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측기 & 관측제안 ~☆+

  • 트라페지움
  • 이민정
    조회 수: 30708, 2002-09-23 08:44:24(2002-09-23)


  • Jerry Lodriguss 라는 사람의 홈페이지에서 사진 글 몽땅 퍼왔습니다.
    홈페이지는  www.astropix.com/HTML/SHOWCASE/SHOWCASE.HTM

    (요건 그냥 옮기는게 낫겠군)
    The Trapezium was first drawn as a triple star (Stars A, B and C) by Hodierna before the year 1654, and Christen Huygens described it in 1656. Star D was independently discovered by both Abbe Jean Picard and Huygens in 1684. William Struve discovered star E in 1826 with a 9.5 inch refractor, and F was discovered by John Herschel in 1830. Star G was discovered in 1888 by Alvan Clark while testing the 36 inch refractor that he made for Lick Observatory, and E.E. Barnard discovered star H later in the same year with the same scope. Later, Barnard discovered that H is a double, comprised of two 16th magnitude companions.


    원래 트라페지움의 첫째루 밝은 별이 C별 이랍니다..

    E.F별은 둘다 11등급으로 날 맑고 씽 좋은 날 중간급의 망원경으로도 잘 보입니다.. 문제는 G. H 별인데..아마추어급 무지 큰 망원경 외에는 희미해서 보기 힘들다네요. (그래도 미국에서는 볼 수 있군요. ^^;)

    A별은 V1016이라는 General Catalog of Variable Stars 목록에 있는 밝기가 6.72-6.65등급까지 변하는 65.43233일 주기의 식쌍성(두개의 별이 서로 돌면서 두번째 별이 첫번째 별빛에 영향을 주어 밝기가 변하는 이중성)이구요..
    B별은 BM Orion 이라 알려져 있고, 역시 7.90-8.65등급의 밝기 변화를 가지며 6.470525일 주기를 가지는 식쌍성입니다.

    그러나 McCaughrean이라는 사람에 의하면 트라페지움 별들의 적외선 파장을 보면 A별은 삼중성. B별은 4중성. C별은 이중성 체계를 이루고 있고. D별만이 동반성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

    지난 덕초현에서 10인치 제 망원경으로도 E.F별까지 모두 보았습니다.
    지금 자료를 보니 E,F 두 별 모두 11등급이지만,  알파벳 순서대로 역시 F별이 가장 밝은 C별옆에 있어 더욱 희미해 보였습니다..
    그러나 충분히 확인할 수 있더군요.
    시상이 좀 더 좋았다면 C와 F별은 뚜렷이 분해할 수 있는 거리였습니다..
    얘기를 들으니 E.F 별은 5인치와 6인치 굴절로도 충분히 볼 수 있답니다.

댓글 0

위지윅 사용
번호 제목 이름 조회  등록일 
916 조강욱 4390 2015-06-08
915 박진우 3882 2015-06-07
914 조강욱 4164 2015-06-04
913 장형석 3594 2015-05-28
912 반형준 4570 2015-05-27
911 박상구 6754 2015-05-26
910 조강욱 2782 2015-05-26
909 반형준 4643 2015-05-19
908 장형석 4510 2015-05-19
907 임광배 7644 2015-05-18
906 장형석 4818 2015-05-16
905 김태환 8214 2015-05-15
904 조강욱 5139 2015-05-10
903 김태환 8577 2015-05-10
902 조강욱 5089 2015-05-06
901 조강욱 4921 2015-05-04
900 김남희 5699 2015-05-03
899 김남희 4486 2015-05-01
898 김남희 4966 2015-04-28
897 조강욱 4226 2015-04-26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