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스케치/사진 ~☆+

  • [30日] 사라져야 볼 수 있는 것 [스케치]
  • 조회 수: 7161, 2015-08-25 09:54:53(2015-08-23)


  • '개기일식을 보고 나면 인생이 바뀐다'


    별을 갈망하는 것 자체가 내 인생이긴 하지만


    그 중에도 개기일식은 내 삶에 대한 가치관마저 송두리째 바꾸어 놓았다



    그리고 개기일식은 내 일생의 해외여행 계획을 모조리 정해 주었다


    내가 죽는 그 날까지 말이다



    2009년 중국 항저우




    2012년 봄의 일본 도쿄


    SAM_4297.JPG 



    그해 가을 호주 케언즈


    121114_063213_00998.JPG 



    그 사이 2010년 이스터섬은 너무 멀어서,


    2013년 케냐는 날씨와 치안과 이동의 압박으로 포기..



    2015년의 북극 개기일식은.. 거의 미친짓, 도박이나 다름없었다


    (북극 원정은 이미 연재글로 10편이나 떠들었으니 자세한 얘기는 생략한다)



    그 모든 역경을 극복하고 북극의 빙산 위에서


    인생 최고로 완벽한 개기일식을 만나는 순간..


    나는 흔한 탄성 한마디 지르지 못했다



    그냥 두 손을 높이 들고 다이아몬드링을 맞이하고


    눈밭에 무릎을 꿇고 앉아서


    경건한 마음으로 검은 태양에 집중했다


      



    완벽한 개기일식을 보고 나면,


    나도 남들처럼 완벽한 그림을 남길 수 있을줄 알았다



    2009년 인도 갠지스 강가에서 연필로 다이아몬드링을 그린 경싟형님이나


    [ 갠지스 강가의 개기일식, 흰 종이에 연필 - 김경싟 (2009) ]


    식.jpg



    2012년 호주 북부에서 개기일식 스케치를 남긴 Vieillard처럼 말이다


    [ 케언즈에서 ‘멀리’ 떨어진 호주 북부 어딘가, 흰 종이에 연필 - Serge Vieillard (2012) ]


    Serge_Vieillard.jpg




    2009년 항저우에서는 내가 천체스케치를 하기 전이었고,




    2012년 봄 도쿄에서는 그림을 남기긴 했으나 금환일식이었고


    [ Eclipse & Sky Tree, 검은 종이에 색연필 - 도쿄 / 조강욱 (2012) ] 


    eclipse.jpg



    2012년 가을 케언즈에는 좋은 종이와 각종 그림 도구를 가져갔으나


    귀국하여 얼마 뒤.. 일식을 망친 트라우마가 곱씹을수록 깊어져서 


    그리다 만 그림은 어느날 갈기갈기 찢어서 분리수거함에다 버렸다


    (너무 좋은 종이를 썼더니 잘 찢어지지도 않았다)




    그런데,


    북극에서 기적적인 파란 하늘을 만나 설산 중턱에서 완벽한 개기일식을 만났는데도


    뭘 어떻게 그려야 할지 전혀 영감이 떠오르질 않는다


    겨우 감질나게 2분 정도 본 것을 그림으로 표현하기는 아직은 내공이 많이 부족한가보다



    그 대신에,


    태양 말고 달에 집중해서 그림을 남겨 보기로 했다


    나는 월령 29일의 D-1 그믐달보다 훨씬 보기 힘든 월령 30일의 달,


    그믐달도 초승달도 아닌 이름조차 주어지지 않은 달을 본 것이다


    보이지 않으니 이름이 있을 수 없겠지 (굳이 따지자면 '삭'이다)



    세상 60억 인구 중에 개기일식을 본 사람이 얼마나 될까?


    그리고 그들 중 태양이 아닌 달을 느껴본 사람은 얼마나 될까....


    그런 생각을 하며 폰으로 완전한 구형의 달 그림자를 그리고 있으려니


    완벽한 개기일식을 표현하지 못한 아쉬움은 북극의 빙산 녹듯 사라져 버렸다



    [ 북극의 기적, 갤럭시노트4에 터치펜 - 조강욱 作 (2015) ]

     

    북극의 기적.png  



    내가 보통 성단 하나 스케치 하는데 집중하면 한 시간 정도 걸리는데..


