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측기 & 관측제안 ~☆+
-
안드로메다의 위성은하들
-
이민정조회 수: 33938, 2002-10-16 08:06:36(2002-10-16)
-
예전에 김경식씨가 올려놓으신 국부은하군 자료에서
안드로메다위성은하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고
그 중 무엇이 볼만한 것들인가 궁금해지더군요.
대충 자료를 찾아보니 위성은하가 약 8개 정도 나옵니다.
(괄호안은 표면밝기와 크기)
NGC 221 = M32 (12.5, 8.7*6.5)
NGC 205 = M110 (14.0, 21.9*11.0)
Andromeda l (15.4, 4.0*3.0)
Andromeda ll (14.1 2.0*2.0)
Andromeda lll (15.6, 2.0*2.0)
NGC 147 (14.5, 13.2*7.8)
NGC 185 (13.6, 8.0*7.0)
IC 10 (14.0, 6.3*5.1)
=============================================================
표면밝기와 크기를 M32와 M110으로 비교해 보면 나머지 은하들의 예상모습이 대략 짐작됩니다.
M110은 표면밝기가 수치적으로 낮은 비해 잘 보이는 것 같네요.
밤보석에는 안드로메다 위성은하로서 카시오페이아자리에 있는 NGC147과 185가 언급되어 있고
밝기가 표면등급(SB)이 아닌 등급(Mag V)으로 각각 9.5, 9.3등급으로 나와 있지만
요즘 중미산 동쪽하늘 높이 올라왔을때 10인치로 관측한 결과 NGC147은 볼 수 없었고,
NGC185는 은하중심이 확인안되는 뿌옇고 둥근 덩어리로 보입니다.
(보이는 모습은 크고 꽤 뚜렷함)
그러나 최선생님은 12.5인치로 NGC147이 확인된다 하시는데 제가 보기엔 있는둥...없는둥 하여 말 못하겠심.
덕초현에서 관측한다면 NGC147과 IC10은 충분히 확인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어차피 제게 은하들이란 큰 것 몇 개 빼고는 대상확인에 그치는 거니까 보이는 모습은 기대를 안하지만요.
일요일에 천망동 황인준씨의 9.25'로 M2를 보았는데, 그동안 여름 가을 밝은 구상성단에 넘 소홀히 한게 새삼 느껴졌습니다. 벌써 서쪽하늘로 다 넘어가던데..^^;
요즘 새벽 1시경이면 오리온이 훌쩍 떠오릅니다..
댓글 4
-
병호
2002.10.18 01:16
147은 덕초현에서도 매우 희미합니다. 덩치가 좀 있는 녀석이라 그런 것 같습니다. -
민정
2002.10.18 08:20
그런가요? 그럼 최선생님은 중미산에서 뭘 보신 걸까요~ M110은 크고 무지 잘 보이던데 표면밝기 14.0과 14.5의 보이고 안보이고 정도가 생각보다 큰 것 같네요. -
최형주
2002.10.18 09:58
그렇다고 않보인다고 말할수도 없어요. 뭔가 있기는 한데 너무 어두워 모양을 모르겠지만.^^; -
병호
2002.10.18 18:35
110 은 147에 비하면 상당히 밀집된 편이죠?
번호 | 제목 | 이름 | 조회 | 등록일 |
---|---|---|---|---|
1492 | 이한솔 | 1942 | 2022-12-01 | |
1491 | 조강욱 | 1252 | 2022-11-05 | |
1490 | 최윤호 | 2299 | 2022-09-25 | |
1489 | 이한솔 | 3944 | 2022-09-04 | |
1488 | 조강욱 | 2989 | 2022-08-16 | |
1487 | 최윤호 | 1737 | 2022-07-30 | |
1486 | 최윤호 | 1279 | 2022-07-15 | |
1485 |
최윤호 따라잡기
+2
![]() | 조강욱 | 1986 | 2022-07-11 |
1484 | 최윤호 | 1422 | 2022-07-08 | |
1483 | 이한솔 | 1214 | 2022-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