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스케치/사진 ~☆+
-
[M27] 별보기는 감질맛 [스케치]
-
조회 수: 12909, 2016-10-23 14:43:34(2016-10-23)
-
먹다버린 사과.아령성운이란 공식 별칭보다훨씬 먼저 사과라는 이름과 친해지게 되었다하긴 웨이트 트레이닝보단 맛있는 사과가 낫지!그리고, 구경을 키우거나 OⅢ 필터를 사용하면이젠 더 이상 먹다버린 사과가 아니다.먹기 전의 사과라고 하기엔 너무 타원형이고..먹다버린 사과 뒤에 럭비공이 하나 놓여 있는 형상이라 하는게가장 비슷한 설명일 것이다2010년에 처음 호주로 천체관측 원정을 다녀오고그 꿈같은 여운에.. 시시한(?) 한국 별들은 쳐다도 안 보고 방황하다가두 달을 별을 보지 않으니 다시 배가 고파져서홍천에 가서 M27을 보았다[ M27 - 홍천 괘석리, 검은 종이에 파스텔과 젤리펜으로 조강욱 (2010) ](Dumbell은 Dumbbell의 오타.. ㅠ_ㅠ)스케치를 하다 보니, 먹다버린 사과 본체도 균일한 색이 아니라 얼룩덜룩하다Dark patch까지는 아니지만 음영의 차이가 있는 것은 명확하다그리고 럭비공 표면과 성운 주변의 잔잔한 별들이 참 예쁜 대상이다집에 와서 사진을 놓고 대조해 보니....유심히 뜯어 보았던 성운 표면의 얼룩도,공들여 찍었던 별들도 모두 사진과 일치한다혹자는 성운 스케치를 할 때,성운과 관계 없는 배경 별들을 왜 그렇게 열심히 찍냐고 하기도 하는데..내가 100%의 정성으로 찍은 별들이 실제 성도와 정확히 맞는 것을 볼 때의 만족감은아마 그 정성을 들여보지 않은 사람은 알기 어려울지도 모른다그리고 마지막으로,27번의 숨은 재미는럭비공 위의 희미한 별을 찾아 보는 것이다성운 뒤에 숨어서, 혹여 들킬까봐 숨을 할딱이고 있는그 작은 별을 찾아보는 맛.누가 그랬더라?별보기의 참맛은 감질맛이라고.Nightwid 無雲
조회 등록일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