    개기일식 한 번에 평균 2.5분을 볼 수 있으니, 24번만 개기일식을 보면


    내 눈으로 머리로 가슴으로 1시간은 그 빛을 축적한 것이니


    원하는 정도의 그림을 그릴 수 있지 않을까?



    근데 1.5년 정도마다 개기일식이 한 번 있으니.. 앞으로 안 빼먹고 본다 해도 36년,


    내가 70대가 되어서야 가능한 일이네..


    몸건강 눈건강 관리해야지..  =_=



    생각해보니 그걸 뭘 그렇게 똑같이 그리려 애쓸 필요가 있을까 싶기도 하다


    똑같지는 않아도 잘 찍은 사진과 동영상을 보며 그 날의 기억을 되새길 수는 있으니 말이야


    북극에서 일식을 보기 며칠 전에 스웨덴에서 보았던 엄청난 오로라도 결국 관측 스케치를 남기는 것을 포기했다



    [ 김동훈作, 폭풍의 하늘 ]

    anigif_150318_001358_S.gif



    이걸 대체 어떻게 그리나?


    특히 순간적으로 몰아치는 오로라 폭풍이 휩쓸 때는 그냥 눈으로 멍하니 그것을 지켜보는 것 외에는


    아무것도 하고 싶지 않았다


    격렬하게.jpg 


    대신 다음날, 머릿속에 남아 있는 잔상만을 가지고


    침대에 누워서 내맘대로 그 폭풍의 느낌을 그려 보았다



    [ 스톰의 절정, 갤럭시노트4에 터치펜 - 스웨덴 / 조강욱 (2015) ]


    150315 스톰의 절정.png 


    언젠가는 개기일식의 결정적 순간도


    내가 느낀 것을 만족할 만큼 표현할 순간이 올 것이라 기대한다.


    그때까진,


    몸건강 눈건강....



    이제는 나도 누군가에게 자신있게 말할 수 있다


    개기일식이 당신의 인생도 바꾸어 놓을 수 있다는 것을.





