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AXIS Equatorial Platform 제작기.
-
장용호/식탐식탐0181조회 수: 73, 2025-04-07 21:26:17(2025-04-04)
-
시작은 제가 수동 12인치 gso 돕소니안을 사용하고 4mm tmb 아이피스로 목성을 봤을 때 생각했었습니다.
너무 빨리 지나가서 제대로 볼 수가 없다고 판단하고 고투 제품을 구할 수 있는 여건이 안되다보니
여러가지 자료를 보면서 자연스레 eq platform을 알게 되었습니다.
별하늘지기의 고영해님의 글을 처음보고 뭔말이야? 했던 생각이 납니다.
그리고 고영해님의 글에서 이현동님의 글 링크를 보고 야간비행에 작성하신 eq platform 제작기를
계속 정독하면서 이해해 보기 시작했습니다.
다만 삼각함수 부분에서 예전에 수포자였던 제가 왜 수포자 였는지를 다시 한 번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고
vns방식에서 벗어나 cs방식으로 변경하게 되었습니다.
그래도 첫번째는 VNS방식이지만 삼각함수가 빠진 원형에서 그대로 만든작품이었습니다.
최대 8초 노출이 한계였습니다.^^;;
기본 자료는 이현동님의 자료가 워낙 훌륭하다보니 더 적지는 않을 생각입니다.
다만 이현동님의 링크를 남겨서 빠르게 보실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https://www.nightflight.or.kr/xe/atm/225217
22년 12월에 eq platform을 만들겠다고 계획을 잡고
25년3월에야 쓸만하게 만들게 되었습니다.
23년도 처음에는 고영해님과 같은 방식으로 만들었고
워낙 허접했지만 8초간의 노출로 촬영도 가능하였었습니다.
아래 링크는 첫 eqplatform의 작동 영상입니다.
별을 얼마나 추적하는지 실시간 라이브영상을 집에서 촬영했습니다.
사용하다보니 작동소음이 너무 시끄러웠고 개선작업을 했고
사진 촬영도 하고 싶어서 흐린밤을 조사하다가
2axis eq platform이 있다는 이야기를 읽고 사진을 보고
고민하고 여러 방법으로 만들어 보고 현재에 이르러서 완성하게 되었습니다.
솔직히 3년간의 기록이라 여기에 다 올리지는 못하고 별하늘지기에서
식탐식탐0181를 검색하시면 과정을 보실 수 있으십니다.
여기서는 현재 완성된 버젼만 올리겠습니다.
첫번째 문제였던 소음은 지금의 거의 0에 수렴합니다.
문서를 작성하는 지금 노트북 바로 옆에서 작동시키고 있지만
전혀 들리지 않고 스텝모터로 인한 진동도 젼혀 없습니다.
모터 뒤의 브라켓이 없어도 스텝모터가 혼자 돌지도 않습니다.
단지 손으로 원상복귀를 시키면 그땐 모터가 돌기 때문에 장착했고
모터뒤 방열판은 모터를 이전에 24v로 작동시키는 실험을 했던 모터를
재사용하는거라 떨어지지 않아서 그냥 사용해서 붙어있는것 입니다.
첫번째는 현재 차에 실려있고 이건 두번째 작품입니다.
첫번째와 다른점은 유성 스테인으로 칠했다 입니다.
첫번째는 수성스테인으로 칠했습니다.
목재에 관해서도 좀 무지 했기에 다양하게 칠해본다고
다시 만들어 본 것입니다.
무게는 대충100kg은 견딥니다.
제가 110kg인데 올라가도 잘 작동합니다.
그리고 옆의 온스텝이 2축구조를 가능하게 도와줍니다.
1장에 320초까지 노출을 해보았습니다. 늘어지지않고 둥근 별상을 유지합니다만
사진파님들 처럼 떙글 하지는 않습니다.
여러번 촬영해 보니 협대역 울티메이트 넣고 1장에 120초만 해도 충분했습니다.
모터는 올라가고 내려가는 운동에서 미끄러지지 말라고 양쪽에 달았습니다.
아래 사진은 후방 모터와 후방축입니다.
후방 축이 dec입니다.
후방모터는 아래사진의 밥주걱판을 올리고 내리는 역할을 합니다.
다만 모터의 힘이 몇킬로까지 버티는지는 정확한 측정을 해보지 않았습니다.
일단 12인치 자작 돕에 무게추까지 대략 50kg은 쉽게 들어 올립니다.
