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별 인생 가장 멋진 밤하늘...
- 
			
			조회 수: 4835, 2015-09-24 00:38:55(2015-09-16)
- 
						※ 한 시간동안 신나게 쓴 글이 뒤로가기 버튼 한번 잘못눌렀다가 다 날아갔습니다. ㅜ.ㅜ 열심히 썼지만 한 순간에 날아가 급하게 의욕이 저하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임광배입니다. 지난 일요일(9/13) 밤 청옥산을 다녀왔습니다. 이번 월령에 가장 좋은 시기에 하늘까지 깨끗한 기분좋은 날이었습니다. 집에도 미리 출정을 말해둔 터라 마음 가볍게 오후 3시쯤 출발할 수 있었습니다. 김철규님과 함께 만나기로 하고 청옥산을 향해 내달렸습니다. 청옥산.... 한번의 멋진하늘과 9번의 실패를 맛보게한 별세계에 에베레스트 같은 산입니다. ^^ 작년 몇번을 갔지만 제대로 밤새 열어준 날은 하루에 불가했더랬죠. 하지만 이날은 무엇이가 희망에 부풀게 하기에 충분한 날이었습니다. 그럼 이날 본 모습을 적어봅니다. 전투무기: 15인치 대포(Made by Nam's) 실탄: Ethos 13mm ♬ 68 Group 안드로메다 68그룹입니다. 덩어리져보이나 확대해서 보다보면 서로 나눠보입니다. 이날은 3~4개정도 확인했습니다. 생각보다 하늘이 좋아도 좀 어두운 녀석입니다. 하지만 이렇게 제대로 본적은 처음이라 즐거웠습니다. ♬ M81 나선팔 2개를 제대로 봤습니다. 나선팔이 보이니 역시나 대상이 훨씬 커 보입니다. 그동안 사진보면 82가 애 그렇게 왜소해보이나 했는데, 안시로 81을 제대로 보니, 그 이유를 알 수 있었습니다. ♬ 185, 147 185와 147역시 상당히 큰 녀석임을 제대로 확인했습니다. 그동안 185는 비교적 확인이 쉬었는데 이날은 185 그 크기에 놀라고, 다시 옆에 있는 147 밝기와 크기에 놀랐습니다. 147은 훨씬 어두워 보기가 어려웠는데 이날은 두 대상 모두 큼지막하게 잘 보였습니다. ♬ 281 팩맨은 아래사진과 똑같이 보였습니다. 아래쪽 암흑대도 진하게 보이고 별 어려움없이 눈을 갖다대면 직시로 풍부한 성운기가 똬악~~~ 이제는 너무 시시해져버려서 큰일입니다. ♬ 891 891도 사진과 똑같이 보입니다. 밝기는 좀더 어둡지만 양쪽으로 뾰족하게 나가는 모습과 중심을 가로지르는 암흑대가 직시로 선명하게 보입니다. 언제봐다 가을하늘의 제왕인 듯 싶습니다. ♬ 1300 작년 초 겨울인가 안성논두렁에서 보다가 실패했던 녀석입니다. 하지만 이날은 달랐습니다. 가운데 중심 막대기와 위~~~아래~~ 위! 위! 아래! 나선팔을 모두 확인했습니다. 처음으로 본 나선팔은 너무도 알흠다웠습니다. ^^ ♬ 1365 너무도 유명한 막대나선은하이죠? 청옥산은 1365의 우람한 덩치와 멋진 나선팔을 허락해주었습니다. 사진처럼 가운데 진한 막대와 함께 N자 모양의 나선팔을 확실히 보여주었습니다. 김철규님과 대박이다~~라고 하던게 아직도 선합니다. 이제 막대나선은하 조금 좋아지려고 합니다.^^ ♬ 1499 캘리포니아 성운은 마치 베일성운처럼 성운 줄기가 잘 보였습니다. 워낙 큰 대상이라 25mm 아이피스를 끼고도 한참을 훑어봤습니다. 아래사진에서 중심기준으로 왼쪽 방향이 가장 진하게 느껴졌고, 아래쪽 밝은 성운기 영역도 잘 보였습니다. ♬ 1975 아래사진처럼 러닝맨 암흑대 잘보였습니다. 다리쪽은 비교적 잘 구분이안되었고 위쪽 머리와 팔 쪽은 잘 확인이 되었습니다.^^ 달리는 모습 이렇게 진하게 본 것은 처음입니다.  ♬ 1999 열쇠구멍 정말 쉽게 보였습니다. 