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열쇠구멍
-
조회 수: 4160, 2018-09-26 06:34:43(2018-09-15)
-
열쇠구멍입니다.
하늘에도 열쇠구멍이 있습니다.
http://keywordsuggest.org/gallery/1210987.html
ngc1999입니다.
새벽녘 오리온이 뜨니 곧 열쇠구멍을 볼수가 있겠군요.
가급적 큰 구경으로 가급적 높은 배율을 사용하면 열쇠구멍이 보입니다.
이 대상은 10~15배율 쌍안경으로 보면 아주 멋집니다. 마치 플레이아데스 성단 처럼요.
백조자리에 있는대상인데 아쉽게도 이름을 갖고 있지 않습니다.
사진은 안시때보다 잔별들이 많이 나와 열쇠구멍 그리기가 참 어렵습니다.
억지라고 얘기 할수도 있겠지만 필드에서 쌍안경으로 직접 보시면 행복해질겁니다.^^
이 대상은 북아메리카성운 입니다.
역시 쌍안경으로 보기 좋은 대상입니다.
도심에서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북아메리카는 안보이지만 열쇠구멍은 잘보입니다.
이렇게 그려집니다.
역시 필드 확인이 필수입니다.
이 세가지 열쇠구멍을 정복한다면..
하늘의 문을 열수가 있습니다.ㅎㅎ
(카페"별과 사람" 초롬님 사진입니다.)
댓글 9
-
최윤호
2018.09.16 02:19
-
김남희
2018.09.17 05:24
4"쌍안경이면 박진감 넘치게 감상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
천세환
2018.09.16 08:17
마지막에 큰 따옴표로 강조(?)하지 않으셔도..... ㅎㅎ;;;; -
김남희
2018.09.17 07:43
강조하면 좋은거 아닐까요.ㅎ
-
정기양
2018.09.16 20:16
다음 필드에서 꼭 확인해 봐야겠습니다.
밤하늘이 우리에게 주는 즐거움은 참 다양한 것 같습니다. ㅎㅎ -
김남희
2018.09.17 07:45
무심결에 발견하는 재미가 쏠쏠한것 같습니다.
정샘 ap130으로 성단,이중성 심화관측도 기대 됩니다.ㅎ
-
열쇠구멍 시리즈로 더 찾아봐도 재밌겠습니다. ^^
북아메리카에 있는건 전에 보여주셔서 기억이 나는데, 두번째 것은 어디에 있는건가요? 한번 찾아보고 싶은데요 ^^ -
김남희
2018.09.19 08:55
568 요기 찾아 보세요.^^
-
김민회
2018.09.26 06:34
역시 잦은 필드경험이 싱글로 가는 길이군요. 시안으로 부를 때 버선발로 달려갑니다.
번호 | 제목 | 이름 | 조회 | 등록일 |
---|---|---|---|---|
1317 | 박상구 | 2749 | 2020-03-26 | |
1316 | 최윤호 | 2027 | 2020-03-26 | |
1315 |
ISS Trail
+8
![]() | 김승희 | 4774 | 2020-03-23 |
1314 |
이중성 관측기 - 큰곰자리
+11
![]() | 최윤호 | 2211 | 2020-03-23 |
1313 | 최윤호 | 2244 | 2020-03-20 | |
1312 | 최윤호 | 1289 | 2020-03-19 | |
1311 | 조강욱 | 1272 | 2020-03-08 | |
1310 | 이종근(뽀에릭) | 1151 | 2020-02-29 | |
1309 | 이종근(뽀에릭) | 1270 | 2020-02-29 | |
1308 | 이한솔 | 2625 | 2020-02-27 | |
1307 | 최윤호 | 6245 | 2020-02-27 | |
1306 | 최윤호 | 1756 | 2020-02-25 | |
1305 |
강서중학교 나들이 후기
+4
| 김승희 | 10456 | 2020-02-25 |
1304 | 이한솔 | 6438 | 2020-02-24 | |
1303 | 조강욱 | 2283 | 2020-02-23 | |
1302 |
2/18일 보성 관측기
+7
| 서경원 | 6782 | 2020-02-21 |
1301 | 조강욱 | 1169 | 2020-02-15 | |
1300 | 최윤호 | 2034 | 2020-02-12 | |
1299 | 조강욱 | 4801 | 2020-02-09 | |
1298 | 조강욱 | 1277 | 2020-02-04 |
플레이아데스 정도라면 크기가 2~3도 정도라 생각되는데 김원준님 4인치 쌍안경으로 보면 멋지겠습니다.