그리고 바로 회전판을 두어 돕의 높이도 낮추는 효과를 주었습니다.
https://youtu.be/_gh7vchFTAw?si=FqX--nrcRjwW2pdb
위의 링크는 정상속도에서 48배속으로 작동시키는 영상입니다.
48배속으로 작동시킬때는 스텝모터가 감속기를 장착한 상태에서 엄청 빠르게 움직여야 하기에
소음이 발생합니다.
그러나 평소에는 소음이 0에 가깝습니다.
원위치시키는데 대략 1분정도 소요됩니다.
각은 22도정도 대략 1시간 30분정도 사용가능합니다.
모든 작동은 핸드폰 앱 또는 와이파이 링크 연결로
무선 작동이 가능합니다.
사진의 스텝퍼 디그리로 기본속도를 조정하며
온스텝의 마이크로스텝드라이버를교체하고
전류를 증가시켜 토크를 높입니다.
위의 방향키로 E는 원위치시키는 키이며
300배~600배의 상으로 행성을 볼 때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이 가능하게 도와주는 버튼입니다.
가이드레이트를 4또는 8로 변경하고 미세조정합니다. 상하좌우로 미세하게 이동시킬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아래 프리퀀시 어드져스트로 미세하게 기본 속도를 조정 할 수 있습니다.
극축을 아무리 잘 맞추어도 북쪽과 남쪽은 별이 움직이는 속도의 차이가 납니다.
그래서 이것으로 그 갭을 없애줍니다.
0.02HZ라서 엄청나게 눌러야 하지만 아두이노프로그램으로 이것도 기본 속도를 조정 할 수 있습니다.
사진 중앙의 0.02를 0.5정도로 수정하여 속도를 조정 할 수 있습니다.
50번 누를거 10번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다만 그러면 더 미세하게 조정이 안되므로 그냥 두었습니다.
프로그램쪽으로도 전 아무것도 몰라서 도움을 많이 받았습니다.
위의 내용은 EZT ASTRO님께서 알려주시고 도움을 많이 주셨었습니다.
이렇게 하고 12인치 수동돕소니안과 자작 2AXIS EQ PLATFORM과
샤프켑프로그램과 기타 다른 장비들을 결합해서
촬영에 성공했고
아래와 같은 사진을 얻었습니다.
도움을 주셨던 모든 분들께 다시 한 번 감사 인사 드립니다.^^
2022년 12월부터 2025년 03월까지의 여정이 마무리 되었습니다.^^
- 스크린샷 2025-04-04 224649.png(288.6KB/4)
- 스크린샷 2025-04-04 225715.png(682.9KB/5)
- 스크린샷 2025-04-04 230652.png(410.7KB/6)
- 스크린샷 2025-04-04 230820.png(577.5KB/2)
- 스크린샷 2025-04-04 231516.png(72.5KB/5)
- 스크린샷 2025-04-04 231730.png(107.2KB/5)
- 스크린샷 2025-04-04 232324.png(141.5KB/4)
- KakaoTalk_20250404_232833847.jpg(435.1KB/3)
- KakaoTalk_20250404_233117953.jpg(93.8KB/6)
- KakaoTalk_20250404_233117953_01.jpg(525.5KB/4)
- KakaoTalk_20250404_233117953_02.jpg(284.3KB/4)
- KakaoTalk_20250404_233117953_03.jpg(485.8KB/4)
- KakaoTalk_20250404_233117953_04.jpg(441.8KB/5)
- KakaoTalk_20250404_233117953_05.jpg(313.8KB/3)
- KakaoTalk_20250404_233117953_06.jpg(520.0KB/5)
- KakaoTalk_20250404_233117953_07.jpg(280.4KB/2)
- KakaoTalk_20250404_233117953_08.jpg(320.3KB/6)
번호 | 제목 | 이름 | 조회 | 등록일 |
---|---|---|---|---|
6 | 윤용일 | 20221 | 2002-08-29 | |
5 | 윤용일 | 17937 | 2002-08-29 | |
4 | 윤용일 | 25429 | 2002-08-29 | |
3 | 김도현 | 33696 | 2002-08-06 | |
2 | 이현동 | 18914 | 2002-07-31 | |
1 |
테스트
+1
| 이현동 | 20402 | 2002-07-26 |
다만 전자기쪽은 꽝이라, 잠시 생각만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