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측기 & 관측제안 ~☆+
-
이중성 관측기 - 고래자리#1
-
조회 수: 5369, 2021-04-13 09:48:46(2021-03-09)
-
NSOG 고래자리에는 약 40여개의 이중성이 소개되어 있다. 작년 11월 30일 시작했는데 이렇게 고래자리가 기울때까지 다시 보지 못할거라 생각지 못했다. 열 몇개에 대한 기록이나마 남겨본다.일시 : 2020년 11월 30일관측지 : 여수시 웅천동망원경 : EDP125고투 경위대 : iOptron AZ mount pro아이피스 : Nagler type 6 2.5mm(390배), Delos 3.5mm(279배), Nagler type 6 5mm(195배), Meade UWA Series 4000 6.7mm(146배), Nagler type 6 9mm(108배), Nagler type 6 13mm(75배), Nagler type 4 22mm(44배), Swan 40mm(24배)h1957 (이중성, 7.67, 9.15등급, 6.1", PA27도)주 반성 모두 그리 밝기 않다. 75배 반성 쉽게 드러나고 108배 주성은 노란색 반성은 흰색 느낌이다.h1968 (이중성, 7.26, 10.03등급, 36.8", PA234도)75배 노란 느낌의 흰색 주성에 조금 멀리 어두운 반성이 잘 나온다. 반성은 흰색 느낌이다.Σ39 (삼중성)AB : 7.10., 8.65등급, 19.6", PA45도AC : 7.10., 9.99등급, 200.8", PA159도75배 노란색 A별과 A별 보다 다소 옅은 노란 느낌의 흰색 B별이 잘 드러난다. 저 멀리 C까지 잘 나오는데 C는 너무 멀어 그냥 배경 별일 뿐이다.Stone 3 (이중성, 7.63, 8.39등급, 2.0", PA241도)반성이 가깝지만 75배 뭔가 나온 느낌이 확연하다. 108배 거의 다 나왔는데 Split에는 조금 아쉽다. 146배도 마찬가지 이고 195배에서 완전 Split된다. 오늘 정도 시상이라며 경험 상 이 정도 각거리의 주 반성 밝기 차면 146배에서 Split되어야 정상이다. 다시 보니 이상하게 반성이 8등급 보다 더 어둡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β734 (이중성, 5.62, 9.64등급, 10.6", PA346도)75배 밝은 주성 대비 반성이 많이 어둡지만 10초각의 각거리가 반성을 드러나게 한다. 108배 주성은 오렌지색이지만 반성은 파악되지 않는다.WNO 1 (이중성, 6.60, 9.20등급, 5", PA7도)앞의 β734 대비 주성은 한 등급 더 어둡고 반성은 약간 더 밝다. 근데 각거리는 절반으로 줄어 들었다. 그러나 다행스럽게 75배에서 반성이 잘 드러난다. 주성의 밝기 감소가 더 큰 영향이리라. 108배 주성은 노란 느낌의 흰색, 반성은 흰색 느낌이다. Skysafari에서 반성도 6.6등급으로 나오는데 오류는 바로 잡혀야 된다.h2004 (이중성, 7.04, 9.77등급, 3.3", PA237도)앞의 WNO 1 대비 주성, 반성이 약간 더 어두워졌고 더 붙어 간다. 쉽지 않아 보인다. 75배 뭔가 나온 듯 한데 확신하기 어렵다. 108배 다행히 그 위치에서 희미하게 떠오른다. 146배 좀 더 존재감을 잘 보여 준다. 주성은 하얗다.S390 (이중성, 7.77, 7.86등급, 6.5", PA216도)내가 좋아하는 비슷한 밝기의 한쌍이다. 각 거리까지 좋다. 75배 쌍방울 좋고 108배 더욱 보기 좋다. 146배에서 약간의 밝기차가 있는듯 한데 확신하기는 어렵다. 둘 다 노란 느낌의 흰색이다.26번 별 (이중성, 6.11, 9.52등급, 16", PA253도)75배 노란 느낌의 흰색 주성에 반성이 어둡긴한데 흰색 느낌이다. 본문에 반성이 8/10인치로 Lilac 색이라는데 도대체 Lilac색이 무슨 색인가 싶어 찾아 보니 연 보라색이라고 한다. -_-;; 도심에서 5인치 구경으로는 전혀 파악되지 않는다. 시골에서 SC235L이나 20인치로 확인해 봐야겠다.