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측기 & 관측제안 ~☆+
-
뭘 볼까요? (관측목록 list)
-
김경식조회 수: 15383, 2003-11-25 22:22:00(2003-11-25)
-
2002.6월에 舊야간비행 게시판에 올려던 내용입니다.
지난주말 관측시 행성상성운에 Jones 목록 기호가 붙어 있는 것이 있더이다.
행성상성운으로 가니 갑자기 이상한 목록들이 다량으로 튀어나와 목록을 다시 정리할 필요성이 있을 것 같습니다.
언제 다시할지는 모르지만^^;
------------------------------------
관측을 하면서 처음 접하는 관측목록은 메시에목록(M)일 겁니다. 거기서 좀더 나가면 NGC목록이구요. 그런데 NGC를 벗어나면 수많은 관측목록을 만나게 되어 여간 혼란스럽지 않습니다. 물론 이런 관측목록들이 M, NGC목록보다 찾기 어려운 것은 아닙니다. 필요(특히 종류별로)에 따라 분류한 것이며, 중복되는 것도 많습니다.
따라서 관측은 메시에와 NGC목록으로 충분하며, 본인의 관측 기호에 따라 각 목록을 활용하시면 되겠습니다. 가장 좋은 것은 본인의 관측경험을 축적하여 자신만의 목록을 만들어 보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실제로 개인,단체별로 많은 목록들이 나와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조상호님이 NGC100선을 뽑았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즐거운 관측생활을 많이 가지시길....
1. 성운·성단·은하 등을 포함한 종합목록
M: Messier
프랑스 천문학자 샤를 메시에(Charles Messier: 1730~1817)의 110개의 deep sky objects.
NGC: New General Catalog
영국의 천문학자 J.L.E. Dreyer이 1888년에 John Herschel의 GC(General Catalog)를 확장·정리한 목록.
총 7,840개의 성운·성단이 수록되어 있음.
IC: Index Catalog
J.L.E. Dreyer가 1894년과 1908년에 NGC를 보완한 목록
총 5,386개의 성운·성단을 포함하며, 사진상으로 발견된 것들이 많아 안시로 관측하기에 어려운 대상이 많다.
Bode: Johan Elert Bode의 목록. 1779년
“Complete Catalogue of Nebulous Stars and Star Clusters"
Dun, Delta: Dunlop
James Dunlop의 남반구 deep Sky objecsts.
629개의 대상이 있으나 오류가 적지 않다.
GC: General Catalogue 1864년
William Herschel과 그의 아들 John Herschel이 2대에 걸쳐 기록한 5,097개의 성운·성단목록
이중에서 4,630개는 위 두사람이 발견
H: (William) Herschel
윌리엄 허셜의 2,500개의 deep sky objects.
8개의 하부목록으로 분류되어 있음. (ex. HⅠ.215 or H1.215, HⅧ.88 or H8.88)
h: (John) Herschel, 윌리엄 허셜의 아들인 존 허셜
2,307개의 북반구 대상(1833년)과 1,713개의 남반구 대상(1847년)을 포함.
h1~h2307, h2307~h4021
Lac: Lacaille
Abbe Nicholas Louis De la Caille(1713~1762)의 남반구 대상 목록
3개의 카데고리로 나뉘어 있으며, 각각 14개씩 총 52개 대상을 수록하고 있음.
2. 초신성 잔해(Supernova Remnants)
G: Galactic Supernova Remnant
David A. Green의 “A Catalogue of Galactic Supernova Remnants"
3. 행성상 성운(Planetary Nebulae)
PK: Perek-Kohoutek
Perek과 Kohoutek의 “Catalog of Galactic Planetary Nebulae". 1967년
Abell: Abell G.O.의 행성상성운 목록.
총 86개. 1966년
ARO: Algonquin Radio Observatory. 1971년
He2: Henize, Karl G.의 남반구 행성상성운. 1967년
4. 산광성운(Diffuse Nebulae)
Ced: S. Cederblad의 목록. “Catalog of Bright Diffuse Galactic Nebulae". 1946년
DWB: Dickel, Wendker, Bieritz
Dickel H.R. , Wendker H.J. , Bieritz J.H. 1969년
GN: Galactic Nebula
T.Neckel과 H.Vehrenberg
Gum: C.S. Gum의 목록. 남반구 HⅡ영역 대상. 1955년
LBN: Lynds, Catalogue of Bright Nebulae, 발광성운과 반사성운 포함.