그것도 정말 아래사진처럼 약간 찌그러진 T자형태로 7mm 약 230배에서 쉽게 구멍이 보였습니다. T자옆에 있는 밝은 별이 전혀 방해가 되지 않았고 너무나 잘 보여서 한참을 즐겁게 봤습니다.~~  ♬ 2244 장미성운은 제가 UHC필터를 샀던 이유였으나, 지금까지 진하게 보지는 못했습니다. 역시나 이날 청옥산은 사진과 흡사한 대단한 성운기와 12시 방향에 보이는 암흑대 갈래도 보였습니다. 장미가 활활 타고 있는 듯한 숨막히는 모습이었습니다. ♬ ic4617 드디어 애증의 대상하나를 성공했습니다. 아래사진처럼 평행사변형 형태의 별 배치가 직시로 잘 확인되고 4617위치를 주변시로 보고 있으면 나타났다가 사라졌다가 합니다. 정말 어려운 녀석이었는데 미션 컴플리트~~~ 다시는 보기 싫어요. ♬ 5976 용자리 삼형제 은하 옆에 있는 작은 은하입니다. 14.8등급으로 참 어려운 녀석인데, 아래 사진 3시방향 위아래 별 사이를 주변시로 보고 있으면 슬쩍 나타납니다. 그동안 애간장 태우던 녀석 이니, 이제 보내줘야할 듯합니다. 안녕~~ ♬ 6745 해리포터가 타고다니는 빗자루 모양의 은하입니다. 이날 이 모습 그대로 봤습니다. 한쪽 끝에서 부터 반대쪽으로 퍼져나가는 모습... 안성에서 실패했는데 청옥산은 너무 쉽게 허락해줍니다.^^   ♬ 6822 버나드 갤럭시도 아래 박진우님이 올려주신 사진처럼 제대로 확인했고 성운도 4개 다 확인했습니다. 1,2번이 쉬웠고 나머지는 쉽지않았습니다. 특히, 은하 중심으로 3시방향에 있는 성운도 주변시로 어렵게 확인 가능했습니다. 이제는 버나드 은하를 제대로 본 것 같아 마음이 홀가분 합니다.  ♬ 6946 나선팔2개 확인했습니다. 아래사진 11시방향 나선팔과 중심바로 아래 작은 나선팔입니다. 전체 은하의 모습은 11시 나선팔쪽이 좀 넓어보이고 아래쪽은 할로우가 조금 좁아보입니다. ♬ 7000 북아메리카 성운과 펠리칸은 이날의 백미였습니다. 쌍안경으로도 너무진하게 보이고 25mm아이피스를 통해보니, 이건 뭐 할말이 없을 정도로 너무 진하게 보입니다. 아래사진의 전 영역이 보이며, 특히 인상 깊었던 것은 펠리칸 주둥이 아래부분의 암흑대 영역이 너무 잘 보였다는 겁니다. 아직도 눈에 선한 것이 또 가서 보고 싶습니다.~~~ ♬ 7023 아이리스 사진과 싱크로율 70%로 봤습니다. 가운데 별 주변의 모래시계 모양 성운기는 확실히 보였고, 아래사진처럼 중심에서 3시방향 암흑영역 두개(가까이 있는 작은 영역, 크게 있는 넓은 영역) 모두 확인했습니다. 이제 아이리스는 더 이상 고통을 주는 대상이 아니게 되었습니다. 역시나 하늘의 힘이 중요하다는 것을 또 한번 느꼈습니다. ♬ B33 오늘의 다크호스는 말머리이죠~~ 너무나 쉽게 보여서 당황시킨 녀석입니다. 이날 몇가지 테스트를 해봤는데 25mm 프뢰슬 아이피스에 H-beta를 끼웠을 때 제일 잘보였고 13mm에토스로도 노필터로 보였습니다. 예전 해외글에서 사출동공 4~5mm선이 나오는 아이피스 초점길이가 최적이라고 했는데 일리있는 말 같습니다. 아무래도 렌즈 매수가 많은 아이피스 보다는 4매의 프뢰슬에 자기 망갱이 F수 곱하기 사출동공(5mm) 하는 것이 잘 보이는 것 같습니다. IC434의 성운기는 너무 풍부해서 말머리는 물론 말머리 방향도 쉽게 확인되었습니다. 제거 H-beta를 샀던 이유가 너무 퍼펙트하게 해결되었습니다.^^ ♬ GYulbudaghian's Nebula 참고자료: http://observing.skyhound.com/archives/oct/GM_1-29.html 예전 관측기에 올렸던 대상인데 이날 드디어 확인성공했습니다. 사진처럼 밝은 영역 퍼져있는 모습까지 확인했습니다. 