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1104 페르세우스 밤보석 관측기입니다.
- 
			
			조회 수: 3498, 2018-11-09 04:16:22(2018-11-08)
- 
						일하면서 별 좀 볼려고 월령주간에 맞춰 스케쥴을 잡고 있는 덕분에 10월달에 이어 11월달도 열심히 별을 볼 수 있는 것 같습니다 ^^ 10월달 부터 밤보석 대상을 보기 시작했고 이 날은 페르세우스 자리 뽀개기 였습니다. 관측지:홍천 관측지에 와서 전날 오신 박상구 선배님의 흔적이나 흘리신 것이 없나 그냥 훑어 보았습니다 ㅎㅎㅎ 6無 환경(바람,습기,추위,구름,소리,사람)에서 조용히 별 봤습니다. 망원경:미드 12돕 별쟁이는 대부분 아는 더블클러스터 NGC869,885는 관측기록 Pass 그리고 또 유명한 M76,M34도 기록 Pass -NGC957 ES20mm, x76   밝은 별 위주로 성근 별로 구성되어 있음 -Tr 2 ES20mm, x76   더블 밑에 파인더로도 확인,아주 넓게 밝은 별 위주로 분포 -NGC1245 ES20mm, x76 *오~~~ 멋진대상   밝은 별 중간에 어두운별로 둥그런 모양 중간의 어두운 별들이 분해는 되지않음 -NGC1528 ES20mm, x76   아이피스 꽉차게, 토끼(?) 모양 파인더에서도 보임 -NGC1545 ES20mm, x76   아아피스 꽉차게, 열십자 모양으로 별 모양 -NGC1582 ES20mm, x76   밝은 별 위주의 스타체인 형태 -NGC1058 12.5mm, x122   둥그런 엹은 구름 은하 -NGC1275 12.5mm, x122 7mm, x217 Abell426의 지시은하, 주변시로 느껴짐 -Abell426 10월달에 최승곤 선배님의 22인치로 눈동냥 했을 때 뻑간 대상. 이 대상을 스케치하리라 목표를 잡았으나.....GG 은하 2개만 어렴풋이 주변시로 보임 -NGC1023 12.5mm, x122   코어 엄청 밝게 보임 -NGC1624 12.5mm, x122 +NPB 필터   아주 엹은 구름 보임. 구름안에 별 3개 -NGC1491 ES20mm, x76 +NPB   1624보다 잘보임 좀더 진한 구름 -NGC1513 ES20mm, x76   밝은 별 무리안에 어두운 별 스타체인 형태 -NGC1499 캘리포니아 성운 ES20mm, x76 +NPB 검은구름 Melotte 20은 위치를 몰라서 Pass IC351, IC2003 행성상 성운들은 위치까지 찾았으나 구별이 안된다는 느낌... 이런 놈들을 왜 찾아라고 리스트에 들어있는건지.... 그리고 밤보석 리스트는 아니지만 페르세우스 자리에 있는 -NGC1342 작은전갈 나글러 16mm, x95 아이피스 상으로는 전갈이 보였는데...점 찍은 그림에선 안보이네요... -_- 그리고 김선영님이 별하늘지기에서 소개한 로트링펜을 처음 사용해 보았습니다. 0.3mm짜리 였는데 어두운 별 찍기 엄청 편했습니다 ㅎㅎㅎ   그 외 기타 이런저런 명품대상들...그리고 풍경 느끼며,풍경 그리며 놀기 오랜만에 혼자서 진지하고 때로는 섬뜩함을 느끼며 별 좀 본것 같습니다. 사진출처: sky-map 관측기를 적다보니 그때의 기록과 참조하는 사진하고 상이한 놈도 있는 것 같고... 잘못 찾은 대상도 있었을 것 같다는 느낌이 들기도 합니다 ㅎㅎㅎㅎ - 1023.png(814.4KB/40)
- 1058.png(892.7KB/60)
- 1245.png(982.8KB/42)
- 1491.jpg(97.6KB/65)
- 1513.png(1.02MB/53)
- 1528.jpg(138.9KB/34)
- 1545.png(1003.0KB/35)
- 1582.png(925.0KB/51)
- 1624.png(1.06MB/74)
- abell426.png(1.20MB/27)
- ngc957.png(1.04MB/68)
- Tr2.png(1.05MB/84)
- Abell_426.PNG(290.7KB/55)
- 수정 NGC_1342.jpg(14.5KB/35)
 