                                                                Nightwid 無雲



댓글 2

  • Profile

    장형석

    2015.08.25 01:08

    북극의 기적? 이라는 빨간 달은...
    웬지
    반지의 제왕에 나오는 사우론의 눈이 생각나는군요.. ㅎㅎ
  • 조강욱

    2015.08.25 09:54

    사우론의 눈이 되려면 중심성이 있어야.. ㅎㅎㅎ

위지윅 사용
  조회  등록일 
thumbnail
  • 이동근 조회 수: 141
  • 스케치
  •  여든 번째, 여든한 번째 스케치(M74, M77) 지난 8월 30일 18“ 남스 엔 락우드 돕소니안(Nam’s & Lockwood Dobsonian)을 맞은 지 세 달, 마지막 스케치 글을 올린 것이 다섯 달 전이다. 그동안 우기를 지냈고 8월에 몽고원정과 18인치 돕을 받아 세팅 하고, 천문지도...
2024-12-05 12:00:55 / 2024-11-28
thumbnail
  • 이동근 조회 수: 226
  • 일반
  •       예순다섯 번째에서 예순일곱 번째 스케치(M92, M104, M16)      지난 4월에 조경철 천문대와 인제에서의 스케치를 여러 가지 일정에 밀려 이제야 정리하려니 기억이 가물가물하다.         예순다섯 번째 스케치 (M92, NGC6341)   4월 6일, 오랜만에 조경철 천문...
2024-05-02 01:58:12 / 2024-05-02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311
  • 일반
  • 1분여의 개기일식이 끝났는데, 너무 심각하게 강렬한 광경에 충격을 받아서 그랬는지 기억이 하나도 나지 않았다 ㅎㅎ 그래서.. 몇 달을 곰곰이 생각하며 뇌세포들을 하나씩 취조해서 겨우 기억을 완성해 보았다 이게 정말 맞는 기억인지,  다른 사람의 사진들까지 기억...
2023-07-29 11:50:02 / 2023-07-29
thumbnail
  • 이동근 조회 수: 358
  • 스케치
  • 쉰여덟 번째에서 예순두 번째 스케치(M106, M109, M94, M51, M64)        3월 1일, 원주에서 전날부터의 1박 2일 일정을 끝내고 달 뜨기 전까지만 보다 가자 하고 바로 홍천으로 갔다. 다른 분들은 모두 석모도로 가시거나 바빠서 못 오시는데 오늘은 혼자 보겠구나 생각...
2024-03-23 15:04:12 / 2024-03-14
thumbnail
2024-05-21 16:51:04 / 2024-05-21
thumbnail
  • 이동근 조회 수: 367
  • 스케치
  • 예순세 번째 예순네 번째 스케치(M65, M66) 3월 14일, 평일이지만 아마도 3월의 마지막 관측이 되지 않을까 하여 몇 분과 마침 시간이 맞아 홍천으로 향했다. 하늘은 구름 한 점 없는데 조금 아쉽다. 하지만 10인치 돕으로, 마음 비우고 그리는 메시에 스케치는 그리 문...
2024-03-25 22:29:21 / 2024-03-25
thumbnail
2024-03-23 15:08:35 / 2024-02-22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65
  • 일반
  • #1. 지구조 동네 산책길에 눈부신 지구조가 보였다. 찬란한 금성과 함께..  가던 길을 멈추고 자동으로 폰을 꺼내서 그림을 한 장 그렸다.  록다운과 구름으로 딥스카이 관측을 못한지 3개월이 되었다.  27년 별쟁이 생활 이래로 최장 기록이다.  태양계 아이들을 찝적대...
2021-10-13 20:51:57 / 2021-10-13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72
  • 일반
  • 오늘은 개기월식이 있는 날..이지만 아래 지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남의 잔치일 뿐 그런데 뉴질랜드에서는 그 끝자락에.. 부분월식을 볼 수 있을 것 같다 회사 퇴근시간 땡 하자마자 황급히 집으로.. 동쪽 하늘이 보이는 내 방 창가에 월출 직전에 자리를 잡았다. ​ 그러...
2022-05-16 21:00:27 / 2022-05-16
thumbnail
  • 이동근 조회 수: 472
  • 스케치
  • 지난번에 이어 이번에도 카시오페이아 근처의 천체를 스케치하게 되었다. 내가 다닌 관측지에서 가장 잘 보이는 방향 및 고도였던 것도 같다. 이번 스케치는 세 번의 시도 끝에 완성되었지만 만족하지 못한 결과를 보여 준다. 관측지의 하늘과 집중의 문제라 생각해 본다...
2024-03-23 15:10:43 Joseph / 2024-01-28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86
  • 일반