밝기가 변하는 대상인데 나중에 시간 되시면 꼭 확인해보세요^^ ♬ IC342 역시 정면나선은하의 끝판왕입니다. 이날 대박하늘에서도 나선팔을 허락하지 않았습니다. 중심 주변 할로우는 비교적 확인이 되었지만 나선팔은 절대~~~안보입니다. 어두운 정도가 호주정도 하늘 되어야 할까요? ♬ ic443 쌍둥이 자리에 있는 초신성 잔해입니다. 이녀석도 처음으로 확인했습니다. 아래사진의 12에서7시방향의 진한 부분이 제일 잘 확인되었고, 나머지 영역은 잘 안보였습니다. 한 2년 정도 생각만했던 녀석인데 이날 드뎌확인에 성공해서 다행입니다. ♬ M33 바람개비은하는 이날 나선팔 4개까지 확인했습니다. 중심주변으로 11시방향, 4시방향, 그리고 11시와 4시 사이 방향 좌우로 각 1개씩 확인했습니다. 역시 이날 보여준 모습이 별인생에 최고의 모습이었습니다.^^ ♬ Seyfert's sextet 예전 안성에서 시도했다가 실패한 녀석입니다. 이날 서쪽으로 기울고 있었음에도 청옥산 하늘덕에 제대로 성공했습니다. 첨에는 덩어리로 보이나 7mm 빌려 끼워보니 나눠집니다. 3개정도 확인했습니다. 이날 본 스테판 오중주보다는 역시 한 수위의 대상입니다. 밀집도며 크기며... 스테판은 5개 그냥 껌이었습니다. 7331과 주변 친구들도 껌이었구요. 청옥산 10번 도전끝에 최고의 하늘을 허락한 뜻깊은 날이었습니다. 김철규님이 말씀하신 것 같이 이날 2015년 9월 13일(일)은 별 인생의 전환점이 될 만한 멋진 날로 추억하게 되었습니다. 벌써 오늘이 화요일이니, 이틀이 지났지만 아직도 눈에 생생하고 뿌듯하고, 심쿵합니다.^^ 어서 맑은 가을 하늘 더욱 깊어졌으면 좋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제가 기념삼아 찍은 사진 함께 올립니다. 일주사진 중 하나는 오리온자리 일주고, 나머지는 북천일주입니다.^^ Clear sky~ ※ 나머지 사진 출처는 Sky-map.org       - 68.JPG(39.6KB/32)
- 81.JPG(38.2KB/44)
- 185.147.JPG(139.1KB/49)
- 281.JPG(69.0KB/35)
- 891.JPG(69.8KB/28)
- 1300.JPG(27.2KB/32)
- 1365.JPG(29.8KB/40)
- 1499.JPG(136.7KB/37)
- 1975.jpg(291.7KB/36)
- 1999.png(407.1KB/27)
- 2244.JPG(113.9KB/44)
- 4617.JPG(23.2KB/38)
- 5976.JPG(65.0KB/36)
- 6745.jpg(25.0KB/47)
- 6822.jpg(400.6KB/32)
- 6946.JPG(77.4KB/37)
- 7000.JPG(161.6KB/40)
- 7023.JPG(69.9KB/29)
- b33.JPG(62.2KB/33)
- gyulb.JPG(41.8KB/31)
- ic342.JPG(77.3KB/40)
- ic443.JPG(138.1KB/32)
- M2-9_master.jpg(332.6KB/48)
- m33.JPG(103.0KB/35)
- seyfert.JPG(26.9KB/40)
- 청옥산 15년 9월 13일-북천일주.jpg(1.81MB/27)
- 청옥산 15년 9월 13일-오리온일주.jpg(2.00MB/23)
- IMG_9224.JPG(2.51MB/30)
- IMG_9224.JPG(114.7KB/27)
- IMG_9231.JPG(98.2KB/26)
- IMG_9232.JPG(107.0KB/36)
- 청옥산 15년 9월 13일-북천일주.jpg(867.5KB/36)
- 청옥산 15년 9월 13일-오리온일주.jpg(935.4KB/28)
 
