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측기 & 관측제안 ~☆+
-
안녕하세요;;
-
김진호조회 수: 9585, 2008-02-13 05:49:33(2008-02-13)
-
안녕하세요;
천문에 관심이 많은 중1학생입니다. -_-;;
별을 좋아하긴 하는데
왠지 생각이
' 좋아한다고 해놓고 한번 본적도 없잖아. ;'
라는 생각이 들어서.
직접 보기로 해서!!
설날에 받은 용돈으로..;
8~9만원짜리 10x50 쌍안경을
할인가로 36100원에 사서 ( -_-;; 내놓기도 부끄러운;)
오늘 관찰해보려구요.;
근데 달/화성/토성을 일단은 관측하려구요.
그래서 말인데요 '';;
일단 겨울에 볼 수 있는 별자리의 대표적인 예와
겨울의 대삼각형을 찾는 법좀 알려주세요;
아.. 우선 뭐부터 봐야하는지.. ㅠ
번호 | 제목 | 이름 | 조회 | 등록일 |
---|---|---|---|---|
1502 | 김재곤 | 2073 | 2023-02-04 | |
1501 | 최윤호 | 348 | 2023-01-31 | |
1500 | 김원준 | 2300 | 2023-01-31 | |
1499 | 정화경 | 1083 | 2023-01-30 | |
1498 | 홍대기 | 692 | 2023-01-29 | |
1497 | 최윤호 | 1621 | 2023-01-29 | |
1496 | 최윤호 | 1607 | 2023-01-14 | |
1495 | 최윤호 | 601 | 2023-01-11 | |
1494 | 최윤호 | 234 | 2022-12-28 | |
1493 | 조강욱 | 1416 | 2022-12-05 |
일단 질문에 대한 답부터...
1. 달/화성/토성을 쌍안경으로 관측하면, 달-와! 분화구가 보이네, 화성-별은 아니구나, 토성-고리가 있구나...
더 자세한 관측은 어렵습니다.
따라서 쌍안경 만의 장점(넓은 시야, 두눈으로 보는 입체감...)을 활용하는 방향으로 가셔야 할 것 같습니다.
그러다가 별자리와 관측대상 등을 더 알게되면 쌍안경만으로도 충분한 관측을 즐길 수 있을 겁니다.
2. 겨울철별자리
책을 보고 밤하늘 별과 비교해서 보시면 이해가 쉽게 될 겁니다.
현암사의 '밤하늘로 가는 길'을 추천합니다.
3. 위의 성도에서 작은개자리 '프로키온', 큰개자리 '시리우스', 오리온자리 '베델기우스'....3개의 별을 이으면
겨울철 대삼각형이 됩니다.
4. 기타...요즘은 중학교, 고등학교에도 천문동아리가 많이 있더군요. 적극 활용하십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