Mi, M1: R. Minkowski 1946년, 발광성운
Sh2: S. Sharpless 1959년
vdB: van den Bergh 1966년, 반사성운
5. 암흑성운(Dark Nebulae)
B: Barnard
E.E. Barnard의 “Catalogue of 349 Dark Objects in the Sky"
LDN: Lynds, Catalogue of Dark Nebulae 1962년
6. 산개성단(Open Clusters)
A: Antalova
Av-Hunter: Aveni-Hunter
Bar, Bark: Barkhatova(Barkhatova, K.A.) 1958년
Bas: Basel (Basel astronomical institute)
Be: Berkeley
Bi, Biur: Biurkan (Biurakan observatory) 13개
Blanco
Bo: Bochum
Cr: Collinder (Per Collinder) 471개의 산개성단
Cz: Czernik
Do: Dolidze
DoDz: Dolidze/Dzimselejsvili
Fr: Frolov
Graff
Grasdalen
Haf: Hafner
H: Harvard
Iskudarian
K: King (Ivan R. King)
Latysev
Lynga
Mrk: Markarian
Mayer
Mel: Melotte (Philibert Jacques Melotte) Mel 1~245
Pi: Pismis 26개(24개 산개성단, 마지막 2개는 구상성단)
Ro: Roslund
Ru: Ruprecht
Ste: Stephenson
St: Stock
Tom: Tombaugh
Tr: Trumpler
Up: Upgren
vdB: van den Gergh-Waterloo
vdB-Ha: van den Bergh-Hagen (Van den Berht, S.와 Hagen, G.L.)
7. 구상성단(Globular Clusters)
Arp: Halton A. Arp 1965년
ESO
DJ: Djorgovski
HP: Haute Provence
Pal: Palomar
POSS(Palomar Observatory Sky Survey)에 의해 발견된 15개의 아주 희미한 구상성단
Ter: Terzan
Agop Terzan에 의해 발견된 11개의 구상성단(원래는 12개이나 5번과 11번이 같은 것으로 밝혀져 11개)
Ton: Tonantzintla
UKS: UK Schmidt
8. 은하(Galaxies)
Arp: Halton Arp "Atlas of Peculiar Galaxies"
AM: Arp-Madore (Halton C. Arp, Barry F. Madore)
"A Catalogue of Southern Peculiar Galaxies and Associations"
DDO: David Dunlop Observatory
GR: Gibson Reaves "Dwarf Galaxies in the Virgo Cluster"
Holm: Holmberg, 9개 은하
Mak: Markarian
MCG: Morphiological Catalogue of Galaxies
PGC: Principal Galaxies Catalogue
U, UGC: Uppsala General Catalogue of Galaxies
UGC-A, UA: Catalogue of Selected Non-UGC Galaxies
VV: Vorontsov-Velyaminov = MCG
1Z to 7Z: Zwicky
RC3: Third Reference Catalogue of Bright Galaxies
9. 은하단(Clusters of Galaxies)
Abell: G.O. Abell
"The Distribution of Rich Clusters of Galaxies" 1958년
RCG: Catalogue of Rich Clusters of Galaxies 1989년
10. 이중성, 다중성(Double and Multiple Stars)
(ADS와 Struve(Σ), Otto Struve(OΣ)가 일반적으로 쓰인다.)
ADS: Aitken Double Star Catalogue
β, Beta, BDS: Burnham (S.W. Burnham)
Σ, Sigma: Wilhelm Struve
OΣ, O Sigma: Otto Struve, Pulkovo catalogue
OΣΣ: Otto Struve, Pulkovo supplement(추가목록)
HD: Henry Draper Catalogue
Δ: J. Dunlop
Win, WNC, Winnecke
" 끝 "
번호 | 제목 | 이름 | 조회 | 등록일 |
---|---|---|---|---|
1512 | 김승희 | 321 | 2023-03-19 | |
1511 | 조강욱 | 1539 | 2023-03-11 | |
1510 | 최윤호 | 1934 | 2023-03-01 | |
1509 |
2월 관측 후기
+12
![]() | 정화경 | 202 | 2023-03-01 |
1508 |
230225 홍천관측기
+7
![]() | 김원준 | 1023 | 2023-03-01 |
1507 | 최윤호 | 494 | 2023-03-01 | |
1506 | 조강욱 | 194 | 2023-02-23 | |
1505 | 최윤호 | 1493 | 2023-02-20 | |
1504 | 조강욱 | 350 | 2023-02-06 | |
1503 | 최윤호 | 1566 | 2023-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