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측기 & 관측제안 ~☆+
-
[re] 20111125 Running Man in Andromeda
-
김남희조회 수: 12195, 2011-11-30 06:55:08(2011-11-30)
-
안드로메다 안의 Running Man 관측을 위한 방법을 소개합니다.
지극히 주관적인 방법입니다.
1~4 단계로 순서를 나누어 봤습니다.
1. 좋은 하늘을 만나면 쉽게 볼 수 있는 암흑대입니다.
2. 이 암흑대도 잠시 쳐다보면 금방 확인이 가능합니다.
**1,2단계는 Running Man 으로 가기 위한 전초전으로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3. m32 를 기준으로 바로 옆 약 6.5등급대의 별을 따라 곡선을 그리면 찌그러진 T자 모양의 별무리를 쉽게 발견 할 수 있습니다.
전갈자리 머리모양과 흡사하기도 합니다.
이 별무리의 바로 위에 콧수염 모양의 암흑대를 찾아 봅니다. (경싟님은 바로 보인다고 하셨습니다.)
4. Running Man의 팔모양 암흑대가 진땀을 빼내게 합니다.
제 생각으로는 암흑대를 먼저 보려 하지말고 암흑대 위 아래의 이중성, 삼중성을 찾는게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그 다음은 이중, 삼중성의 사이에 암흑대 위치를 예상하며 생 노가다 모드로 들어 가시면 성공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팔 모양 암흑대를 찾았다는 느낌이 들고서 눈 몇 번 깜빡거리면 팔모양이 감쪽같이 사라집니다.
숨바꼭질 몇 번 하실수도 있습니다.
봐도 봐도 도망가는 Running Man 관측에 성공하시길 바랍니다.
댓글 5
-
박한규
2011.11.30 19:45
-
김남희
2011.12.01 03:35
한규님 저는 하늘 깨끗함을 수치로 계산하는 것, 몇 등급 까지 보이는지...
생각을 안하는 편입니다. 할 줄도 모르고요.^^
그냥 최상의 하늘을 만났다는 느낌이 들었을때 최상의 관측지에서 도전하시기 바랍니다. -
김재곤
2011.12.01 04:00
저의 귀여운 망원경으로는 넘보기 힘든 대상이네요. 좋은 장비와 좋은 하늘의 결합이 있어야 이런 관측도 가능한가 봅니다.
-
박한규
2011.12.01 10:18
남희님, 세세한 설명 고맙습니다.
그런데
최상의 하늘 + 최상의 관측지, 라 하심은 대체로 보기 힘드니 잊고 살아라는 말씀이군요.
좋은 하늘에 안드로메다가 보이면 숫하게 쳐다 보겠네요. 흑흑...볼 때 까지 놓치지 않으리라... -
조강욱
2011.12.03 01:30
[최상의 하늘 + 최상의 관측지] 에서 볼 게 얼마나 많은데.. 안드로메다를.. ㅎㅎㅎㅎ
번호 | 제목 | 이름 | 조회 | 등록일 |
---|---|---|---|---|
502 | 조강욱 | 13751 | 2011-05-15 | |
501 | 김남희 | 18027 | 2011-05-07 | |
500 | 김남희 | 11877 | 2011-05-01 | |
499 | 조강욱 | 13839 | 2011-04-10 | |
498 | 박한규 | 12403 | 2011-04-06 | |
497 | 이한솔 | 9568 | 2011-04-05 | |
496 |
별아띠 마라톤
+8
| 박한규 | 8439 | 2011-03-31 |
495 | 조강욱 | 6609 | 2011-03-27 | |
494 |
10배율의 즐거움
+5
![]() | 김남희 | 9807 | 2011-03-11 |
493 | 이욱재 | 9883 | 2011-03-07 |
그런데, 지난 금요일 정도 되는 하늘이어야 보이나요?
지난 금요일 기준으로 어느정도(몇 퍼센트) 되어야 보이나요?
대충 알아야 날씨 탓을 하고 포기하지요.
날도 안좋은데 생 노가다 하기는 무서워서...
다음에는 G76, running man을 관측해 보아야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