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측기 & 관측제안 ~☆+

  • 20141226 올해 마지막 관측기
  • 조회 수: 3708, 2014-12-31 07:32:56(2014-12-28)
  •  

    자정이후 구름 예보는 있었지만 이번 올해의 마지막 관측일것 같아  홍천으로 출동을 하였습니다.

     

    13.1" 와 베란다에 거미줄 쳐있는 se120 굴절을 함께 들고 나가보았습니다.

     

    관측의 99%를 120mm 굴절로만 사용하였습니다.

     

    관측대상은 광시야 성운들.....

     

    박상구님의 km-2 경위대를 빌려 se120에 XL40과 O3 2" 필터를 장착하였습니다.

     

    se120의 초점이 600mm니까 무려? 15배율 관측이었습니다.

     

    아이피스 시야 느낌으론 약 3도쯤 될까요....

     

    깊이 있는 관측 보다는 저배율 광시야에서 성운들이 얼마나 잘 보일지 기대감이 높아졌습니다.

     

    가급적 사진들은 Skyview에서 추출하였고 표현이 미흡한 대상들은 구글 이미지에서 가져 왔습니다.

     

     

    ic 1848 태아성운 / ic 1805 하트성운

     

    ic1805.jpg

    사진출처/Skyview

    각각 한대상씩 아이피스시야에 넣어 관측해보았습니다.

    태아보다는 하트가 비교적 잘보였고 하트를 반쪽씩 나누었을때 작은 반쪽이 훨씬 잘보였습니다.

     

     

    sh2-205 / ngc 1491

     

    Sh2-205_HaRGBk.jpg

    사진출처/http://www.starrymetalnights.at/Sh2-205.htm

    사진에 ngc1491이 밝게 보이지만 작은대상이라 그런지 15배율에는 찾아보기가 어려웠습니다.

    ngc1491은 13.1"돕으로 확인이 쉽게 되었습니다.

    sh2-205는 사진에서 하트모양으로도 보입니다. 하지만 굵은 성운기 있는 부분만 간신히 관측 할수 있었습니다.

     

    ic353/354/1995

    ic353.jpg

    사진출처/http://www.pbase.com/image/108356794

    m45플레이야데스성단 주위의 성운을 찾아 보았습니다.

    위 사진에서 잘 나타나 있는것 같습니다.

     

    ic353.jpg-.jpg

    아쉽게도 적정 관측타임을 놓쳐 플레이야데스가 서쪽 지평선 넘어갈때 관측을 하였습니다.

    ic353, ic1995, 특히 ic354는 아주 잘 보였습니다.

    이 외에도 플레이야데스 주변에는 꽤 여러줄기의 성운이 있습니다. 다음기회에 다시 시도해 보겠습니다.

     

     

    ic1449 캘리포니아성운

     

    ic1499.jpg

    사진출처/Skyview

    몇 년전에 벗고개에서 돕으로 캘리포니아성운을 관측했던적이 있었는데 작은 굴절이라 그런지 성운기를 포착하는데 꽤 많은 시간이 걸렸습니다.

    의외로 찾기가 어려웠습니다.

     

     

     

    ic443 해파리성운

     

    ic443.jpg

    사진출처/Skyview

    해파리의 진한 성운이 보이는 C자 모양이 살짝 보였습니다. 그 외 모습은 잘 드러나 보이지 않았습니다.

     

    ic405/410

     

    ic405.jpg

    사진출처/Skyview

    사진의 오른쪽 ic405는 ㄱ자 모양으로 잘 보였습니다.

    반대편 ic410은 잘 안보임.. 그다지...ㅋㅋ

     

    ngc2264

     

    2264.jpg

    사진출처/Skyview

    Cone Nebula라고 합니다. 15배율에서도 엄청나게 넓은 대상입니다. 전체적으로 뿌연 느낌입니다.

     밑에 입벌리고 있는 듯한 모습은... 글쎄요. 봤다고 하기 어려웠습니다.

     

    ngc2244 장미성운

    2244.jpg

    사진출처/Skyview

    장미성운은 15배율에서 아주 작게 보였습니다. 그렇지만 가장 잘보인 대상이었습니다.

    22배율로 올려 보니 사진의 2시방향 성운 굵기가 다른곳에 비해 더 두드러지게 잘 보였습니다.

     

    sh2-276  Barnard's Loop

    sh2-276.jpg

    사진출처/ http://www.easternvoltageresearch.com/dan/halpha_003.html

    관측대상 중 가장 넓은 영역이었습니다. 역시 표면 밝기가 매우 떨어짐을 느낄수 있었습니다.

    가운데 말머리에서 왼쪽 성운기만 그저 뭔가 뿌연정도로만 느껴집니다.

     

     

    ic2118 마귀할멈성운

    ic2118.jpg

    사진출처/Skyview

    역시 어려웠던 마귀할멈성운입니다. 한시야에 담을수 있었지만 마귀할멈코는 안보이네요...

     

    ic2177 갈매기성운

    ic2177-driz-full-660x500.jpg

    사진출처/http://www.astrokev.com/2012/02/18/ic-2177-the-seagull-nebula/

    박진우님이 기다리는 갈매기성운입니다.

    아주 잘 보이지.......않습니다.^^

    쪼려보기 꽤 해야 합니다..  날개 각도를 정확히 감잡고 시도해 보아야 합니다.

    갈매기 머리는 기대보다 밝게 보이지 않았습니다.

     

     

    켄코.jpg

    밤새 고생하고 기력이 쇠해진 se120.. 고개를 떨구고 있군요...ㅎ  

    자주 좀 애용해 줘야 겠습니다..

