주리조트...총 11쌍인데 10쌍이 참석했습니다.
    아이들까지 모두 오니까 대부대더군요.
    참석 안한 한친구는 노총각...^^;

    오늘 올라오면서,
    나이가 들수록 옛날 것이, 고향이... 그립다고 하니까
    별찌엄마가 그러데요...
    남자는 과거지향적이고, 여자는 현재진행형이라고...

    그럼...미래지향적은 남녀가 같이 이뤄가는 것일까요?

댓글 0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thumbnail
  • 이준오 조회 수: 13955
  • 올해도 어김없이 널고 있는 땅에 취미(?)로 시작한 텃밭가꾸기의 그 하일라이트인 '김장배추 (모종)심기'가... 해년마다 온식구 총 출똥~~했던 것에 비해.... 조촐하게.. 어마마마님과 저, 단둘이 올라가 이제서야 끝나고 내려왔음다. 원래 어제 밤 같이 좋았던 그 하늘...
2009-08-30 03:05:56 / 2009-08-30
thumbnail
  • 이준오 조회 수: 14925
  • 드뎌 요 녀석이 세자리 숫자에 도달했슴다. 연우의 100 일...ㅎㅎ 그래도 몇달 전, 엄마,아빠 고생좀 시킨게 자기도 미안한지... 그동안 한번도 안 아프고 쭈~ 잘먹고 응가도 잘하고 잘자고 잘널아주고... 정말 정말 고마울 뿐입니다...ㅎㅎ 아프로도 이렇게 쭈욱~ 무럭...
2009-08-12 21:37:45 / 2009-08-12
thumbnail
  • 김경싟 조회 수: 18409
  • . . . 날이 덥네요. 쭈쭈바를 하나 물고 웃통을 벗고 선풍기 바람을 쐬고 있어도 몸이 찐득찐득합니다. 오는 13일이 말복이라 늦은 더위가 기승을 부립니다만, 지난 7일은 입추, 오는 23일은 처서입니다. 한창 더움은 곧 가을이라는 반증이겠지요. 덥다보니 새벽....이...
2009-08-10 08:14:54 / 2009-08-10
thumbnail
  • 김경싟 조회 수: 16744
  • . . . 알람을 맞춰놨습니다. 알림이 울리네요. 아내의 것이 먼저 울립니다. 끄고 나니 거실에 있는 제 핸드폰의 알람이 울리는군요. 5h 50m이라는 의미. 밖으로 나와 알람을 끈 후, 작은방에 고양이를 끼고 다시 눕습니다. 꼭 껴안고 싶지만 귀찮아 가버릴까 두려워 조...
2009-08-03 06:20:54 / 2009-08-03
thumbnail
  • 김경싟 조회 수: 16326
  • . . . 인도 다녀온 이야기를 풀어볼까 합니다. 구구절절 쓰기가 쉽지 않아 그림과 함게 쉽게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설렁설렁~~~ ^^ 이번 여행할 때 몇가지 계획을 했었는데요... 1. 매일의 일정과 생각, 느낌을 기록하기 2. 하루에 한장씩 그림 그리기 3. 매일 매일에 ...
2009-07-30 09:27:36 / 2009-07-30
thumbnail
  • 김경싟 조회 수: 15534
  • . . . 어느 시간...눈을 떴습니다. 빗소리가 들립니다. 몇시일까? 아내를 깨웁니다. "우리... 대공원에 비 맞으러 갑시다." 들려야 할 뻔한 대답 대신 "그래요..." 시계를 봅니다. 새벽 4시 한시간만 더 자다 일어나자. 알람은 듣지 못하고 스스로 깹니다. 배가 고프네...
2009-07-13 06:40:07 / 2009-07-13
thumbnail
  • 김경싟 조회 수: 12880
  • . . . 금요일 밤 집을 나서 충남 예산의 수덕사 근방에서 하룻밤 자고 토요일 수덕사 & 절 뒤의 덕숭산 정상을 찍고 무창포 해수욕장으로 가서 또 하루를 보낸 후 오늘 올라왔습니다. 수덕사는 하루에 두번을 들렀습니다. 처음엔 새벽 5시 좀 넘은 시간에 그리고 다음에...
2009-06-29 06:50:59 / 2009-06-29
thumbnail
  • 김경싟 조회 수: 14595
  • . . . 6/22 최선생님, 김남희님, 조강욱님 6/23 유혁님, 김희준님, 김경싟 6/24 최선생님, 김남희님, 유혁님, 조강욱님, 최윤호님 ..... 그럼 오늘은 다시 경싟이가 번개를 쳐야 하는 날인가요? ^^ 최선생님과 설매재휴양림에서 반딧불을 본 지.... 어언~~~...
2009-06-25 16:52:19 / 2009-06-25
thumbnail
  • 김경싟 조회 수: 32848
  • 2009.7.22(수) 개기일식이 일어나는 날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안타깝게도 부분일식이고 인도, 네팔, 중국, 일본 남부 도서지방쪽으로 개기일식대가 지나갑니다. 제가 알고 있는 것만도 대단위로 4개 팀이 떠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중국의 상해,소주,항주 인근으로...
2009-06-22 22:08:38 / 2009-06-22
thumbnail
  • 김경싟 조회 수: 14011
  • . . . 나이 40이 넘어가니 곱게 나이들어가는 것에 대한 고민을 하게 됩니다. 멋지게 늙어간다는 것... 누구는 그 방법을 서로 불일치할 것 같은....강함과 유연함의 공존이라고 설명하더군요. 강함이 고집을 말하는 것은 아닐터이고 유연함이 좋은게 좋은 것라고 타협...
2009-06-22 07:05:04 / 2009-06-22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