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12-03 관측기 입니다.
-
조회 수: 1170, 2021-12-13 08:30:52(2021-12-09)
-
일시 : 2021년 12월 03일 22시 ~ 03시
장소 : 홍천 적당히 어두운 곳
장비 : 20인치 F3 자작 돕, 파라코어 type2,독터12.5, 나글러 22mm, 루미콘 O3, 루미콘 H-beta, NPB
날씨 상태 : 영하 10도, 투명도 상, 시잉 중상, 이슬 없음
https://astrobackyard.com/ic-2118-the-witch-head-nebula-in-orion/
witch head nebula
워낙 크다보니 저배율로 봐야 되고 그러면 배경이 넘 밝아져 잘 보이지 않는...
위 사진의 밑 부분이 제일 밝고 성운 같은 느낌이 나긴함
성운이 있는 부분의 별이 밝은데 성운 느낌이 진짜 성운인지 별빛이 퍼긴건지 애매함
필터에 반응하지 않음
https://astrobackyard.com/thors-helmet/
thors helmet
이날의 베스트 위의 사진이랑 똑!같!이! 보인다.
헬멧은 물론이고 아래쪽 성운도 진하게 잘 보이고, 가운데 필라멘트 구조도 보인다.
O3에서 잘 보임
https://www.flickr.com/photos/tomwildoner/28297579189
Palomar 2
Palomar중에선 잘 보이는 대상
그냥 뿌연게 있는 느낌
http://www.astrosurf.com/cucculelli/galaxie34.html
NGC 2683, UFO Galaxy
왠만한 메시에보다 크고 밝다.
위 사진사고 거의 흡사하게 보이고, 코어 아랫쪽 암흑대도 어렴풋이 보이는듯
http://www.astrophoton.com/NGC2419.htm
ngc2419
우리 은하에 있는 구상성단 중 제일 멀리 있다고 알려져있는 대상
그냥 뿌연 솜뭉치. 그런데 15인치에서 보던것 보다 뭔가 분해가 되어 보이는 느낌.
30인치 정도면 분해가 되지 않을까?
https://www.astrobin.com/8j9orj/0/?nc=collection&nce=63
NGC 1817, NGC 1807
1807은 그저 그렇고 1817은 잔잔한 느낌
https://stellarscenes.net/object_e/ngc1514.htm
NGC 1514
하늘의 전 대상 중 O3에 가장 잘 반응하는 대상이 아닐까 싶다.
구경이 커지다보니 O3가 없어도 언뜻 보이기도 하고,
O3를 끼우면 사진과 같이 안쪽의 어두분 부분도 잘 보임
https://viewfrom.earth/past-articles/item/231-messier-1
M 1
남들은 본다는 안쪽의 필라멘트 구조를 볼려고 했는데 잘 모르겠다.
사진의 위쪽이 쫌 어두운데 아이피스 상에도 동일하게 보인다.
https://www.astrobin.com/333879/?nc=all
jones 1
사진과 비슷한 느낌, 노필터에서 제일 잘 보이는 듯?
https://www.cloudynights.com/topic/689233-the-horsehead-nebula/
horse head nebula
날씨가 좋았던 만큼 말머리도 잘 보였다.
위 사진과 흡사한 느낌
가장 좋게 보았을땐 뒷쪽 성운이 더 진하게 보였는데 그정도는 아닌듯
역시 H-beta에서 압도적으로 잘 보임
http://www.capella-observatory.com/ImageHTMLs/DiffuseNebula/NGC1555.htm
NGC 1555, Hind's Variable Nebula
가운데 붉은 별(T tauri)의 오른쪽 구름 같은 성운기가 관측 대상
T tauri 가 변광성이고 그 빛을 반사하는 성운이라 변광 성운이다.
밝기도 변하고 어두운 대상이라 검출이 쉽지 않다.
겨울만 되면 찾아보는데 이날 두 번째로 봤다.
첫 번째 보다 밝게 보였는데 그땐 15인치 였고...
별 바로 옆에 붙어 있을것 같은데 생각보다 떨어져 있다.
https://www.astrobin.com/y6jexd/0/
Bear Paw Galaxy
지금 까지 사진으로 보면서 당연히 행성상 성운인줄 알았는데 은하라니...
곰 발바닥이 선명하게 보이진 않지만 얼룩덜룩한 느낌은 있다
번호 | 제목 | 이름 | 조회 | 등록일 |
---|---|---|---|---|
1532 | 조강욱 | 1614 | 2023-10-19 | |
1531 | 조강욱 | 1605 | 2023-10-09 | |
1530 | 조강욱 | 1451 | 2023-09-06 | |
1529 | 조강욱 | 940 | 2023-09-03 | |
1528 | 조강욱 | 203 | 2023-07-29 | |
1527 | 조강욱 | 191 | 2023-07-23 | |
1526 |
5월 및 6월 관측기
+6
![]() | 정화경 | 1703 | 2023-07-03 |
1525 | 조강욱 | 184 | 2023-07-03 | |
1524 | 조강욱 | 318 | 2023-07-02 | |
1523 | 조강욱 | 231 | 2023-06-17 |
진우씨가 보여줘서 나도 드디어 Hind's Variable Nebula 봤어여. 별 주위의 반원 모양으로 정말 어둡지만 그래도 확인했네요. 이 별의 변광주기가 불규칙하다보니 그날 걸렸나봐요.
근데 Jones1이라고 나한테 이야기 해 준게., 살쾡이자리 이거 아니었남? 페가수스 자리 진짜 jones1도 본거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