댓글 24
- 
										
					
- 
										
					혼자만 너무 즐거운 것 아닌지 심히 걱정됩니다. ㅋㅋ 정말 잊지 못할 밤이었습니다. ~ 
- 
										김철규2015.09.16 06:51 이날밤은 정말 이런맛에 별을 보는구나 하는 느낌이었습니다. 언제 다시 이런 하늘을 만나볼 수 있을런지...
 관측기에서 Grus Quartet 하고 마귀할멈 성운, 마차부 한가운데 콩나물 성운이 빠졌네요. 마귀할멈 성운도 엄청 진했었죠. Fornax A,B도 엄청 진하게 봤었고.... Fornax B는 열번정도 시도한거 같은데 이날 처음 성공했습니다. ^^ 그건 내 관측기에 자세하게..... ㅎㅎ
- 
										반형준2015.09.16 17:14 마귀할멈도 안시로 보이는군요!!! 관측기 기대하겟습니다..ㅎㅎㅎ 
- 
										
					말씀하신 대상들이 빠졌네요. 역시 바로바로 관측기 안남기면 기억이 가물가물~~~ 형님 관측기에서 자세히 올려주세요. 담에도 분명 이런 날이 다시 올거라 믿고 싶습니다.^^ 
- 
										
					청옥산 한번 가줘야 하는 건가요? 아..애증의 버나드..
- 
										
					나중에 날 좋을 때, 한번 오심을 추천드립니다. 거리가 제법 머시겠지만, 작정하고 한번정도 오시는 것은 나쁘지 않을 것 같습니다. 버나드 ~~~ 
- 
										조강욱2015.09.16 18:05 그냥 침흘리며 멍하니 읽을 수밖에 없네요.. 과도한 염장은 건강에 해로운데 ㅠ_ㅠ
 한꺼풀 더 벗겨진 우주 체험기를 보는 느낌입니다
 저는 같은시간 홍천에서 조금 다른 의미로 특이한 경험을 했지요 ㅎ
 1365에 Grus Trio라.... 쿨럭 ㅠ_ㅠ
- 
										
					역시 염장은 질러야 제 맛이죠 -___-9 멋지하늘 함께 했으면 좋았을 텐데 강욱형님 좀 아쉽습니다. ㅋㅋ 홍천에서 궁수자리 져서 컴백홈 하셨다던데 ~~~ 
- 
										조강욱2015.09.16 19:05 울면서 컴백홈.. ㅠ_ㅠ 그리고 야간비행 사이트는 자동저장 기능이 있어서 새로운 글을 쓰면 임시저장글 백업이 있다는 메시지가 뜨는데.. 담부턴 잘 활용해 보심이 ^^; 
- 
										
					컴백홈 ㅠㅠ 임시저장이 되어있긴 했는데, 꼴랑 5줄 저장되어 있었어요 ㅋㅋ 첨부했던 사진이랑 밑에 관측느낌 글은 죄다 사라지고 난 후였죠 ㅜ.ㅜ 
- 
										김남희2015.09.16 18:23 초신성 폭발?하는 느낌의 관측기입니다..ㅎ
 185,147과 일직선상에 278이 있습니다.278부터 차례로 관측하면 점점 사라지는 은하의 진화를 보는 착각에 빠집니다..ㅎ
- 
										
