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60609 철원 - 도 대신 수에서
- 
			
			조회 수: 6385, 2016-07-19 21:40:41(2016-06-13)
- 
						도레미산 진입에 실패하고 '수'로 관측지를 바꾼 지난주 목요일의 관측기입니다. 
 야간비행 식구들만 옹기종기 모여 즐거운 관측 시간을 보냈습니다.
 '수'에서는 두번째 관측인데, 지난번 보다 못한 하늘은 조금 아쉬웠습니다 ^^◆ 초신성 2016 coj 
 NGC4125에 나타났다는 초신성을 박진우님 덕에 보게 되었습니다. 핵이 살짝 비껴난 것 처럼 은하 내부에 초신성이 보입니다. 현재 13.6등급이라고 합니다. 
 [ NGC4125에 나타난 초신성 2016 coj , 사진 출처: http://www.skyandtelescope.com/wp-content/uploads/SN-NGC4125-Will-Wiethoff.jpg ]◆ 헤라클레스 은하단 (Abell 2151) 
 지난번 관측기(http://www.nightflight.or.kr/xe/180278)에 일부 관측한 내용을 올렸었는데, 돌아오는 매수팔 스터디도 있고 해서 박진우님과 함께 다시 관측을 했습니다.
 찾아가는 방법은 김경싟님의 관측기(http://www.nightflight.or.kr/xe/30394)를 참조하시면 됩니다.아래 그림에 이번에 관측한 대상들을 표시했습니다. 노란 글씨로 표시한 은하들은 관측이 가능했던 것들이고, 회색 글씨는 보려고 시도했는데 보였다는 확신이 없거나 안보인 것들입니다. 하늘 상태가 조금 더 좋았다면 몇개 더 보았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원으로 표시한 별들은 아이피스 호핑 중 기준으로 삼았던 별들입니다.  [ Abell 2151, 그림: Sky-View에서 추출 ] ◆ IC1296 
 임광배님 덕에 IC1296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아이피스를 바꿔가며 여러차례 확인하여 이번엔 봤다는 확신을 얻었습니다. 5mm 약 400배 관측 시 배경도 어둡고 가장 식별이 잘 됐던 것 같습니다. 아래 사진에 동그라미 표시한 두 별과 혼동하지 않고 그 사이에 IC1296이 있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그런데 M57의 중심성은 임광배님의 도움을 받았는데도 알아볼 수 없었습니다. 아래 사진에 화살표한 동그라미 별이 보일 정도가 되면 중심성이 보인다고 광배님이 그랬는데, 그 별은 보이는데 중심성은... 눈만 아프고 ㅠㅠ
 머리가 와지끈 거리고 힘들어서 포기했네요 ㅎㅎ 담엔 꼬옥~ [ M57과 IC1296 - 사진: http://www.universetoday.com/36306/messier-57/ ] ◆ NGC6709 
 M57 중심성 관측 실패의 좌절을 잊기위해 머리를 비우고 산개성단 점 찍기를 했습니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으로 그리는 것이 아무래도 연필/종이 스케치보다 쉬운 것 같습니다. 무엇보다 동그란 점 찍기가 쉽고 지우기도 편리하다는 점이... ㅎㅎ (야매 같아보이는 건 단점 ㅋ)그리다 만 느낌이 있긴 하지만 그냥 올려 봅니다.  [ NGC6709 스케치 ] 
 <관측 장비>
 망원경: 별고래 (17.5인치 돕소니언)
 아이피스: 22mm(Panoptic), 12mm(Nagler type4), 8mm(Ethos), 5mm(Hyperion)  
댓글 11
- 
										김남희2016.06.13 19:53 
- 
										
					몇달 전에 갔을 때는 괜찮았는데 이번에 갔을 때는 좀 그렇더라구요. 날씨 탓이려니 하고 있습니다. ^^ 그것보다 바닥이 파헤쳐진게 더 걱정입니다 ㅠㅠ 
- 
										박진우2016.06.13 19:54 그동안 못 보던 IC1296을 이날 처음 봤습니다. 감동이었습니다.
 하지만 중심성은 존재를 부정하고 싶습니다ㅜㅜ
- 
										
					진우님도 못보셨다니 좀 위안이 되는.. ㅎㅎ 다음에 좋은 날 다시 시도해보죠 ^^ 
- 
										
					역시 별을 보려면 주말보다는 평일이군요 ㅠ.ㅠ
 ..
 언제나 나가려나 ㅎ
 저도 2151 보고 싶습니다 ㅎ
- 
										
					그러게요 언제 관측지에서 같이 보려나요 ^^; 형석님 출장지로 따라 나가볼까요 ㅎㅎ 
- 
										김철규2016.06.14 08:47 스케치 별상이 정말 훌륭하네요... 저는 언제나 저런 경지에 이를 수 있을지... ^^;
 고리성운 중심성은 씨잉이 중요한거 같습니다. 15인치로도 봤으니 박상구님 돕으로는 시간 문제 아닐까요... ^^
- 
										
					그냥 손가락으로 찍으면 동그란 점이 찍히는 브러시를 고른게 전부라서 한게 별로 없습니다 ㅎㅎ ^^; 광배님은 옆에서 중심성 잘 보인다고 하시는데 ㅎㅎ 답답해 죽겠더라구요. 담에 다시 도전해 보겠습니다 ^^ 
- 
										조강욱2016.06.14 09:12 2151을 쥐잡듯 보셨군요 대단하네요 ㅎㅎㅎ 
 저도 언능 마무리하고 예전에 하던 것들을.. ;;;
 스케치가 참 깔끔하고 색감이 예술입니다 ^^*
 저는 행성들을 디지털로 해 보려고 생각 중이에요
- 
										
					색깔을 입히는 것도 디지털이 훨씬 편리한 것 같아요. 일단 실수를 두려워하지 않게 되니까 ㅎㅎ 달에 이어 행성 연작도 기대하겠습니다~^^ 
- 
										김민회2016.07.19 21:40 m66의 초신성 확인엔 실패했었습니다. 2016coj 타원은하에 사는 생물은 한동안 별 볼일 없게 됐군요. 밝아서 ㅎ.
 아벨2151 은하단 구성은하 찾기는 m44내의 숨은 은하 찾기 만큼 재밌습니다.
| 번호 | 제목 | 이름 | 조회 | 등록일 | 
|---|---|---|---|---|
| 157 | 김경식 | 10368 | 2004-01-28 | |
| 156 | 김경식 | 11184 | 2004-01-26 | |
| 155 | 김경식 | 11181 | 2003-12-30 | |
| 154 | 김경식 | 7066 | 2003-12-29 | |
| 153 | 김경식 | 11605 | 2003-12-22 | |
| 152 | 
						허셀(Herschel) 400
						
														+17							   | 김경식 | 8651 | 2003-12-09 | 
| 151 | 김경식 | 11904 | 2003-12-02 | |
| 150 | 김경식 | 15453 | 2003-11-25 | |
| 149 | 김경식 | 12072 | 2003-11-24 | |
| 148 | 김경식 | 8482 | 2003-11-18 | 


 
																			
저는 허셜3월대상 놓친걸 찾느라 임광배,박진우님 초신성 관측은 놓쳐버렸네요.이래저래 놓친거 투성입니다..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