Σ91 (이중성, 7.43, 8.56등급, 4.4", PA314도)75배 역시 잘 분해되고 귀엽게 보인다. 108배 주 반색 모두 흰색으로 보인다.37번 별 (이중성, 5.19, 7.85등급, 48.8", PA331도)반성 상당히 멀다. 44배가 보기 적당하다. 75배에서 주 반성 모두 노란 느낌의 흰색이다.h2036 (이중성, 7.40, 7.61등급, 2.39", PA337.3도)75배에서 2.39초각이 이미 Split되어 있다. 146배가 가장 낫고 둘 다 노란색이다. 본 이중성의 궤도 데이터는 https://www.stelledoppie.it/index2.php?iddoppia=5122와 같고 1443년 주기로 1~4초각 사이로 서로를 돈다.h2043 (이중성, 6.54, 8.65등급, 5.2", PA73도)75배 무리 없이 반성이 Split된다. 108배 노란 느낌의 흰색 주성에 반성은 좀 더 옅어 흰색이다.SE 1 (이중성, 6.83, 9.06등급, 3.1", PA90도)앞의 h2043 주 반성이 조금 더 어두워 졌고 더 붙어 간다. 75배 반성 어렴풋이 느낌이 있고 108배 그 위치에서 아주 희미하게 뭔가 나온다. 146배 좀 더 잘 드러나지만 별 상으로 잘 맺혀지지 않는다. 195배가 가장 낫고 별 상으로 맺혔다 말았다 한다. 주성은 하얗다.Σ120 (이중성, 6.83, 10.00등급, 7.4", PA278도)앞의 SE 1과 비교 시 주성의 밝기는 동일하고 반성은 한 등급 어두워 졌지만 두 배 이상 멀어져 75배 어둡지만 반성이 콕 찍혀 있다. 108배 주성은 하얗다.β399 (이중성, 6.37, 8.83등급, 1.5", PA303도)주성 밝기가 비슷한 것들이 계속 등장하는데 반성들은 제각각 이고 거리도 달라 보는 맛이 다를 수 밖에 없다. 이건 더 밝아진 반성이 제법 근접했다. 75배 전혀 분해 되지 않는데 주성이 오렌지색이다. 이러면 분해능에 더 손해를 볼 수 밖에 없다. 그 이유는 아래 글에 설명한 바 있다. http://www.nightflight.or.kr/xe/inform/239862 108, 146, 195배 그리고 390배까지 순차적으로 올려 봤지만 전혀 감을 잡을 수 없다. 역시 주성의 Spectrum이 문제다. SC235L로 재 도전해 봐야겠다.h3437 (이중성, 7.41, 9.36등급, 12.1", PA246도)75배 어두운 반성이 잘 드러난다. 108배 노란 느낌의 흰색 주성에 반성은 흰색으로 보이는데 얼핏 푸른빛이 돌 때도 있다.
댓글 4
-
류혁
2021.03.12 08:45
-
최윤호
2021.03.12 10:34
도심에서 맨날 행성만 볼 수도 없고해서 이중성이도 찾아 봤는데 제법 재미가 있습니다. 류혁님도 월령이 좋지 않을때 한 번씩 고투 돌려 보십시오. 관측 결과도 공유하면 참 좋겠습니다. ^^
-
조강욱
2021.04.12 19:30
비슷한 밝기의 초롱초롱한 이중성을 좋아하신다면.. 상대적인 밝기 차이는 좀 나지만 Alpha Centauri도 취향이실듯.. ㅎㅎ
-
최윤호
2021.04.13 09:48
우리는 북반구에 살아서 그렇지만 이중성의 왕은 리길 센타우루스가 맞습니다. ㅎ
번호 | 제목 | 이름 | 조회 | 등록일 |
---|---|---|---|---|
1542 | 조강욱 | 2391 | 2024-06-07 | |
1541 | 조강욱 | 2543 | 2024-05-28 | |
1540 | 박상구 | 356 | 2024-05-10 | |
1539 | 김승희 | 2002 | 2024-03-12 | |
1538 |
2월 관측 후기
+8
![]() | 정화경 | 751 | 2024-02-20 |
1537 | 원종묵 | 769 | 2024-01-31 | |
1536 | 박상구 | 600 | 2024-01-21 | |
1535 | 정화경 | 520 | 2024-01-18 | |
1534 | 조강욱 | 2713 | 2023-11-08 | |
1533 | 정화경 | 2024 | 2023-11-04 |
정말 대단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