  • 한 달에 한 번 찾아오는 기회가 있다. 비너스벨트 안에 달이 걸리는 순간. 일몰 직후 비너스벨트가 올라오고 거기에 달이 있어야 하는데.. 경험적으로 보름달 하루 전날이 딱 맞는 타이밍이 된다 ​ 보름이면 날이 맑아지는 과학적 원리(?)에 따라 요즘 계속 날씨가 좋은...
2022-01-18 08:49:23 / 2022-01-18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497
  • 스케치
  • 늦은 밤, 내 방에 앉아 창 밖을 바라보니 구름 사이로 보름달이 보인다. 그리고 오렌지빛으로 빛나는 달무리를 보니 간만에 달그림이 그리고 싶어졌다 ​ 방에 불을 모두 끄고, 창문 앞에 앉아 낮은 책상 위에 태블릿을 올려놓고 달을 화면 안에 담아보았다 ​ 달과 하늘과...
2023-12-02 19:09:52 / 2023-12-02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540
  • 일반
  • 11월 초가 되면 뉴질랜드 전역이 폭죽 소리에 시끄러워진다 Guy Fawkes Day라고 연간 딱 한번 불꽃놀이를 마음대로 해도 되는 날이다. 한강 불꽃축제에 단련된 한국인으로서는  여기저기서 개인들이 쏘아 올리는 소리만 큰 조그만 불꽃들은 그저 시시할 뿐이지만.. 산책 ...
2021-11-30 19:16:07 / 2021-11-30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701
  • 스케치
  • 개기일식에 태양 망원경을 가져갈까 말까 마지막까지 망설였다 이 무거운 걸 2시간 쓰겠다고 그 멀리까지? 그러나 그 2시간은 내가 태양망경을 들인 이후 가장 가치있는 시간이었다. ​ 일식중 내내 최대한의 정성으로 태블릿으로 태양을 그리고, 돌아오는 비행기 안에서...
2023-07-11 05:16:54 / 2023-05-14
thumbnail
  • 김승희 조회 수: 844
  • 스케치
  • 뒤져보니 9행성 기록이 있어서 모아봅니다. 업데이트가 필요한 놈들도 있네요... 다음 도장깨기는 "Alpha Centauri C" ☆수성 2020.11 화천 다음엔 스케치로... ☆금성 2017.05 평창 새벽의 샛별 ☆지구 2020.03 강화 별보러 갔다 구름보고 온 날 ☆화성 2018.10 홍천 V Cent...
2021-09-15 07:13:59 조강욱 / 2021-09-14
no image
  • 조강욱 조회 수: 846
  • 스케치
  • 남반구에서는 요즘 목성과 토성이 천정에 남중하고 있다 ​ 얼마전까지만 해도 새벽 하늘에 함께 하던 화성은 저 멀리 떠나가고, ​ 목성과 토성만 이른 저녁부터 밤하늘을 빛낸다 ​ 토성 간극이 대체 무엇인지 궁금해서 한참을 파 보았던 몇달 전 이후로 처음 토성을 겨...
2020-08-24 03:36:36 / 2020-08-24
thumbnail
  • 천세환 조회 수: 857
  • 스케치
  •  안녕하세요? 천세환입니다.   얼마전 우연한 기회로 다카하시 TSA120을 중고로 구입했고, 이 무거운 경통을 안정적으로 운용하기 위해 삼각대와 경위대를 추가로 구입... ;;;;  뭘 할지 고민하던 중, 최윤호 님의 사냥개자리 이중성 관측기 http://www.nightflight.or.k...
2021-03-12 22:28:59 최윤호 / 2021-03-10
thumbnail
  • 이현동 조회 수: 909
  • 사진
  • 오늘 못보면 10년 후나 볼 수 있다 그래서 아이하고 집앞 공원에 나가서 필터끼고 어포컬 한장 잡아보았습니다. 손이 많이 떨려서 대부분의 사진은 날려먹고 그나마 괜찮아 보이는 것 한 장 올려봅니다. 천체사진은 거의 안찍어봐서,,, 그냥 인증 샷으로 봐주심 될 듯 ...
2020-06-22 03:20:18 / 2020-06-22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016
  • 일반
  • 울집 침실 창문은 서쪽 방향이다. 일요일 이른 아침에 눈을 뜨니 콤비 블라인드 맨 윗칸에 달이 걸려 있다. 그 모습이 나름 인상적이라 잠결에 한장 그리고 다시 잠이 들었는데.. 다시 눈을 뜨니 달은 그 다음 칸으로 내려왔다. 전혀 다른 색으로.. 매 시 정각에 다른 ...
2020-04-14 07:14:11 / 2020-04-14
thumbnail
  • 조강욱 조회 수: 1043
  • 일반
  • 퇴근하고 소파에 앉아 뒷마당을 바라보니 쟁반보다 더 큰 달이 하늘에 덩그러니. 달빛에 구름마저 빛나고, 왼편으로는 가로등불이, 오른편으로는 앞집의 창이 밝다. 우리집 정원 펜스에는 태양열 전구가 은은하게 빛난다. 사진을 찍어봤으나 도저히 표현이 안되어 터치...
2020-04-09 07:05:55 조강욱 / 2020-04-0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