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열쇠구멍
-
조회 수: 4160, 2018-09-26 06:34:43(2018-09-15)
-
열쇠구멍입니다.
하늘에도 열쇠구멍이 있습니다.
http://keywordsuggest.org/gallery/1210987.html
ngc1999입니다.
새벽녘 오리온이 뜨니 곧 열쇠구멍을 볼수가 있겠군요.
가급적 큰 구경으로 가급적 높은 배율을 사용하면 열쇠구멍이 보입니다.
이 대상은 10~15배율 쌍안경으로 보면 아주 멋집니다. 마치 플레이아데스 성단 처럼요.
백조자리에 있는대상인데 아쉽게도 이름을 갖고 있지 않습니다.
사진은 안시때보다 잔별들이 많이 나와 열쇠구멍 그리기가 참 어렵습니다.
억지라고 얘기 할수도 있겠지만 필드에서 쌍안경으로 직접 보시면 행복해질겁니다.^^
이 대상은 북아메리카성운 입니다.
역시 쌍안경으로 보기 좋은 대상입니다.
도심에서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북아메리카는 안보이지만 열쇠구멍은 잘보입니다.
이렇게 그려집니다.
역시 필드 확인이 필수입니다.
이 세가지 열쇠구멍을 정복한다면..
하늘의 문을 열수가 있습니다.ㅎㅎ
(카페"별과 사람" 초롬님 사진입니다.)
댓글 9
-
최윤호
2018.09.16 02:19
-
김남희
2018.09.17 05:24
4"쌍안경이면 박진감 넘치게 감상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
천세환
2018.09.16 08:17
마지막에 큰 따옴표로 강조(?)하지 않으셔도..... ㅎㅎ;;;; -
김남희
2018.09.17 07:43
강조하면 좋은거 아닐까요.ㅎ
-
정기양
2018.09.16 20:16
다음 필드에서 꼭 확인해 봐야겠습니다.
밤하늘이 우리에게 주는 즐거움은 참 다양한 것 같습니다. ㅎㅎ -
김남희
2018.09.17 07:45
무심결에 발견하는 재미가 쏠쏠한것 같습니다.
정샘 ap130으로 성단,이중성 심화관측도 기대 됩니다.ㅎ
-
열쇠구멍 시리즈로 더 찾아봐도 재밌겠습니다. ^^
북아메리카에 있는건 전에 보여주셔서 기억이 나는데, 두번째 것은 어디에 있는건가요? 한번 찾아보고 싶은데요 ^^ -
김남희
2018.09.19 08:55
568 요기 찾아 보세요.^^
-
김민회
2018.09.26 06:34
역시 잦은 필드경험이 싱글로 가는 길이군요. 시안으로 부를 때 버선발로 달려갑니다.
번호 | 제목 | 이름 | 조회 | 등록일 |
---|---|---|---|---|
417 | 김남희 | 6979 | 2010-01-26 | |
416 | 김경싟 | 8542 | 2010-01-24 | |
415 | 조강욱 | 12302 | 2010-01-20 | |
414 |
돌아버릴 처녀은하단!!
+7
| 김남희 | 8623 | 2010-01-19 |
413 |
2010년 신년 가족 관측회
+11
| 김경싟 | 7472 | 2010-01-18 |
412 |
올해의 첫관측기...
+6
![]() | 이욱재 | 9751 | 2010-01-08 |
411 | 조강욱 | 7667 | 2009-12-28 | |
410 |
두번의 천문인 마을
+6
| 김남희 | 8653 | 2009-12-21 |
409 | 조강욱 | 7447 | 2009-12-13 | |
408 | 김경싟 | 10184 | 2009-12-09 | |
407 | 최윤호 | 9147 | 2009-11-28 | |
406 |
싟님 따라 해보기!!
+4
| 김남희 | 9101 | 2009-11-27 |
405 | 김경싟 | 9565 | 2009-11-24 | |
404 | 김경싟 | 9476 | 2009-11-21 | |
403 | 조강욱 | 10654 | 2009-11-20 | |
402 | 조강욱 | 7108 | 2009-11-02 | |
401 | 김경싟 | 8925 | 2009-10-27 | |
400 | 김원준 | 10639 | 2009-10-25 | |
399 | 김남희 | 9099 | 2009-10-21 | |
398 | 조강욱 | 11277 | 2009-10-21 |
플레이아데스 정도라면 크기가 2~3도 정도라 생각되는데 김원준님 4인치 쌍안경으로 보면 멋지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