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측기 & 관측제안 ~☆+
-
달 관측
-
김병수조회 수: 13740, 2012-05-01 20:00:27(2012-05-01)
-
딥 스카이가 더 좋고 가슴뛰지만
자주 볼 수 없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하지만 달관측은 맘만 먹으면 비교적 쉽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요.
퀴즈 하나 내겠습니다.
아래 사진에서 보이는 크레이터의 이름은?
댓글 4
-
김병수
2012.05.01 00:40
-
최형주
2012.05.01 04:56
아르키메데스 입니다 만, 달 착륙선이나 인공위성에서 찍은 각도같은데
뭘로 찍었담니까?
-
김병수
2012.05.01 19:07
최선생님, 너무 쉽게 맞춰 버리시는 군요...ㅎㅎ
담에는 좀 더 난이도 있는 문제로 모시겠습니다.
일본의 달탐사선 카구야가 저궤도로 돌면서 찍은 사진입니다. -
김병수
2012.05.01 20:00
위 사진은 카구야가 북에서 남으로 가면서 찍은 것입니다. 사진 왼쪽이 Mare Crisium방향, 즉 월면도상 동쪽입니다. 일반적인 반사망원경에서 좌우가 바뀌었다고 보면 됩니다.
요기까지 힌트를 드리려고 했는데 최선생님이 그냥 맞춰 버리셨네요...
좀 설명을 드리자면,
주변이 편평한 것으로 보아 Mare안에 있는 크레이터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Mare안에 동떨어져 있는 큰 크레이터는 그리 많지 않습니다. (열개도 안됩니다.)
게다가 크레이터 안에 central peak가 없이 lava로 차 있습니다.
그래서 Copernicus나 Kepler, Aristarchus, Eratosthenes 등등은 아닌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냥 쉽게 생각해서 출제자가 어제 월령에서 보이는 크레이터를 문제냈을 것이라고 짐작하면(ㅎㅎ) 답은 하나...Archimedes입니다.
참고로 사진에서 오른쪽 가깝게 보이는 낮은 산맥이 Montes Spitzbergen입니다.
뒤로 멀리 왼쪽으로 보이는 산맥은 Montes Apenninus입니다.
번호 | 제목 | 이름 | 조회 | 등록일 |
---|---|---|---|---|
552 | 김남희 | 18612 | 2012-05-25 | |
551 | 강경원 | 14261 | 2012-05-25 | |
550 |
부분일식
+4
![]() | 김병수 | 19858 | 2012-05-21 |
549 | 이한솔 | 16190 | 2012-05-21 | |
548 | 조강욱 | 12946 | 2012-05-09 | |
547 | 윤석호 | 15885 | 2012-05-09 | |
546 | 김남희 | 12701 | 2012-05-04 | |
⇒ |
달 관측
+4
![]() | 김병수 | 13740 | 2012-05-01 |
544 | 이욱재 | 11362 | 2012-04-30 | |
543 | 김남희 | 12600 | 2012-04-28 |
아까 문제는 Plato 맞고요.
컴미숙으로 인해 답을 노출하는 실수를 했습니다.
새로 문제 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