댓글 10
- 
										최윤호2018.11.08 16:32 배율에 맞게 사진의 시야도 달리해 주셨군요 ㅎ. 저도 NGC1245를 정말 멋지게 보았습니다. 개인적으로 M37, NGC7789에 버금 갈 만한 대상이라고 생각합니다. 12인치로 보실 만큼 보신거 같은데 이제 구경업을 고려하심이 ㅎ
- 
										김승희2018.11.08 23:21 대구경 돕을 보유하신 고수분들이 계시니 욕구불만 해소에 크나큰 도움이 됩니다 ^^; 하지만 최근엔 로또도 쭉~~ 합니다 ㅎㅎㅎ 
- 
										박진우2018.11.08 23:27 사실적인 느낌 나는 스케치가 너무 좋습니다.
 저는 디지털로 이중성 스케치좀 해보려고 핸드폰을 바꿨습니다
- 
										김승희2018.11.09 04:07 옆그레이드를 하셨네요... 이중성 배틀이군요 ^^; 
- 
										
					아마 흘린게 없었을겁니다. 아들내미가 잘 살펴봐줬거든요 ㅎㅎ 
 아벨426의 은하탑을 보셔야 하는데, 안보였다 하시니
 이제 구경업을 고려하심이 2
- 
										김승희2018.11.09 04:10 디테일하게 탑모양도 있는 모양이네요 언젠가 도전하겠습니다 ^^; 
- 
										최승곤2018.11.09 01:01 간단하고 명료한 관측기 읽기 편해서 좋습니다. 
 ngc 1245 는 멋있다에 동의합니다.
 Abell 426 은 조광욱님 관측기 참조하시면 많은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스케치 하기에서 다소 힘들것 같기는 합니다.
 Mellote 20 은 위치를 몰라도 당일 관측하신 대상의 바로옆이라 육안으로 여러번 보았을것 같네요.. (넓고 밝기가 1.2등급입니다.)
- 
										김승희2018.11.09 04:13 그때 보여주신 426 모습이 아직도 눈에 선~~ 합니다. 말씀 해주신되로 관측기 미리 공부후에 다시 봐야 될것같습니다. 
- 
										
					426은 부끄롭지만 이걸 참고하셔도 ㅎㅎ
 http://www.nightflight.or.kr/xe/136711
- 
										김승희2018.11.09 04:16 보는 것 만으로 헉 합니다ㅎㅎㅎ 예전에 고민하고 관측하신 분들이 계시니 정말 도움이 많이 되는 것 같습니다 ^^ 
| 번호 | 제목 | 이름 | 조회 | 등록일 | 
|---|---|---|---|---|
| 407 | 최윤호 | 9162 | 2009-11-28 | |
| 406 | 
						싟님 따라 해보기!!
						
														+4																											
					 | 김남희 | 9113 | 2009-11-27 | 
| 405 | 김경싟 | 9570 | 2009-11-24 | |
| 404 | 김경싟 | 9481 | 2009-11-21 | |
| 403 | 조강욱 | 10663 | 2009-11-20 | |
| 402 | 조강욱 | 7113 | 2009-11-02 | |
| 401 | 김경싟 | 8935 | 2009-10-27 | |
| 400 | 김원준 | 10647 | 2009-10-25 | |
| 399 | 김남희 | 9117 | 2009-10-21 | |
| 398 | 조강욱 | 11280 | 2009-10-2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