					278 놓쳤습니다.^^ 담에는 꼭 봐야겠어요. 너무 즐거운 추억에 아직도 새록새록합니다. ㅋ 
- 
										
					으아.. 정신이 아득해지는 초 대형 염장 관측기!
 숙제 목록으로 수첩에 잘 넣어둬야겠어요. 잘 읽었습니다 ^^
- 
										
					박상구님 다음에는 함께해요~ 얼굴 뵌지 오래됬어요^^ 못보신 것 나중에 꼭 보세요. 
- 
										김재곤2015.09.17 02:55 화끈한 관측기네요. 10월에 한번 도전해 봐야겠습니다. 청옥산. 근데 승용차가 가능한가요?
- 
										
					예전보다 길이 좀 좋아져서 승용차 살살가면 가능해보입니다.^^ 
- 
										정기양2015.09.17 07:31 와... 대박 하늘이었네요.
 거대한 풍차들이 들어섰다고 하던데 아직은 괜찮은가요?
- 
										김철규2015.09.17 08:00 풍차들이 아직은 가동전입니다. 내년도 중반은 돼야 가동을 할거라고 하네요. 풍차들이 가동한다 하더라도 방해가 되지 않을 좋은 위치를 찾았는데 가급적 소문이 안 나도록 조심하려고 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몰리면 풍차를 관리하는 측에서 통제를 할 수도 있을거 같아서요. ^^; 아무튼 찾아낸 포인트는 시야가 아주 좋습니다. 
- 
										정기양2015.09.17 18:41 다음에 가실 때 말 한 마디 없이 조용히 따라 붙겠습니다^^. 약 3년 전에 청옥산에서 본 탁 트인 시야와 엄청난 하늘이 지금도 눈 앞에 어른 거립니다. 미리 감사합니다. 
- 
										반형준2015.09.17 19:17 그냥 개인적으로 궁금한건데... 풍차뿐 아니라 가로등 같은것도 많이 설치 되엇나요??? 아니라면 풍차 가동된다 하더라도 항공기 용 경고 붉은 불빛 빼고는 딱히 광해원 없을듯할꺼 같긴한데..... 물론 붉은 그 빛이 엄청 밝은 놈이라면????? 
- 
										김철규2015.09.17 20:00 거기 공사관계자 말이 붉은등이 아니라 은색으로 번쩍번쩍하는 스트로보등이 설치 된다고 합니다. 얼마나 밝을지는 모르겠지만 방해가 안될수는 없을것 같습니다. 가로등 같은것은 전혀 설치할 일이 없다네요. 
- 
										김재곤2015.09.17 20:17 태기산 풍력 발전소 경험을 말씀드리면 하늘의 반은 버립니다. 엄청 밝은 은색 불빛이 번쩍 번쩍. 번개 같습니다..
- 
										김민회2015.09.24 00:38 그저 부러울 따름, 잘 메모 해 두었구, 달 지면 확인 들어 갈라구요. 그 관측 포인트 얼마면 사요ㅎ?
| 번호 | 제목 | 이름 | 조회 | 등록일 | 
|---|---|---|---|---|
| 1007 | 김태환 | 13882 | 2016-02-24 | |
| 1006 | 임광배 | 9834 | 2016-02-24 | |
| 1005 | 김태환 | 5546 | 2016-02-12 | |
| 1004 | 
						그믐 하루전 달
						
														+8							   | 김남희 | 6056 | 2016-02-07 | 
| 1003 | 조강욱 | 12680 | 2016-01-26 | |
| 1002 | 박상구 | 6866 | 2016-01-16 | |
| 1001 | 김남희 | 5635 | 2016-01-15 | |
| 1000 | 장형석 | 9029 | 2016-01-11 | |
| 999 | 장형석 | 3979 | 2016-01-09 | |
| 998 | 김남희 | 5680 | 2016-01-08 | 


 
																			 
																			 
																			
부럽습니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