    오랜만에 마음이 뿌듯합니다.^^ 

댓글 20

  • Profile

    김원준

    2014.12.28 07:26

    항상 생각만 하고 실천은 못해본 관측 하셨네요ㅎ
    몇년전 80미리로 통째로본 베일성운이 아직도 눈에 선합니다
    예전 홍천에서 갈매기를 12인찌 가지고 꽤 자세하게 봤던거 같은데
    어려운 대상은 아니였던거 같습니다.
    다만 너무 커서 보기가 좀 힘들었지요
  • 김남희

    2014.12.28 07:41

    김원준님이 천문인마을에서 80mm로 베일 보여줬을때가 기억 납니다. 좋은 추억의 관측이었습니다.

    정말 좋은 하늘 만날때는 가끔 한 번씩 이용해 줘야 할것 같습니다.^^

     

  • 반형준

    2014.12.28 07:48

    어우... 전 조금더 안구훈련을 해야할듯 합니다... 장미랑 갈메기만 조금 느껴지고 다른 것들은 확인하기 어려웠어요
  • 김남희

    2014.12.29 03:46

    눈에 힘 쫌만 더주면 잘 보일겁니다.ㅎㅎ 관측지에서 또 뵙지요. 반가웠습니다. 총각때 많이 많이 즐기세요.^^

  • Profile

    김태환

    2014.12.28 19:08

    잘 다녀 오셨어요? 전 이번 12월에는 제대로된 관측 한번 못해서요... 남은 한해 잘 마무리 하시길 기원합니다.
  • 김남희

    2014.12.29 03:52

    감사해요.^^  예진이가 1월14일 과학관 캠프 오전 10시까지 입소합니다.  그리고 나서 점심,저녁까지 대전서 먹을 계획입니다.ㅋㅋ

  • Profile

    김태환

    2014.12.29 18:09

    오호~ 좋군요... 점심 저녁 제가 다 책임져 드리겠습니다... 다른 일정이 없으시다면요... ^^

  • Profile

    박상구

    2014.12.28 22:31

    하트와 갈매기가 인상적이었습니다. ic405였던가요 그것도 잘 보였던 것 같습니다.
    ^^ 덕분에 평소에 도전해볼 생각도 못했던 것들을 잘 볼 수 있었네요. 아주 즐거운 관측이었습니다!
  • 김남희

    2014.12.29 03:55

    ic405가 ㄱ자모양이라 써놨는데..무슨 갈구리같기도 하구요...ㅎㅎ 그 날 못봤던 대상 몇개 더 17일에 도전해 보지요..^^

  • 정기양

    2014.12.29 08:33

    멋진 관측하고 오셨다니 축하 드립니다.
    17일에는제가 굴절밖에 없을테니 그 때 위 대상들에 도전해 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김남희

    2014.12.29 20:08

    정선생님..관측내용을 공유해 주셔서 감사해요..  17일 명품굴절로 눈동냥 하겠습니다.^^

    돕 빨리 작업해야하는데요..최대한 빨리 연락 드리겠습니다.^^

  • 김재곤

    2014.12.30 03:39

    선생님 저도 눈동냥 줄 섭니다.
  • 김민회

    2014.12.30 01:09

    갈매기.해파리.장미.LEO 1,하트 보여 주셔 감사합니다. 어린 발 녹일 수 있는 공간과 더우기, 좋은 사람들과 부담없는 금요일 관측 최고였습니다.
  • 김남희

    2014.12.30 06:34

    이 날 관측은 참 특별했습니다. 하늘이 좋아 관측도 잘했고 새벽에 얘기 보따리를 안주 삼아 마신 차미슬도  좋았고 따뜻한 방에서 잠도 푹자고 말이죠...ㅎㅎ

    더도 덜도 말고 한달에 한번씩만 가면 좋겠습니다.^^

  • 김철규

    2014.12.30 03:50

    신품의 성능이 대단한거 같습니다. ^^ 성운의 디테일은 저에게 너무 어렵더군요. 관측기 잘 봤습니다.
  • 김남희

    2014.12.30 06:37

    신품이요??  아주 오래된 구품으로 관측했습니다.^^  저는 성운이나 암흑대가 재미있는거 같습니다.

    아이피스 호핑으로 노가다하는 그 맛... 안시의 참 즐거움이지요..^^

  • 박진우

    2014.12.30 04:40

    성운 보려고 저배율 아이피스와 필터를 검색 해봤는데...
    당분간 은하나 봐야겠습니다ㅜㅜ
  • 김남희

    2014.12.30 06:40

    뭐 천천히 때가 되면 즐겨보세요... 은하보다가 성운 보다가 성단 보다가... 지구가 돌듯.. 돌고 돌며 보면 되지요..^^

  • 조강욱

    2014.12.30 20:42

    작은 것으로 아주 큰 것을 보셨군요 ㅎ
    관측의 깊이도 넓이도 멋진 하루였네요.. ^^*
  • 김남희

    2014.12.31 07:32

    어디갔다 인제 오셨나요??  연말 마지막 피치를 뱅뱅사거리 인근에서 올리고 있는건지요? ㅎㅎ

    베란다에서 먼지 쌓였던 장비 그동안 별빛 못쬐던거 몰아서 심하게 굴렸지요..

    아...수린아빠님이 생각나는군요.ㅎㅎ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이름 조회  등록일 
7 김경식 28129 2002-09-10
6 최형주 25492 2002-09-09
5 최형주 34573 2002-09-09
4 이민정 30415 2002-09-09
3 이민정 25982 2002-09-09
2 김경식 34388 2002-09-07
1 이현동 70163 2002-07-3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